미국 및 중국 금융시장 위험요인에 대한 월가 시각. -국제금융센터
- 뉴스.
- 2018. 10. 24.
반응형
반응형
역사적으로 모든 상황이 다 이렇게 흘러갔다.
저금리 상황에서
부채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부채가 많다고 하더라도
돈을 더 빌려서 이자를 갚으면 되었으니까...
문제는 부채가 축소 되었을때다.
이때에는 돈을 더 빌리기가 힘들어진다.
그래서 경제와 증시는 어려워지고
많은 파산자가 발생 하였다.
결국 '레버리징'에서 '디레버리징'으로
전환되는 그 터닝포인트를 잘 찾아내어
그에 맞는 투자를 하는것이
현명한 투자자의 행동일 것이다.
반응형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연금이 주식대여 금지를 선언하다. -진작부터 했어야 하는 것을... (0) | 2018.10.25 |
---|---|
삼성바이오로직스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로부터 위반 소지가 있다는 통보를 받았다. (3) | 2018.10.25 |
26일 중.일 정상회담을 개최 합니다. - 뭔가 냄새가 나기는 하는데...흠... (0) | 2018.10.24 |
가능성 낮아진 유가 100$ 시나리오. - 이 보고서의 의견에 동의 합니다. (0) | 2018.10.24 |
글로벌 경제의 악재들과 코스피 코스닥의 향후 전망. - 미국의 3분기 기업실적 발표와 이탈리아 디폴트 우려. 그리고 그밖의 악재들이 널려있다. (4) | 2018.10.24 |
세계 주택시장 가격 상승이 역대 최고 수준이다. (0) | 2018.10.15 |
경제 및 증시의 하락을 예상하는 사람들의 의견들... (0) | 2018.10.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