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만해도 많은 은행들에 계좌가 한,두개씩은꼭 있습니다. 기억도 나지않을 만큼 오래전에 신청했던자동이체가 지금까지도 걸려 있었네요.물론 돈은 빠져나가지 않았지만요...헐... 그래서 계좌 조회를 해서 사용하지 않는자동이체 건수들을 깔끔하게 정리 하였습니다. 모든 은행을 통합해서 조회 및 해지할 수 있으니한번쯤 설치해 볼만한 어플 같습니다.
'카카오'의 지난번 상승 초기에도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씀 드렸었죠? 조금(?) 먹고나서 다시 하락할거 같다고 말씀 드렸고... 저도 뒤도 안돌아 보고 도망(?) 갔었던 종목인데요... 2017/11/26 - [투자종목] - 현재 카카오 주가 전망.(17.11.26) '카카오'가 하락추세를 끝내고 다시 재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듯 보여서 말이죠... 그래서 다시 관심종목에 편입 시키고 매수 타이밍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너무 신경을 안쓰고 있다보니 매수 타이밍이 좀 늦었네요...OTL... 카카오의 월봉상 챠트를 살펴보면 'N자형' 패턴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이루기는 할텐데... 현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느냐... 아니면 단기로 9만원 후반대로 하..
자본주의에서 은행이란 안전성이 우선입니다. 그다음이 신뢰성이죠. 내가 예금 했을때 바로 출금할 수 있다는 믿음... 이 믿음을 한국의 은행들은 땅바닥에 패대기 쳤네요... 세상이 미쳐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금융 부분에서 최후까지 '안전'과 '신뢰'를 보장해 주어야 하는곳이 '은행'인데 말이죠... 대출 해 주면서 신용 점수를 높여서 '대출이자'를 낮출 수 있는 항목들을 고의로 누락시켜 '대출이자'를 높이다니..허허허... 위 기사 내용이라면... '경남은행'은 거의 막장 수준이네요... 이게 환급으로 끝날 문제인가요? 징벌적인 벌금을 징수 해야죠. "내가 말이지...사기를 쳤어..." "그런데 아이쿠...걸렸네?" "미안...사기 친 돈만 돌려주면 된다네...ㅋ" 한국 자본주의에 가장 문제점 중에 한가지..
오늘 뉴스가 하나 떳네요... 금감원에서 하나은행의 '회장후보추진위원회'의 개선을 권고 했다는 내용인데요... 요즘에 눈,귀로 들어오는 정보가 있어서 이 뉴스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사정을 모르시는 분들이나, 경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그냥 그렇구나... 하시겠지만... 조금이라도 경제에 관심이 있거나.... 제 글을 약간은 열성적으로 읽으신 분이시라면...ㅋ 쉽게 키워드를 얻으셨으리라 생각 합니다... 먼저 뉴스를 보시면... 이 뉴스를 보면서 얼마전에 '금융위원회'에서 보도자료로 발표 하였던 'FSB 동료평가 보고서'가 생각 나더라구요...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hwp(File Size : 225.5 KB)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pdf(File..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보 도 자 료 보도 2017. 11. 30.(목) 석간 배포 2017. 11. 29.(수) 담당부서 일반은행국 김철웅 국장(3145-7050), 박상원 팀장(3145-7090) 제 목 : ‘17년 9월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1. 국내은행 현황 □ ‘17년 9월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5.40%, 13.29%, 12.72% 수준 ㅇ ‘17년 6월말 대비 총자본비율(+0.01%p)과 보통주자본비율(△0.01%p)은 비슷한 반면, 기본자본비율(+0.03%p)은 소폭 상승 □ 이는 ‘17.3분기중 총자본증가율(+2.39%..
카카오뱅크의 영향력이 예상보다 클거라는 예상을 전부터 말씀 드렸었습니다. 첫날인 오늘만 가입자가 18만명으로 시중은행 1년 가입자수를 돌파 했다는 뉴스도 나왔습니다. 대단한 기록이기는 합니다만.... 잠시 몇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카카오 주식을 전량 매도 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은 편하게 지적질(?) 할수도 있겠네요...;;; 먼저, 오늘 오전 7시부터 정식 출범 했다고 했는데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위에있는 에러창을 보셨을거라 생각됩니다... 은행의 핵심은 보안과 안전성이라 생각 합니다.. 접속자 폭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기는 조금 어렵지요... 예를들어.. 내가 카카오뱅크에 5천만원을 예금 한 상태라고 합시다.. 보안문제이든지 건전성에 문제가 생겨서 다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