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대출 이자가 높은 이유가 밝혀지다.
- 뉴스.
- 2018. 6. 26.
반응형
반응형
자본주의에서 은행이란 안전성이 우선입니다.
그다음이 신뢰성이죠.
내가 예금 했을때 바로 출금할 수 있다는 믿음...
이 믿음을 한국의 은행들은 땅바닥에 패대기 쳤네요...
세상이 미쳐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금융 부분에서 최후까지 '안전'과 '신뢰'를
보장해 주어야 하는곳이 '은행'인데 말이죠...
대출 해 주면서 신용 점수를 높여서 '대출이자'를 낮출 수 있는
항목들을 고의로 누락시켜 '대출이자'를 높이다니..허허허...
위 기사 내용이라면...
'경남은행'은 거의 막장 수준이네요...
이게 환급으로 끝날 문제인가요?
징벌적인 벌금을 징수 해야죠.
"내가 말이지...사기를 쳤어..."
"그런데 아이쿠...걸렸네?"
"미안...사기 친 돈만 돌려주면 된다네...ㅋ"
한국 자본주의에 가장 문제점 중에 한가지가 뭐냐면...
선진국에서 제도는 들여오는데...
징벌적 벌금 제도는 절대 들여오지 않는다...
기업이나 정부에 불리하므로...
한국에서의 순위는 기업, 정부...그 다음이 '국민'이다.
당사자들은 들고 일어나야 하는 문제인데...
의외로 엄청 조용하다...
시위도 그냥 시위가 아닌...
은행을 불 질러 버릴정도로 과격하게 해야 하는 시위일텐데...
그동안 너무 세뇌 당해 있어서
그냥 환급만 받아도 좋다는 마인드인가?
한국은 국민들이 너무 착해???
거의 모든 사항에 대해서 한국 또한 징벌적 벌금제도를
시급히 도입해야 한다.
그래야 국민들을 봉으로 안볼테니...
반응형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IFRS 금융상품 (신)기준서의 금융회사 영향 및 시사점. (0) | 2018.07.02 |
---|---|
중국 상하이종합지수(SSEC)가 폭락하고 있다. - 한국의 위기...그리고 기회. (0) | 2018.06.28 |
트럼프 대북제제 1년 연장하다. - 남북경협주의 전망. (0) | 2018.06.27 |
미중 무역전쟁 사이에 낀 한국의 대안은? - 인도 가즈아~ (2) | 2018.06.26 |
삼성바이오로직스의 분식회계 문제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0) | 2018.06.26 |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위기. - 터키,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 (0) | 2018.05.26 |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폭파 후, 트럼프 북미회담 취소... - 30분도 안되서 바로 취소하는 양아치? (0) | 2018.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