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코스피', '코스닥'이 무섭게 급등했다. 미 연준 파월의장의 국회연설에서 3년정도는 괜찮다는 립서비스와 중국에서 들려오는 부양책 뉴스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파월 한마디에 다우 사상 최고치… 게임스톱 주가 104% 폭등 www.chosun.com 中, 4300조원 경기부양책 추진…“GDP 40% 규모” 중국 정부가 내달 양회(兩會·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25조위안(약 43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통과시킬 전망이다. 25.. biz.chosun.com 솔직히 말해서 파월의장의 말은 립서비스에 가깝고, 중국의 부양책 관련 소식이 단기로 '코스피'에 힘을 실어줄것으로 보인다. 오늘 분위기가 좋았다고 무작정 '코스피', '코스닥'에 들어가는 우는 범하지 말자. 내가 왜 그..
드디어 오늘 밤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히)에서 미국 금리인상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어제는 미국 증시도 금리인상 우려로 1%이상의 하락을 하였으나, 크게 걱정하는 분위기는 아닌것 같네요... 문제는 한국을 비롯한 남미나 아시아, 아프리카쪽 신흥국이 문제겠지요. 일단 국내에서 채권 매도가 많아진것은 확실하네요... 이것은 상당히 안좋은 징조이겠죠... 그 반대로 별 걱정이 없다는 뉴스도 보이네요... 느낌은 정 반대의 기사들 입니다.. 이것은 예를 들어 본 것이고요... 기사를 작성하는 기자의 생각, 각 신문사의 입장, 이익의 대변...등등등이 섞여있어서 어찌보면 위 2개의 기사처럼 대비되는 느낌의 기사들이 나오는 것 같다는 생각입니다... 그렇다면 실제 데이터는 어떨까요? 2018년 1월 자료가 등록되어..
전에도 이와 관련해서 글을 적었던 적이 있었지만, 아래와 같은 기사가 나왔네요. 2017/04/03 - [경제뉴스] - 주택도시보증공사의 강남4구에 대한 지급보증 거절... - 부제: 부동산 시장이 어째 쎄~하다... 이전에 적었던 글에서...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자금이 바닥이라는 얘기를 했었습니다. 그래서 지금까지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은행에 건설사와 입주자의 보증을 서 주고, 은행은 대출을 해 주었던 방식의 연결고리가 끊어지고 있는 셈이죠... 이것을 그림으로 그려보면... 그런데, 주택도시보증공사에서 자금이 바닥 났으니, 은행에 보증을 해주지 못하는 것이고... 은행은 건설사나 개인은 믿을수가 없으니 대출을 당연히 안해 주거나, 높은 금리로 해줄것입니다. 이때 대출금이 크다면 거절할 가능성이 높겠죠? ..
경제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은 '필립스곡선'이라는 말을 들어 봤을 것입니다. 영국의 경제학자 '필립스'는 화폐의 임금상승률과 실업률 사이에는 함수 관계가 있음을 발견 했습니다... (나도 뭐라도 발견 했으면 좋으련만...(-_-);;;) 위 곡선은 통상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관계로 나타내기도 합니다.. 즉, 실업률이 낮아지면, 물가상승률이 높이진다는 것인데요.... 현재 미국에서 실업률이 대략 4%인것을 감안하면 완전고용이라고 하는데, 물가는 그다지 상승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Fed'에서도 '금리인상'을 할까~말까~ 하는 상황입니다... 이렇게 전통적으로 확인 되었던 '필립스곡선'이 무너지면서 사람들은 그 원인을 찾아 내기 시작합니다. '필립스곡선'이 ..
몇 주 전부터 한국 주식시장의 하락에 베팅 한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2018/01/17 - [투자종목] - 주식시장의 충격을 예상하고 대비한다. - 인버스... 과연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해서 과민성 반응(?)을 보이는 군요... 지금까지 몇년동안 우리는 저금리에 적응해 있었고, 이제는 고금리에 대비해야 하는데... 아직 준비가 안되어 있다는 반증이라는 생각이 드네요. 생각보다 미국 경제가 호황이고, 임금 상승률이 생각보다 높아서 인플레이션의 우려가 있고, 이는 미 국채 금리의 상승을 불러 일으켰으며, 이는 주식의 폭락으로 이어졌다.... 라고들 하는데... 솔직히 말인지 막걸리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이러한 지적이 정확하다고 해도... 지적은 후행적인 것이고...투자는 선행적인 것이라서... 굳이 원인..
미국의 기준금리는 1.25~1.5%, 한국의 기준금리는 1.5%로 대등소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미 10년물과 한국의 10년물 국채금리를 살펴보게 되면, 이미 금리는 역전되어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고객이 저축하는데 있어서, 국민은행과 부산저축은행에 저축 했을때 이자를 국민은행에서 더 준다는 말입니다. 보통은 안정적인 은행... 즉, 제1금융권의 은행들은 저축은행들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자를 더 주지는 않지요... 그런데... 더 주게 되었다는 겁니다... 이것을 '금리역전'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고객들은 당연히 더 안정적인 국민은행이 더 많은 이자를 주게 되므로 당연히 국민은행에 돈을 입금하겠지요.. 당연한 말이지만... 미국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