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선분양 시스템은 이제 없어져야 합니다. 하다못해 과일 하나를 고를때도 이리보고 저리보고 사실텐데요.. 수억이나 나가는 아파트는 보지도 않고, 이곳 저곳 점검하지도 않고 분양을 받는지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네요. 가뜩이나 이렇게 지어진 아파트들을 영끌이다 뭐다 해서 호구로 끌어들이는 이 시스템이 언제까지 유지될지 걱정스럽습니다. 실제적으로 집의 구매가능 인구수는 2020년부터 줄어드는 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잠재적 구매자들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죠. 여기에 점점 보유세와 투기 및 다주택자를 압박하기 위한 규제가 점점 세지고 있는 상황이죠. 이러한 상황은 일본의 부동산 급락 시점과 매우 흡사해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현재도 한국 부동산 시장이 급락할 것인가? 아니면 지속적인 상승을 할 ..
20-30 젊은이들의 부동산 투자가 급증하고 있다. 소위 '영끌'이라는 신조어로 이를 합리화 시키고 있지만, 실상은 40-50대는 매물을 20-30 젊은이들에게 넘기고 있는 모습이다. 위기를 경험하지 못한 젊은 세대들은 매물을 넘겨받고 폭망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아 보인다.
POLY DEVELOP(600048), 보리부동산. 중국 내수/소비위주 부양책으로 혜택을 입을 가능성 농후박스권 상승추세를 이루고 있음박스권 매매 유효
올해 부동산 '리츠'를 활성화 한다는 뉴스가 눈에 띕니다. 특히나 올해 '롯데리츠'가 상장될 예정이군요. 그렇다면 '리츠'란 무엇일까요? 아래에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클릭 해 보세요. 한마디로 여러명의 돈을 모아서 부동산을 매입, 또는 운영하여 나오는 수익을 나눠주는 겁니다. 부동산은 가격대가 커서 개인이 매입 또는 운영하기에는 힘들잖아요. 정부에서도 '리츠' 활성화 방안을 발표 했네요. [PDF] 리츠 공모·상장 활성화 방안 - 금융위원회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에 투자해서 배당금을 받는것이니 소액으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여 월세집 주인이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하필 지금에야 활성화 시킬려는 것 일까요? 롯데는 왜 하필 지금에야 '리츠'를 상장시키려는 것 일까요? ..
얼마전에 '신한알파리츠(293940)'가 새롭게 상장 되었군요. 부동산에 개념이 별로 없어서 디테일한 정보는 드리지 못하지만 그래도 단편적으로나마 적어 보겠습니다. '리츠'라는 개념 자체가 투자자들을 모아서 부동산에 투자하여 그 이익금을 배당하는 것이라고 합니다. '리츠'에 대해서 좀 더 디테일한 개념을 잡고자 한다면 위 그림에 링크되어 있는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리츠'에는 공모형과 주식 종목처럼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리츠'가 있다고 하는데요. 공모형은 솔직히 별 매력을 느끼지 못하겠고요. '상장리츠'쪽을 살펴보면 이렇게 4종목이 있습니다. 주가의 추세는 모두 별로 좋아 보이지는 않네요. 그래서 별로 매력을 느끼지 못하는 가운데 8월에 새롭게 '신한알파리츠'가 상장 되었습니다. 아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