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만해도 많은 은행들에 계좌가 한,두개씩은꼭 있습니다. 기억도 나지않을 만큼 오래전에 신청했던자동이체가 지금까지도 걸려 있었네요.물론 돈은 빠져나가지 않았지만요...헐... 그래서 계좌 조회를 해서 사용하지 않는자동이체 건수들을 깔끔하게 정리 하였습니다. 모든 은행을 통합해서 조회 및 해지할 수 있으니한번쯤 설치해 볼만한 어플 같습니다.
'카카오'의 지난번 상승 초기에도 상승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씀 드렸었죠? 조금(?) 먹고나서 다시 하락할거 같다고 말씀 드렸고... 저도 뒤도 안돌아 보고 도망(?) 갔었던 종목인데요... 2017/11/26 - [투자종목] - 현재 카카오 주가 전망.(17.11.26) '카카오'가 하락추세를 끝내고 다시 재 상승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듯 보여서 말이죠... 그래서 다시 관심종목에 편입 시키고 매수 타이밍을 고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너무 신경을 안쓰고 있다보니 매수 타이밍이 좀 늦었네요...OTL... 카카오의 월봉상 챠트를 살펴보면 'N자형' 패턴이 뚜렷하게 보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상승 추세를 이루기는 할텐데... 현 시점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하느냐... 아니면 단기로 9만원 후반대로 하..
자본주의에서 은행이란 안전성이 우선입니다. 그다음이 신뢰성이죠. 내가 예금 했을때 바로 출금할 수 있다는 믿음... 이 믿음을 한국의 은행들은 땅바닥에 패대기 쳤네요... 세상이 미쳐가고 있는것 같습니다. 금융 부분에서 최후까지 '안전'과 '신뢰'를 보장해 주어야 하는곳이 '은행'인데 말이죠... 대출 해 주면서 신용 점수를 높여서 '대출이자'를 낮출 수 있는 항목들을 고의로 누락시켜 '대출이자'를 높이다니..허허허... 위 기사 내용이라면... '경남은행'은 거의 막장 수준이네요... 이게 환급으로 끝날 문제인가요? 징벌적인 벌금을 징수 해야죠. "내가 말이지...사기를 쳤어..." "그런데 아이쿠...걸렸네?" "미안...사기 친 돈만 돌려주면 된다네...ㅋ" 한국 자본주의에 가장 문제점 중에 한가지..
오늘 뉴스가 하나 떳네요... 금감원에서 하나은행의 '회장후보추진위원회'의 개선을 권고 했다는 내용인데요... 요즘에 눈,귀로 들어오는 정보가 있어서 이 뉴스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사정을 모르시는 분들이나, 경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그냥 그렇구나... 하시겠지만... 조금이라도 경제에 관심이 있거나.... 제 글을 약간은 열성적으로 읽으신 분이시라면...ㅋ 쉽게 키워드를 얻으셨으리라 생각 합니다... 먼저 뉴스를 보시면... 이 뉴스를 보면서 얼마전에 '금융위원회'에서 보도자료로 발표 하였던 'FSB 동료평가 보고서'가 생각 나더라구요...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hwp(File Size : 225.5 KB)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pdf(File..
금융생활에 필요한 모든 정보, 인터넷에서 「파인」 두 글자를 쳐보세요 “금융은 튼튼하게, 소비자는 행복하게” 보 도 자 료 보도 2017. 11. 30.(목) 석간 배포 2017. 11. 29.(수) 담당부서 일반은행국 김철웅 국장(3145-7050), 박상원 팀장(3145-7090) 제 목 : ‘17년 9월말 은행 및 은행지주회사 BIS기준 자본비율 현황(잠정) 1. 국내은행 현황 □ ‘17년 9월말 국내은행의 BIS기준 총자본비율, 기본자본비율, 보통주자본비율은 각각 15.40%, 13.29%, 12.72% 수준 ㅇ ‘17년 6월말 대비 총자본비율(+0.01%p)과 보통주자본비율(△0.01%p)은 비슷한 반면, 기본자본비율(+0.03%p)은 소폭 상승 □ 이는 ‘17.3분기중 총자본증가율(+2.39%..
카카오뱅크의 영향력이 예상보다 클거라는 예상을 전부터 말씀 드렸었습니다. 첫날인 오늘만 가입자가 18만명으로 시중은행 1년 가입자수를 돌파 했다는 뉴스도 나왔습니다. 대단한 기록이기는 합니다만.... 잠시 몇가지 짚고 넘어가야 할 사안이 있는것 같습니다. 저는 카카오 주식을 전량 매도 한 상태이기 때문에 조금은 편하게 지적질(?) 할수도 있겠네요...;;; 먼저, 오늘 오전 7시부터 정식 출범 했다고 했는데요... 아마도 많은 분들이 위에있는 에러창을 보셨을거라 생각됩니다... 은행의 핵심은 보안과 안전성이라 생각 합니다.. 접속자 폭주로 인해서 발생하는 것이라고 이해하기는 조금 어렵지요... 예를들어.. 내가 카카오뱅크에 5천만원을 예금 한 상태라고 합시다.. 보안문제이든지 건전성에 문제가 생겨서 다른..
아시는분은 아실거지만, 2018년 1월1일부터 IFRS9, IFRS15가 적용 될 예정입니다. 이점이 뉴스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네요... 매번 그래왔던 것처럼 12월쯤 가서야 클났네...하다가... 뒤통수 제대로 맞을때쯤에서야 난리부르스(?)를 추게되겠죠... IFRS9은 은행과 관련된 국제회계기구의 회계기준입니다. IFRS15는 기업의 회계와 관련된 것이죠.... 정말 쉽게 말씀드리면... IFRS9은 은행에서 대출 발생시 수익보다는 손실로 잡힌다는 겁니다. 물론 그 외 리스크에서도 더욱 엄격해 지겠죠? IFRS15는 기업과 관련해서 마찬가지로.. 계약발생시 매출로 또는 이익으로 계산되던 현행방식에서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수입만을 이익으로 판단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기업의 이익률이 엄청..
은행주의 상승이 보기 좋습니다... 뉴스를보니 실적이 좋아져서 상승한다고 하는데... 왜 갑자기 실적이 좋아진 것일까요??? 아니, 더욱 더 좋아질것으로 생각하는 이유가 뭘까요? 이리저리 맞춰보니 가장 간단한 생각이 드네요... 먼저, 아파트를 비롯한 부동산 관련 대출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한 이익증가... 둘째, 보유주식을 매각??? 우리은행과 국민은행의 챠트 입니다... 첫번째 이유야 당연한 거겠죠... 한국에서 아파트를 사려면 거의 대출을 받았을테고.... 이는 곧 은행의 이익증가 이겠죠... 두번째는 한번 더 생각 해 봐야 하는 겁니다... 내년부터 시행되는 IFRS9의 체제에서는 보유주식이 위험요인으로 평가되고, 매도해도 이익으로 잡히지를 않습니다... 그러니 시행되기 전 올해에 모두 정리하는게 ..
카카오가 10만원을 넘어 섰네요... 블로그에서 자주 언급했었던 종목인데요... 오늘은 약간은 다른 시각에서 바라 보고자 합니다... 저도 궁금했습니다... 카카오가 과연 어느정도 성장성이 있는지... 카카오뱅크는 과연 어느정도 전망이 있는지를 말이죠... 정확한 기업의 가치 측정이야말로 기본중의 기본인데... 가장 어려운 일이기도 합니다... 카카오에서 흥미로운 점은 위 월봉챠트에서 20일 이동평균선이 60일선을 뚫는 모습을 지난 14년도 3~4월쯤에도 보였다는 겁니다... 과연 역사는 재현될 수 있을지 지켜봐야 겠지요? 두번째는 한국은행에서 나온 보도자료에 따르면... 인터넷 사용량 보다 스마트폰의 증가세가 더 뚜렷이 증가하고 있다는 자료입니다... 누구나 어렴풋이는 느끼고 있었겠지만.... 실제 데..
국민은행이 첫 포를 쐈던 DSR시행 첫날... 조용했답니다... 일단 첫 시행이라서 그런지... 뺄거 다 빼고 시행해서 반발이 거의 없었나 보네요... 그런데...아직 안심하기는 이르죠... 내년 IFRS9이 시행 되기전에 지금 적응 시키고 있는 겁니다.... 당연히 내년 이후에는 모든것이 적용 되겠죠??? 지금은 예방주사 맞는것... 또는 간 보고 있는 겁니다.... 여러분~ 긴장 줄 놓지 마세요~
정부에서 기업의 구조조정을 시장에 맡긴다는 뉴스가 뜨고나서 국민은행이 먼저 선수를 쳤네요... 정부가 돈이 없나 봅니다... 뉴스의 내용대로 자본시장 주도로 손을 놔 버린다면 그냥 고양이 앞에 생선을 나열 해 주는 꼴 아닌가요??? 개인적으로 누구를 탄핵한 것보다 이게 더 심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기업들은 전부터 뭔가 신호를 받았던 건가요? 그래서 이렇게 미친듯이 유보금을 쌓아 놓았나??? 아무튼... 현재의 DTI위주의 대출에서는 의사, 변호사, 기술사등은 1억정도는 은행에서 금방 땡길 수 있었죠... DSR로 바뀌는 구조에서는 무조건 자신의 수입, 기업의 수입...무조건 수입이 중요 합니다... 대략 자신의 수입의 300%정도가 최대 한도라고 하는군요... 이것도 많다, 적다 어쩌고 있는데... ..
지난달 시골에 내려가는 도중에 읍내 농협이 통합되었다는 현수막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때만해도 '아! 시골에 사람이 없어서 통합시키는 건가?'라는 생각을 했었죠... 궁금해서 좀 더 알아보던중에 금융업에서 바젤3와 IFRS라는 국제회계기준이 적용된다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이쪽 계통 종사자가 아니라서 자세히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읽어보시면 쉽게 이해가 될것으로 생각 합니다. 지금까지 크게 보도된적은 거의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왠지 내가 보았던 농협의 지점통합이 위 사항에 기인해서 진행되고 있는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네요... 가뜩이나 인터넷은행이 생겨난다는 이 시점에 은행/보험업은 더욱 힘들것 같습니다. 구조조정할때 가장 쉬운 방법은 인력을 감축하는 것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