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하나은행 지배구조 개선을 요구하다...
- 뉴스.
- 2017. 12. 13.
오늘 뉴스가 하나 떳네요...
금감원에서 하나은행의 '회장후보추진위원회'의
개선을 권고 했다는 내용인데요...
요즘에 눈,귀로 들어오는 정보가 있어서
이 뉴스가 예사롭지 않습니다..
사정을 모르시는 분들이나, 경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그냥 그렇구나...
하시겠지만...
조금이라도 경제에 관심이 있거나....
제 글을 약간은 열성적으로 읽으신 분이시라면...ㅋ
쉽게 키워드를 얻으셨으리라 생각 합니다...
먼저 뉴스를 보시면...
출처: 머니투데이
이 뉴스를 보면서 얼마전에 '금융위원회'에서 보도자료로 발표 하였던
'FSB 동료평가 보고서'가 생각 나더라구요...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hwp(File Size : 225.5 KB)
☆(보도자료) FSB동료평가 결과_최최종_배포_F.pdf(File Size : 243.29 KB)
FBS란 보고서 내용 첫부분에 나와 있습니다만...
24개국 이상의 금융당국등이 참여하여 평가 해 주는 것이죠...
솔직히 한국의 은행같은 곳을 한국 공기업에서 평가 한다면
신뢰성을 따져 봤을 때 믿을수가 없잖아요...
일단 나부터도 말이죠...;;;
그래서 여러 다른 국가들이 서로 평가 해 주는 것이겠죠?
총평만 보자면..
- (위기관리·정리체계) FSB 정리체계 권고안 도입 등 상당한 진전 |
ㅇ FSB “효과적 금융기관 정리를 위한 핵심요소(Key Attributes, '11년)”상 대부분의 정리권한(자산부채이전, 가교금융회사 설립 등)이 정리제도에 旣반영
- 권고안중 회생·정리계획(RRP), 채권자 손실분담(bail-in), 조기종결권 일시정지(temporary stay) 권한 등의 도입도 추진중
ㅇ 시스템리스크 모니터링 및 위기상황 대응 관련 유관기관간 협력을 위해 거시경제금융회의① 및 비상상황실② 운영
* ①거시경제금융회의: 기획재정부, 금융위원회,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등 참여②비상상황실: 금융위원회 및 금융감독원 참여
ㅇ 예금보험공사의 예금보험기금 적자 감축을 위한 노력도 진행중
- (비은행) 비은행 부문 규제차익을 해소해왔으며 가계부채 등 관련 리스크에도 선제적 대응 |
ㅇ 저축은행과 상호금융의 자산건전성 분류 및 대손충당금, LTV·DTI 기준 등이 은행 수준으로 강화
ㅇ 대형 저축은행(자산 1조원 이상)에 대한 BIS 비율 기준도 '18.1월부터 강화 예정(7%→8%)
ㅇ 아울러, 상호금융정책협의회 운영('13년~)을 통해 감독기관간 정책 공조 및 업권별 정책 일관성 제고를 위해 노력
Ⅲ. 권고안 주요 내용
- (위기관리·정리체계) FSB 권고안의 적기 도입 및 위기상황 대비 강화 |
ㅇ (권고1) FSB 정리체계 권고안(RRP, bail-in 등)을 적기에 도입하고,
- 정리절차 조기개시 요건 마련 및 공공기금 손실을 산업에서 회수할 수 있는 규정 정비 등을 검토
ㅇ (권고2) 위기대응 전담 협의체(forum) 설립 필요성을 검토하고, 대형은행(systemic bank) 정리를 가정한 주기적 시뮬레이션을 실시
-(비은행) 상호금융 감독 관련 금융위·금감원의 역할 확대 및 중앙회 감독 강화, 저축은행·상호금융 자본규제 개선 등 |
ㅇ (권고3) 상호금융 기관간 규제 일관성 제고를 위해 금융위·금감원의 역할을 제고하고 검사인력 확대 및 리스크 중심 감독 강화 추진
ㅇ (권고4) 저축은행* 및 상호금융 건전성 규제를 개선하고 일정규모 이상 상호금융 조합에 대한 자산·부채 관리체계(asset-liability management framework) 도입
* 저축은행 BIS 비율 기준 상향(현행 7%→8%) 대상을 (대형 저축은행 규제강화 경과 관찰 후) 점진적 확대 검토 및 동일인 지분소유(현행 100%) 제한 고려
ㅇ (권고5) 상호금융 중앙회에 대한 감독 강화를 위해,
- ①중앙회의 조합 감독·검사 업무 지침 마련, ②지배구조 관련 규정 검토, ③시스템리스크 분석 대상에 중앙회 포함 등 추진
ㅇ (권고6) 상호금융 조합 및 저축은행 권역내 체계적 통합을 지원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
* 예시 : 공동의 기술 기반(technology platforms) 혹은 신용평가 시스템 이용, 지원부서(back office) 기능 공유 등을 통한 비용분담의 장려 등
입니다...
개인적인 의견은...
위기관리 차원에서 손을대고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부나 기관에서는 'IFRS9' 대비해서 충당금을 쌓아라~ 라고 말하고 있지만...
은행권에서는 우리는 계속 배당 해야 되~ 라고 버티는 것이 아닐까 하네요...
그래서 직접 손을쓰고 있는것은 아닌지...
여담으로...
IFRS9에서 리스크 관련 부분은 2020년으로 미뤄졌지만...
반대 급부로 RRP, 베일인제도는 조기 도입이 될것으로 생각 됩니다...
큰것을 얻고, 작은것을 주었다고 생각 할 수도 있겠지만서도...
국가 시스템을 살리고, 국민들을 힘들게 하는 방법을 쓰고 있는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지울 수 없습니다...
뭐...
그게 가장 쉬운방법일테니까요...
'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 및 국내 경제지표 (0) | 2018.01.17 |
---|---|
국제금융 inside - 2018. 01 (0) | 2018.01.17 |
내년 미국 금리인상 4회를 예상한다.. (0) | 2017.12.13 |
'18년 본격적인 LCD 공급과잉 된다. (0) | 2017.12.13 |
한국 국민부담률 사상 처음으로 26.3%를 넘어서다. (0) | 2017.12.11 |
2017-2018년 금융동향 세미나 - 한국금융연구원(KIF) (0) | 2017.12.11 |
바젤III 규제개혁 완료 - 한국은행 - (0) | 2017.1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