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시 예상대로 OPEC +@ 국가들도무늬만 감산하는 것으로 끝내려는 것 같네요. 결국 멕시코를 앞세운 미국이파토를 낸것 같고요... 처음부터 트럼프는 자국의 인위적인 감산은없을거라고 선을 그었습니다.이에 러시아는 반발 했고요. 여러가지 조치들을 보았을때사우디나 러시아나 결국은...장기적인 저유가를 대비하려는 듯 보여집니다. 위의 트럼프 말은 아직 메이져 신문들에는나오지 않고 있는 것으로 봐서가짜 뉴스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솔직히 저런 말 자체가 말이 안됩니다.왜냐하면 지금까지 트럼프가 노력해 왔던자국의 제조업을 단숨에 무너뜨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제 정신이라면 저런 말을 할리가 없죠. 위 기사에서 트럼프는 이렇게 말 했답니다."우리의 석유기업이 망하지 않을 정도의 최소한의 유가가 필요하다"고 말이죠..
베럴당 24.5$ 수준이었던 WTI 국제유가가현재 26.2$로 밤새 급등 했습니다. 말 그대로 기대감에 급등할 만큼유가의 체력이 엄청 약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작은 호재에도 가격이 급등락 한다는 거죠. 일단 OPEC(사우디)과 +@(러시아 외)가만나서 합의는 도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런데 뉴스에도 나온것처럼줄어든 수요가 2천만 베럴 정도인데러시아가 160만 베럴 줄인다면사우디도 당연히 그정도 수준에서 줄일테고 이는 급감하는 수요에 턱없이 못 미치는 수준이 될겁니다.시장은 이에 실망하고 다시 하락할 것이고요. 어제 밤애 원유 가격이 급등 했었던 이유는OPEC과 +@(러시아)의 합의 가능성 때문입니다. 그런데 합의가 도출되었다 하더라도미국(트럼프)와 다시 협상을 해야 합니다. 현재 트럼프의 입장은O..
드디어 정들었던 '레몬'을 전량 매도하고유가와 은의 하락에 베팅 하였습니다. 유가를 살펴보자면일단 트럼프의 트위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트럼프 형이 또 미 동부시간을 기준으로9시에 인터뷰를 한다고 하네요...헐...한국 시간으로는 오늘 10시가 되겠네요. 일단 지금까지의 국제유가 추이를 살펴봅시다. 가장먼저 OPEC에서는 감산에 미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트럼프 형을 너무 낮게 보는것이 아닌가 싶네요.트럼프 형은 미국은 감산을 하지 않을 것이고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게만감산하도록 압력을 넣을것입니다. OPEC에서는 자기들만으로는트럼프 형이 콧방귀도 안뀌니다른 나라들도 참여 시켜서압박을 넣고자 하는 것 같네요.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이트럼프 형의 재선 선거가 올해인데 말이죠.절대..
금 시장에서 중국과 더불어서 큰 손이었던러시아의 금 매입 중단 뉴스가 떴습니다. 은 가격은 조금씩 상승하는데이상하게 금 가격이 하락하는게 조금은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뉴스를 찾아보니 역시나 러시아에서 갑작스레금 매입을 중단했군요. 국제원유가 폭락한 가운데서금을 매입할 돈이 없나 봅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비교적 견고하게 가격을 지켜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향후 금 선물이나 레버리지가수익을 줄 수 있을지에는물음표가 떠오릅니다.
지금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금융시장에 타격을 입은 것이 아닌 '코로나'로 인해서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습니다. "금융 -> 신용 -> 실물자산"이라는 연계속에서 돌아가는 경제가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각 국가 정부에서는 '신용'에서 '실물' 자산으로의 위험전이가 되지 않도록 많은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지요. 기업의 신용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회사채 직업 매입, CP 매입, RP 매입등 예전에는 볼수 없었던 직접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나마 지금의 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다 이런 정책 덕분이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이렇습니다. 정부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걸까요? 정부는 시장을 이길수 있을까요? 미 연준은 과연 시장을 이길수 있을까요? '미 연준 vs 시장'이라는 대결구도에서 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