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한진 오너일가의 문제로 연일 떠들석 합니다... 휴...그동안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숨기고 싶었던 민낯을 그대로 들어 내는군요. 한국에서 소위 재벌 기업들의 오너 일가들은 기업의 2~3%정도밖에 지분이 없으면서도 절대적으로 권력을 휘둘러 왔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행태를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할까요? 네..계속 지켜 보시겠다고요? 그럼 계속 힘드실겁니다... 요즘 '갑질'로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한항공'을 예로 들어보면 내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 'IFRS16'이 적용되는데요... 이는 '리스'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게 왜 문제가 되냐하면... 아래 뉴스를 참고해 보시면 쉽게 알수 있습니다. 항공사가 항공기를 모두 구매해서 운용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리스'라는 형태로 임대 하거나, ..
먼저 미입주 물량이 폭발적으로 늘어 날것이라는 것은 왠만한 사람은 알고 있었던 사실이다.. 뉴스에서처럼 어디에선가 갑작스레 떨어진것이 아니라는 것. 이러한 미입주 사태는 앞으로 더 심하게 발생 하겠지만 정부가 그 문제를 전적으로 떠 안아서는 안된다. 건설사 자기들이 아파트를 지어서 입주가 안된다면 당연히 건설사 스스로가 감당해야 하는것이 당연한 것 아닌가? 아니 내가 주식투자 했는데 손해 봤다고 국가에서 배상해 주는 것과 무엇이 다른가? 이런 땅 짚고 헤엄치기식 경영은 솔직히 나도 하겠다. 대한민국에서 기업 오너들이 갖고 있는 전형적인 '이익은 나에게, 손해는 너에게'라는 마인드를 이제는 뿌리 뽑아야 한다. 그래서 나는 건설사에 공적 세금이 투입 되거나 정부가 그 아파트를 떠 안는 것을 절대적으로 반대한..
저소득자만 '하우스 푸어'가 있는줄 알았더니만고소득자들도 '하우스 푸어'가 많았었네요... 결국 고소등층이 공격적으로 아파트 등, 부동산을 매수해서 망할일이 많이 남아있다는 수준에서 이해해야 할듯 합니다.
새로운 국제회계기준인 'IFRS15'가 적용됨에 따라서 한국 사회 시스템 또한 변화를 시작하고 있음이 느껴집니다. 네...이제는 인테리어 공사 마칠때까지 대금을 안주셔도 됩니다. 특히나 이번에 적용되는 'IFRS15' 에서는 '수행의무'와 '통제권'이 강화되는 것인데요... 특히나 '통제권'을 고객에게 인수하는 시점을 수입으로 잡을 수 있다는 것이죠... 아파트를 예로 들면, 입주자가 아파트의 '통제권'을 얻는 시기가 언제 일까요? 맞습니다... 입주할 때이죠... 그럼 건설사의 수입이 언제 잡힐까요? 네...입주자가 입주할때 수익으로 잡을수 있습니다... 결국 후분양제 하겠다는 얘기 이지요... 지금처럼 돈 내고 선분양으로 하는 시스템을 과연 용인해 줄까요...ㅎㅎㅎ 건설사는 당연히 타격을 입을수 밖에..
이미 2016년도에 일본에서는 성인의 40%정도가 성경험이 없다는 뉴스가 나왔었습니다... 제가 보기에는 좀 충격적인 뉴스인데요... 아직까지 내가 왜 모르고 있었는지 갸우뚱 했었습니다... 유튜브라는 바다에서 '금융' 관련해서 영상을 둘러 보는 와중에 결국은 이런 동영상만을 보게 되었네요... 어떻게 보면 상당히 해학(?)적이지만 짚어볼 문제점도 있어서 아래에 올려 드립니다. 아래 글부터는 철저히 저만의 주관적인 의견이므로 댓글에 반박하셔도 괜찮습니다.. 욕만 하지 말아주세요..ㅠㅠ.. 영국이나 미국에서 소위 '페미니즘' 운동이 벌어진 이후에는 아래와 같은 흐름이 국가마다 반복되는 듯한 모습입니다. 여성의 피해 -> 여성 권리가 과도하게 상승 -> 남성 피해 -> 결국 여성도 피해 아래 동영상도 심각하..
이번에 신한은행에서 고객 155만명의 자료를 분석하여'서울시 생활금융지도'라는 것을 공개 하였습니다. 우리가 흔히 뉴스에서 볼수 있었던 월급의 평균선이상당히 낮다는 것을 아실수 있을겁니다... 상당히 힘든 삶을 살아가고 있다는 반증이겠지요... 자영업을 할려면 보편적으로무조건 종로, 중구, 영등포, 강서 지역에서해야 할것으로 보여집니다..ㅎㅎ 물론 취업도 이쪽 지역에서 해야 할듯 하구요... 그동안 정부의 주도아래 기업들이 파티를 벌이는 동안에도가계는 아주 작살이 났을거라는 추측이 쉽게 들도록 만드는 뉴스 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