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랜만에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ㅋ 굳이 글을 써 봐야 시간 낭비라는 생각도 슬슬 들기 시작하고 유튜브라는 훌륭한 매체가 있어서 이제는 문자의 시대 끝자락에 와 있다는 느낌도 있어서 예전처럼 적극적으로 되지가 않네요... 그래도 요즘 저의 가장 큰 관심사를 말 해보자면 1. 미 금리인상 2. 코스피 반등은 어디까지 일까? 3. 주한미군의 축소 진행과 철수여부 먼저 '미국 금리인상'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서 상당히 궁금합니다. 뉴스에서도 자주 나와서 아시겠지만, 미국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에 있어서 유연한 자세를 취하겠다는 시그널을 시장에 보냈습니다. 그 이후로 미 증시 뿐만 아니라 코스피까지도 반등의 시작점이 되었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언론에서 말하지 않는 1가지 이슈가 더 있지 않나요?..
순수 자기 자금으로 주택을 구입하는 사람은 한국에서도 별로 없을것으로 추정됩니다. 보통은 은행에서 '주택담보대출'(이하 주담대)을 받아서 구입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지요. 현재 '주담대' 대출 금리를 살펴보면 평균 3.5%정도로 인상된 상황입니다. 미국에서 지속적으로 금리를 인상 시키고 있으니 한국의 '주담대' 대출 금리는 최소 5%정도까지 인상될것으로 예상하네요. 대출 금리가 가장 작다는 '주담대' 대출 금리가 이정도이니 다른 신용 대출 같은것은 대출 금리를 얼마나 주고 빌려야 할지 감도 안오네요... 특히나 3~5년전에 낮은 금리로 '주담대' 대출을 받은 사람들은 이번에 변동 금리로 변경되고 나서 부터는 상당히 높은 이자를 은행에 주어야 할지도 모르겠습니다. 문제는 여기에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예를들..
매우 공감가는 의견이기에 올려 봅니다. 결국 중국의 금융이 개방되어 미국을 비롯한 외국자본에 자본이 강탈 당하기 전까지는이 상황이 끝나지 않을거라는 말이네요... 요즘 이와같은 시각으로 바라보는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다양한 의견은 저를 더욱 풍요롭게 합니다.노력하시는 분들에게 감사를 드립니다.ㅋ
요즘 뉴스에서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의 채권 수익률이 역전되면 장기 침체가 찾아온다는 얘기들이 눈에 많이 띄입니다. 과거에 미 국채 2년물과 10년물의 수익률 역전 되었을때 여지없이 1년정도 이후에 경기침체기가 찾왔다는 것은 그래프로도 잘 알수 있습니다. 최근 '미 국채 수익률'을 살펴보면 대략 0.297P 정도의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통계적으로 볼때 무시할 수 없는 자료임에는 틀림 없지요. 위 자료를 합산한 표를 찾아보면 이렇게 간단히 찾아볼 수 있습니다. 무조건 미 국채의 '스프레드'가 벌어진다고 해서 좋은것만은 아닙니다. 어떤 방식으로 벌어지느냐가 문제인 것이죠... 보통은 2년물 수익률이 하락하고, 10년물 수익률이 상승함으로 '스프레드' 차가 벌어지는데요. 지금은 2년물과 10년물이 동시..
한국은행이 금일 금리를 현 수준인 1.5%를 유지 하는것으로 결정 하였습니다... 기사에서 보듯이... 한국은행이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1.6%로 전망 했기 때문이라는데요... 솔직히 슈퍼에 가보면... 오늘과 내일의 가격이 다른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사실 실제 물가는 5%이상이라고 생각 됩니다만... 개인적인 생각일 뿐이니 많은 동의를 못 얻을테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이렇게 두배나 차이나는 이유는 뭘까요? 위 뉴스에서 처럼 물품마다 가중치가 있다고 합니다... 이 가중치 때문에 실제물가와 차이나 나는 것인데요.. 거기에 대한 대답은 심플합니다... "다른 나라들도 그렇게 하고 있다..." 정말 만병통치 약같은 말이죠? 어떤 사항에 대해서는 외국의 사례를 적용하지 않는 반면에... 이런 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