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지수가 3일의 상승을 마치고 금일(10.30)은 전고점 돌파에 실패하였습니다. 오늘 돌파하였다면 비교적 큰 폭의 상승이 나올 뻔하였지만, 정말 아쉽게 되었습니다. 참고로 위 차트의 양봉과 음봉이 한국과는 반대입니다. 빨간색 캔들이 하락인 것이죠. '코스닥'은 이미 지속적인 하락 추세에 진입하였고, 빨간색 박스권이 강하게 지지되는 박스권으로 예상됩니다. 이 구간이 뚫린다면 코로나가 시작되었던 3월 바닥 부근까지 뚜렷한 지지선이 없는 상황입니다. 물론 그 구간까지는 안 가겠지요... 설마... '코스닥'의 거래대금도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부동산이든지 주식이든지 그 무엇이든지 자본주의에서 '거래'가 줄어든다는 것은 많은 매수 및 대기자들 가격이 비싸다고 생각하고 있거나, 미래에 가격이..
오늘도 시장이 하락하는 중입니다. 그렇지만 차트를 살펴보면 오늘의 하락은 레버리지의 매수 급소가 아닌가 생각되서 매수를 완료하였습니다. 코스닥 지수는 120선의 지지력을 테스트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3일간의 일봉을 살펴보면 우리가 교과서에서 보았던 상승형이라는 것을 알수도 있겠네요. 또한 계속된 음봉의 연속 출현으로 단기 반등이 나올 자리인것으로 판단 되었습니다. 차트상으로 봐도 3번째 지지선을 터치하고 있으므로 이자리에서 하락은 힘이 약할것으로 생각합니다. 몰론 시장 장중에 바닥 테스트를 하려고 한번 뺄수는 있겠지요. 결론은 오늘은 아랫꼬리를 달고 상승패턴을 보여줄것으로 예상하고 있고, 적어도 내일은 상승하겠구나..하는 추측을 감히 해봅니다.
직전에 쓴 글에서 한국 시장의 하락을 예측 했었고, 역시나 하락하고 있네요. www.gildong.net/1364
코스피, 코스닥 시장의 하락이 예측 됩니다. 아마도 주린이 분들은 지금의 분위기에 취해 있어서 끝없는 상승을 예상하고 있겠지만... 뭐..생각대로 수익을 거둘 수 있다면 모두가 부자가 되었겠지요... 하락을 전제로 하고 코스피와 코스닥... 하락한다면 어느것이 더 하락률이 좋을까...생각하다 보니 아무래도 개인들이 코스닥에 많이 몰려있으므로 코스닥의 하락률이 더 세지 않을까 하는 마음에 코스닥 하락에 베팅 하였습니다. 위 코스닥 종합차트를 보면 '헤드엔숄더'같은 유명한 패턴이 나타나는 중으로 하락의 확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위 그림은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라고 하는 코스닥 하락시 수익을 얻는 ETF입니다. 외국인은 특별한 포지션이 없다고 해도, 기관의 매수가 의미가 있습니다. 선물과 옵션의 ..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주식 대주주 요건을 기존 10억->3억 원으로 예정대로 시행한다고 발표 하였습니다. 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20/10/07/2020100701343.html 홍남기 "3억원 주식 대주주 양도세 과세 예정대로 할 것"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최근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가족 합산 3억원 이상 주식 보유 시 대주주로 지정해 과세한다’는 소득세법 .. biz.chosun.com 요즘 집값이 고공 상승을 하고 있는 가운데 개별종목 3억 원 보유가 대주주라니...;;; 좀 아이러니합니다. 문제는 당장 내년부터 적용받을 예정이어서, 대주주 양도세를 적용받게 되면 수익의 22~33%를 세금으로 내야 합니다. 그래서 대주주를 ..
아이쿠... 코스피, 코스닥 할것없이 며칠동안 주구장창 하락만을 거듭하고 있네요. 코스닥은 800선이 무너졌네요. 일별 거래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의 대량매도가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된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외국인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매도를 하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지요... 가장 근원적인 원인부터 살펴보자면 최대한 짧게 적어도 글이 길어집니다. 인내심 있게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미 국채금리의 상승의 시작은 10월 3일에 '파월' 미 연방준비위원회 의장이 했던 말이 '트리거'가 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그 이전에 Fed에서 금리를 상승시킬때 보고서에서도 '완만한 상승'이라는 문구를 삭제 했다지요... "중립금리는 아직 멀었다." 금리를 더 올리겠다는 말입니다... 결국 이 한마..
7월 30일 월요일 '코스닥' 전망입니다. '코스닥 레버리지' 투자자 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은 이틀째 상승에 베팅하기 시작하였습니다. 반대로 '코스닥 인버스'를 살펴보면 기관은 전반적으로 반반의 상황을 보이고 있고,외국인은 며칠째 매도세를 유지하고 있네요. '코스닥' 현물거래 현황으로는 기관의 매수세가 강해 보입니다. 이제 전체적인 상황을 살펴 보겠습니다. 선물에서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상당히 강했습니다. 종합적으로 살펴본 결과...내일의 대략적인 지수 방향은... '코스피'는 상승세가 유력해 보이고,'코스닥' 또한 강보합이 예상됩니다. 요즘이 상승 추세로의 전환까지는 아니더라도단기 반등 시기인가 봅니다. 그렇지만 조금 우려되는 뉴스들도주말에 나왔었군요. '페이스북'이 엊그제 하루에 19%의하..
아래 (1부)글을 먼저 구독 하세요.~ 2018/07/21 - [투자종목] -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몰락속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처는 어디일까? - (1부) 중국 기업들의 몰락... 위에서 말한 것처럼 중국은 지금까지 급속한 발전을 하는 가운데 고위 공직자들과 군벌, 기업가들의 무분별한 부패로 인해서 기업의 부실한 대출상황(그림자 금융)... 그리고 부동산 하락과 더불어서 '트럼프'와의 '무역분쟁'이라는 3중고의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하나같이 해결하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서 한국의 상황은 어떻까요? 그렇습니다... 한국은 중국과의 무역의존도가 너무 높은 상황입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는 27%정도이지만 전체 경상수지 흑자의 50%를 중국에서 뽑아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요즘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뒤숭숭한 상황이라서 '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만... 아래 '코스피', '코스닥' 종합 챠트를 보면 느끼시겠지만 좀 애매한 상황입니다... 저는 특히나 '인버스'중에서도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어서 '코스닥' 종합 챠트를 살펴 보는데요. 애매하지요? 챠트상으로는 4중지지를 받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대내.외 적으로는 상당히 안좋은 상황이지요. 미중 무역전쟁 우려로 이미 미국 '나스닥'은 이틀째 하락하고 있고, '코스닥' 또한 생각했던 V자 반등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누가 그랬던 것처럼 상승할 모멘텀이 없다는 것이 이유일듯 합니다. 눈치를 보고 있다고 해야 할까요? 중국의 경제 둔화 및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가장 타격을 입을곳..
3월 23일에 매수 했던 4종목을 오늘 전량 매도 했습니다. 2018/03/23 - [투자종목] - 한국증시는 미.중 무역전쟁 우려로 하락 중입니다. - 다우존스 2.52% 하락...그리고 '하이트진로','한국한공우주','옴니시스템','초록뱀'을 매수 합니다. 매수하고 지금까지 정신이 없어서 주식에 대한 생각은 하지 못했었는데요. 여유가 조금 생긴 지금 시점에서 생각 하는 도중에 '차바이오텍'의 감사의견 한정으로 '관리종목'으로 편입 되었다는 뉴스를 보고 전량 매도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말씀 드렸다시피 2018년 부터 새롭게 강화된 'IFRS(국제회계기준)'의 적용을 받는 가운데서 특히나 '코스닥' 상장 기업들의 대비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2017/07/22 - [경..
'로스웰'의 정식명칭은 '로스웰인터내셔널유한회사'로 홍콩에 있는 유한회사라고 합니다. 한국의 코스닥 시장에 중국관련 기업이 몇개업체 상장되어 있는데, 그 중에 한 기업이지요... 주로 자동차 전자제어 시스템, 자동차 공조시스템을 생산, 납품하는 업체라고 합니다... 챠트나 재무재표를 살펴보기 전에 알아야 할 것은 중국 관련 기업들은 '차이나 디스카운트'를 가지고 있다는 겁니다... 보통 해외에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라고들 말하고는 하지요. 지정학적으로 북한의 위협으로 인해서 한국의 금융시장이 제대로 된 평가를 받지 못하고 할인되어 있는 상태를 뜻하는 건데요... 같은 맥락으로 중국 관련 기업들이 코스닥 시장에 상장은 되었지만 디테일한 재무재표나 공시의무, 또는 그 외적인 신뢰를 주지 못하기 때문에 기업..
카카오가 코스닥을 떠나서 코스피로 상장이전 한다는 뉴스가 떳네요.. 와우~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상장이전 한다는것은 꽤 큰 이슈라고 생각해도 무방할듯 합니다... 아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이런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만일 A씨가 3억을 가지고 B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려 합니다만... 거래량이 거의 없어서 매도를 할수 있을까 걱정을 합니다. 그래서 매수를 안하게 되죠... 이런 상황이 B기업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죠... 그래서 무상증자도 실시하고 하는 겁니다. B기업이 코스피로 옮겨가면 그만큼 기관과 외국인이 움직일 공간이 넓어지므로 주가의 거래량과 변동성이 좀더 좋아진다고 해야 할까요?... 주가상승의 힘은 곧 거래량이니... 이점을 유심히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위의 정도가 일반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