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코스피가 연일 하락하고 있습니다. 개미분들의 피해가 클 것으로 생각 되는데요. 단기적으로 코스피가 반등 할 것이라고 하니 신중하게 판단을 하셔야 할것 같습니다. 아래는 코스피 챠트 입니다. 주봉으로 봐도 4주연속 하락하고 있는 것이 보이실겁니다. 코스피가 왜 하락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몇 번 설명도 했었고, 뉴스에서도 하도 많이 나와서 그냥 패스 하겠습니다. 금일 3시 전까지의 거래 현황입니다. 오늘도 기관의 주 매도, 개인은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대부분의 개미 투자자분들은 코스피가 상승하는 것을 더 좋아 하실테니 언제쯤 상승할것인가를 예상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뉴스를 보니 코스피 바닥이 어쩌구 저쩌구 하더라구요.... 솔직히 저는 잘 모르겠습니다... 전문가라고 나와..
한국 증시가 연일 하락세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솔직히 저도 누군가에게 물어보고 싶네요... 왜이리 하락 하는지요. 그런데 주변에 물어 볼 사람이 없습니다...;; 인맥도 없고, 모두 주식에는 관심도 없는 사람들이라서.. 본론을 말하기 전에... 저는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왜 자본주의에 살면서 주식에 관심이 없는가?'에 대해서 말입니다. 자본주의의 꽃은 주식회사이고 주식회사의 꽃은 배당입니다. 저는 이렇게 생각 합니다. 그런데... 아직까지도 노동을 더 중요시 하고.. 애써 누군가, 또는 어디엔가의 부품으로 들어가려 애를 씁니다. 말씀 드리고 싶었던 점은... 노동을 천시하는 것이 아니라, 왜... 자본주의에서 살면서 주식, 금융, 경제에 무관심한가? 라는 것이죠.. 제가 보기에는 가장 좋은 무기..
요즘은 미중 무역전쟁으로 뒤숭숭한 상황이라서 '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습니다만... 아래 '코스피', '코스닥' 종합 챠트를 보면 느끼시겠지만 좀 애매한 상황입니다... 저는 특히나 '인버스'중에서도 'kodex 코스닥150선물인버스'에 관심을 두고 있어서 '코스닥' 종합 챠트를 살펴 보는데요. 애매하지요? 챠트상으로는 4중지지를 받는 모습입니다... 그런데 대내.외 적으로는 상당히 안좋은 상황이지요. 미중 무역전쟁 우려로 이미 미국 '나스닥'은 이틀째 하락하고 있고, '코스닥' 또한 생각했던 V자 반등은 나오지 않고 있습니다. 누가 그랬던 것처럼 상승할 모멘텀이 없다는 것이 이유일듯 합니다. 눈치를 보고 있다고 해야 할까요? 중국의 경제 둔화 및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수출 감소로 가장 타격을 입을곳..
요즘 다우지수의 변동성이 큽니다... 지난주 마지막으로 2%넘게 폭락 했는데... 오늘밤에는 기술적 반등이 나올지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변동성은 커질것으로 예상 됩니다... '시진핑'과 '트럼프'가 싸우기 전에 험악한 말싸움을 하듯이 지금 그러는 상황이고.... 다우지수는 거기에 장단을 맞춰 춤을 추고 있는데 말이죠... 그래서 더욱 예측하기가 난망합니다... 보통은 선물을 보고 대충 예상을 했는데... 요즘은 선물 상방보고 자고 일어 났더니... '트럼프' 말 한마디에 다우존스는 폭락...(-_-);;; 그놈의 트윗질을 멈추게 하던지 해야지...이거 원... 몇몇 언론에서는 미.중 무역전쟁이 완화될것 같다... 이런 뉴스를 보내고 있는데요...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뭔가 터져도 크게 한번은 터질것 같..
몇 주 전부터 '코스피 인버스'에 베팅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2018/01/17 - [투자종목] - 주식시장의 충격을 예상하고 대비한다. - 인버스... 역시나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감이 상당한듯 보여지네요. 코스피가 하락하는 만큼 '인버스'는 수익을 얻습니다... 코스피 지수 하락에 따른 수익률 두배를 추구하는 'TIGER200선물인버스x2'의 오늘 하루 수익률은 5%대 입니다... 투자자금에 따라 그 크기는 다르겠지만, 일년 이자는 오늘 하루에 다 벌고도 남았습니다...ㅋㅋㅋ;; 미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감이 여전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승추세로 바뀌었으므로... '인버스'는 계속 보유하고 있을 생각 입니다... 가즈아~~
카카오가 코스닥을 떠나서 코스피로 상장이전 한다는 뉴스가 떳네요.. 와우~ 코스닥에서 코스피로 상장이전 한다는것은 꽤 큰 이슈라고 생각해도 무방할듯 합니다... 아시는 분은 잘 아시겠지만... 이런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만일 A씨가 3억을 가지고 B기업의 주식을 매수하려 합니다만... 거래량이 거의 없어서 매도를 할수 있을까 걱정을 합니다. 그래서 매수를 안하게 되죠... 이런 상황이 B기업의 주가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죠... 그래서 무상증자도 실시하고 하는 겁니다. B기업이 코스피로 옮겨가면 그만큼 기관과 외국인이 움직일 공간이 넓어지므로 주가의 거래량과 변동성이 좀더 좋아진다고 해야 할까요?... 주가상승의 힘은 곧 거래량이니... 이점을 유심히 지켜봐야 할듯 합니다... 위의 정도가 일반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