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코스피', '코스닥'이 반등을 주는 듯 하다가하락 반전 하였다. 외국인이 장 초반 매수 우위였으나,매도세로 돌아서고,중국 증시가 -2%넘게 하락하는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증시에서도 '3'이라는 숫자는 오묘하다.챠트에서도 찾아보면 매우 많은 연관성을 볼수 것인데... 다수가 예상대로 2,000P은 결국 깨졌고,이제는 1,950P 정도에서 반등이 나오기를바라는 수밖에는 없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3차 하락이 시작되는 것은 아닌지 걱정된다. 현재 시장은 호재라고 할만한 사안이전혀 없는 장이다. 당연히 악재가 100% 반응하는 장이니상당히 주의를 바라는 바이다.
먼저 미국 증시가 연일 하락세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서 한국을 비롯한 글로벌 국가들의 증시에도 영향을 크게 미치고 있지요. 요즘 미국 증시가 하락하는 이유에 대해서는 미디어나 뉴스에서 많은 분석글이 올라옵니다만... 솔직히 뜬 구름 잡는 것 같은 느낌을 들게 하네요. 하락에 대한 여러 원인이 있겠습니다만... 제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원인은 바로 현재의 미국 증시가 기업들의 생산성이 향상되어 상승했던 것이 아니라 M&A와 자사주 매입등의 이유로 상승했다라는 것입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미국은 3차까지 '양적완화' 정책을 펼치며 시장에 엄청난 달러를 퍼 부었습니다. 달러 통화량을 살펴보면 2008년 이후에 얼마나 많은 달러를 쏟아 부었는지 잘 알수가 있습니다. 만일 이 많은 달러가 시장으로 흘러..
아시아 금융위기, IT버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예견했던 분들은 여러 사람이 있습니다. 그중에 '오크트리 캐피털' 대표를 맡고 있는'하워드 막스'라는 분도 계시는데요.이분은 '하워드 막스의 메모'라는 것으로 매우 유명한 분입니다. 위 그림 링크를 클릭 하면,좌측의 그림에 있듯이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하워드 막스의 메모'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 가장 최신인 2018년도 메모를열어 보았습니다. ..........???헐...영어를 거의 못하는 저로써는 구글 번역기에 의존해야 하는 것인가요...(-_-);;; 그런데, 그럴 필요가 없네요.유튜버 중에 [JTV]님께서 친절하게도 설명을 잘 해 놓으셨습니다. (광고는 필히 끝까지 시청하세요! 데헷~) 아래는 '하워드 막스'씨 께서 최근에 출연한인..
저는 제 글에서 1년쯤부터 꾸준히 주식 시장의 하락에 대해서 이야기 해 왔습니다. 제가 남 걱정할 때는 아니지만...그래도 초보 투자자 분들을 위해서한 말씀 드려보고자 합니다. 2008년에 'CDO'로 대표되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가미국에서 발생한지 이제 10년이 넘어가고 있습니다. 이쯤에서 초보 투자자들이 걱정되는 것은2008년 이후부터 주식 시장에 들어온 사람들은'저금리' 상황에서 투자를 시작하였기 때문에금리가 상승하는 시장에 대한 대처가 부족합니다. 이미 '저금리' 상태에서의 투자 습관이 굳어졌기 때문이죠.대략 투자 경력이 10년 안팎의 사람들이 해당 되겠네요. '저금리' 상황에서의 투자는 위험 자산에 과감히 투자할만 했고, 또한 그로 인해서 이익을 얻을수 있는시장 상황이 만들어지기도 하였습니다..
세계 주택시장 가격 상승이 둔화되고 있다는뉴스가 나왔습니다. 한국의 주택시장 가격 지수는 강보합 정도로나타나고 있습니다만,이것은 서울과 지방을 모두 합산한 결과라는 생각이 듭니다. 서울권과 경기도권, 그리고 지방권을나눠서 살펴보면 격차가 그만큼 클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주택의 가격 상승세가과거 '서브프라임 모기지' 상황보다 더 높아졌다고 합니다. 저는 부동산은 잘 모르는 분야이지만,최고점에서 챠트가 쌍봉을 그리는 것을 너무 많이 봐 왔고,위기는 항상 최고점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대다수가 더 상승할 것을 예상하는 바로 그 순간이위기의 시발점인거지요.. 비슷하지만 조금 다른 뉴스도 올라 왔네요. 아무래도 요즘은 주택에 투자 하기에는조금 무리한 상황이 아닌가 생각 됩니다.
이번 시간에는 경제 및 증시의 하락을 예상하는저명한 인물들의 의견을 종합해 보았습니다. "현재 신흥국들의 상황은 1990년대 후반에 발생한 아시아 국가들의 경제위기와 비슷하다." "올해의 주가가 매력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미국의 주가가 30~40%이상 하락할 수 있다." "미 증시의 경기조정주가수익률(CAPE, 실러지수)이 33배로 가장 높다. 20배를 넘은것은 1929년 대공황과 닷컴버블 때 뿐이다." "미국에 장기침체가 오고 있다." "국가가 조절할 수 없는 자본 유출이 동시다발적으로 일어나고 있다." 여기에 제 실력으로 한줄이나 넣을 수 없겠지만...저도 하락에 한표를 던집니다.(-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