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주식 시장에서 펀드같은 역활을 하면서 거래되고 있는 ETF, ETN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제가 거래 시에 느꼈던 점들을 적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ETF, ETN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거 같아서 무슨 장점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90년대 중반쯤부터 '펀드'라는 개념이 일반인들에게도 퍼지기 시작 했지요. 많이 들어보셨을만한 펀드가 있지요. 브릭스(BRICs)인데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분산투자 하는 펀드입니다. 이렇게 '펀드'라는 것은 개별 종목을 거래하면서 발생하는 높은 변동성과 낮은 안정성을 회피 하고자 분산투자 개념으로 많이들 하고 계십니다.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한번 투자를 하고 단기간에 펀드 매도시에는 손해..
바이오주의 반등을 노리고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매수 하였으나, 반등이 미미하여 1%내외의 손절을 하였습니다. 금일 오전까지의 매매추이를 살펴보면'코스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선물 시장에서는 개인과 외국인의 매도세가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다시 '코스닥150선물인버스'를 매수 하였습니다. 올해 들어서 ETF를 주로 거래하다 보니개별 종목에서 거래 타이밍을 맞추지 못하고 있네요.OTL... 이틀째 '나스닥' 기술주들의 하락이마음에 좀 걸립니다. 한국 시장에서 하락의 전조가보통은 '바이오주'의 하락부터 시작 되듯이나스닥의 하락이 미 주식시장의 하락을 알려주는신호일까 두려워서 이죠. 아무튼 이번주는 텀을 두고 좀 쉬어야 겠습니다...할일도 좀 쌓여있어서 말이죠..ㅠ
아래 (1부)글을 먼저 구독 하세요.~ 2018/07/21 - [투자종목] - 미중 무역분쟁으로 인한 중국의 몰락속에서 지속가능한 투자처는 어디일까? - (1부) 중국 기업들의 몰락... 위에서 말한 것처럼 중국은 지금까지 급속한 발전을 하는 가운데 고위 공직자들과 군벌, 기업가들의 무분별한 부패로 인해서 기업의 부실한 대출상황(그림자 금융)... 그리고 부동산 하락과 더불어서 '트럼프'와의 '무역분쟁'이라는 3중고의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하나같이 해결하기가 만만치 않은 상황입니다. 이러한 가운데서 한국의 상황은 어떻까요? 그렇습니다... 한국은 중국과의 무역의존도가 너무 높은 상황입니다. 중국에 대한 수출의존도는 27%정도이지만 전체 경상수지 흑자의 50%를 중국에서 뽑아내고 있는 상황입니다...
ETF는 한국거래소에 있는 아래 동영상을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겁니다.. 좀더 디테일하게 알고 싶다면... 그밖에도 'ETN'이 있습니다... 2015/12/07 - [투자종목] - ETN에 대해서 공부 해 봅시다. 그냥 쉽게 설명하자면... ETN은 만기가 존재해서 청산하면 그 가격 그대로 들어 온다는 것. 그런데 증권사가 망하면 그대로 돈을 날린다는 것. 단점외에도 추종지수를 정확히 따라간다는 것과 다양한 상품이 있다는 것이 장점이네요... ETF는 반대로 생각 하시면 되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