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에서 내년부터 적용되는 IFRS와 관련된 안내책자를 발간 했네요... 음... 국내에 홍보도 안한거 같은데... 뜬금없이 적용시키는군요... 아니..벌써 몇년전부터 시행 예정이었던 것이기는 하지만... 금융쪽에서는 뒤집어 질 이야기 이지만, 적극적으로 홍보를 했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러다가 뜬금없이 12월 07일에 올라 왔습니다...헐... 링크: 171207_(금감원) 쉽게 이해하는 新수익회계기준_.pdf 조회수는 614명...-_-;; 뭐.. 할말도 없고, 새로운 내용도 아니지만... 그래도 한번쯤 읽어 보시는 것이 여러분의 금융지식에 많은 도움이 될겁니다..
당장 내년부터 IFRS9, IFRS15의 시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오늘은 그 일정과 내용에 대해서 좀더 디테일하게 말씀드려 보고자 합니다. IFRS는 재무재표의 국제적 통일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표하는 회계기준이다... 라고 정의할 수 있겠습니다. 예를들어, 내가 싱가폴의 한 은행이나 기업에 투자하고 싶은데... 각 나라의 회계기준이 달라서 싱가폴의 은행이나 기업에 대한 투자적합성을 판단하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자는 것이죠... 모든 회계기준이 통일되면 한국에 살고있는 개인도 싱가폴의 은행 또는 기업이 좋다, 나쁘다를 판단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문제는 이렇게 회계기준이 투명해 진다면, 지금까지 부실을 감춰왔던 관행이나 고의적인 회계가 고스란히 들어 난다는 겁니다... 사실 한국이 기업 회계에 있어서 투..
아시는분은 아실거지만, 2018년 1월1일부터 IFRS9, IFRS15가 적용 될 예정입니다. 이점이 뉴스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네요... 매번 그래왔던 것처럼 12월쯤 가서야 클났네...하다가... 뒤통수 제대로 맞을때쯤에서야 난리부르스(?)를 추게되겠죠... IFRS9은 은행과 관련된 국제회계기구의 회계기준입니다. IFRS15는 기업의 회계와 관련된 것이죠.... 정말 쉽게 말씀드리면... IFRS9은 은행에서 대출 발생시 수익보다는 손실로 잡힌다는 겁니다. 물론 그 외 리스크에서도 더욱 엄격해 지겠죠? IFRS15는 기업과 관련해서 마찬가지로.. 계약발생시 매출로 또는 이익으로 계산되던 현행방식에서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수입만을 이익으로 판단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기업의 이익률이 엄청..
지난달 시골에 내려가는 도중에 읍내 농협이 통합되었다는 현수막을 보게 되었습니다. 이때만해도 '아! 시골에 사람이 없어서 통합시키는 건가?'라는 생각을 했었죠... 궁금해서 좀 더 알아보던중에 금융업에서 바젤3와 IFRS라는 국제회계기준이 적용된다 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이쪽 계통 종사자가 아니라서 자세히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아래 링크를 클릭해서 읽어보시면 쉽게 이해가 될것으로 생각 합니다. 지금까지 크게 보도된적은 거의 없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왠지 내가 보았던 농협의 지점통합이 위 사항에 기인해서 진행되고 있는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네요... 가뜩이나 인터넷은행이 생겨난다는 이 시점에 은행/보험업은 더욱 힘들것 같습니다. 구조조정할때 가장 쉬운 방법은 인력을 감축하는 것이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