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금저축, IRP 투자범위.

반응형
반응형

연금저축에 대한 개념은 아래 링크를 참고할 것.

 

 

 

주식을 하기전에 '연금저축'과 'IRP'는 반드시 한도까지 채워야 한다.

년마다 1,800원까지는 '연금저축'과 'IRP'에 넣어놓고 세제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래서 주식을 하기 이전에 반드시 먼저 채워 넣어야 할 금액이라고 생각한다. 문제는 금융지식이 있는 사람들이라

www.gildong.net

 

간단하게 요약하면 연금저축, 또는 IRP는 자신의 투자 성향, 편리성에 따라서

은행, 보험,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들면 된다.

은행: 정기예금
보험: 보험 상품
증권사: 펀드, ETF(레버리지, 인버스 ETF 제외)

증권사에서 연금저축과 IRP 계좌를 많이 만드실겁니다.

여기에서도 주의해야 할 점이 있습니다.

 

1. 투자범위

 

2. 연말정산 방법

     - 연금저축:  입금만으로 세액공제 가능

     - IRP: 추가납입 처리까지 완료되어야 세액공제 가능

     * 연말정산은 연금저축(400만 원), IRP(300만 원)를 합하여 최대 1,800만 원을 입금했어도

       700만 원만 신청하면 됨.

 

3. 투자 방향

     - 연금저축, IRP는 개별 종목은 투자가 불가능 함으로 투자 성향에 따라 호불호가 갈릴 수 있음.

     - 해외 ETF는 직접투자가 불가능, 국내 상장된 해외 ETF를 매수해야 함.

     - 펀드, ETF를 매수 시 연금저축, IRP 특성상 10~20년 이상을 바라보고 투자방향을 결정해야 함.

 

4. 납입방법

    - 정기납입 또는 연내에 일시 납입

 

5. 주의사항

    - 계좌 개설 후 5년 이상 유지하고 만 55세 이후 연금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그전에 계좌 해지 시 총 납입금액의 16.5%를 과세하므로 손해가 크다.

    - 공적연금을 제외한 연금의 수령액이 연 1,200만 원 초과 시 종합소득세 신고대상이 됨.

      (소득 구간별로 6.6%~41.8% 과세)

연금저축 납입시 꼭 알아야 할 6가지.pdf
0.52MB

 

위와 같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과정을 거쳐야 함에도 불구하고

반드시 연금저축과 IRP를 운용해야 하는 이유는 바로 16.5%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이는 연 16.5%의 수익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 임.

 

 

아래는 투자자가 직접 매수/매도했을 때의 과세 방법이다.

● 국내에 상장된 ETF 매수와 해외 ETF를 직접 매수했을

     예) KODEX 미국 S&P500 선물(H)

    ■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매수
        - 국내 상장된 해외 ETF의 경우 매매차익과 배당에 대해서 과세를 함.
          또한 미국처럼 손실과 이익을 계상하지 않고, 손실 부분은 과세를 하지 않지만
          이익이 발생한 부분에는 과세를 하고 있다.

        매매차익: 15.4% 과세
        예) A라는 국내 상장 해외 ETF에서 1,000만 원의 손실 발생
             B라는 국내상장 해외 ETF에서 1,000만원의 이익 발생
        * 위 경우 B 국내상장 해외 ETF에서 발생된 1,000만원의 이익에 대해서 과세함.    

        배당: - 배당 소득세(15.4%) 과세

* 매매차익과 배당소득을 합쳐서 연 2,000만 원이 넘는다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됨.
          

 

    ■ 국내 관련 ETF를 직접매수

           예) KODEX 삼성그룹

       - 비과세
       - 물론 수수료를 포함한 비용은 내야 한다.(일반 종목 거래와 같음)

 

 

위에서 알 수 있듯이 국내 관련 ETF를 직접 매수/매도했을 때에는 크게 상관이 없지만,

국내 상장된 해외 ETF를 거래할 시에는 세금이 상당하고,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연금저축, IRP로 계좌로 거래하면 매매차익이 발생하더라도 

당장은 세금이 부과되지 않는다.

또한, 연금으로 신청 연령에 따라서 3.3~5.5%의 세금만 납부하면 된다.

더불어 금융소득 종합과세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직접투자보다 한 가지 더 좋은 점은 연금저축, IRP 계좌에서 발생하는 손실/이익 부분의 과세도

인출(연금 신청) 시 계상되어 과세된다는 점이다.

즉, 내가 10년을 유지하고 연금 신청한다고 한다면, 10년간의 손실/이익이 계산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엄청난 이점이다.

 

따라서 해외 ETF를 투자하고 싶다면 반드시 연금저축, IRP 계좌로 투자하는 것이 상당히 유리하다.

 

물론 2 계좌 합쳐서 700만 원까지만 세액공제가 되고, 

최대 1,800만 원까지만 세제혜택이 있으며,

투자의 범위도 좁아지는 단점도 있지만, 그 단점을 상쇄시키고도 남는 이익이 있다고 생각한다.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