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0년대부터 아는 사람은 모두 매수 했었던 '맥쿼리 인프라'라는 종목이 있었습니다. 한국 내 교량, 고속도로, 터널 같은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리는 종목인데요. 2008년 당시 3,000원 초에서 상장되었지만 지금은 11,000원 정도 하지요. 더욱이 현재 배당률도 6%대를 유지하고 있네요. 그때는 너무 안정적이어서 내 평생 여기에만 투자하자고 생각 했었지만... 그때는 이 수익률을 뛰어 넘을 수 있다는 자신감이 있었기에 그냥 분석으로만 끝냈었던 비운의 종목입니다. ㅠ.ㅠ 물론 그 이후에도 간간이 거래 하기는 했었습니다. 관심이 있었던 분들은 한번쯤은 들었을법한 '우면산 터널'을 기억하실겁니다. 쉽게 말하자면 '맥쿼리 인프라'가 우면산 터널을 개통 해주고 통행요금을 받고 있는것과 마찬가지이..
'LG화학'이 베터리 전문 기업을 만들겠다면서 '베터리' 부분의 분사를 결정했습니다. 그 방법으로 '물적분할'을 선택 했는데요. 별도의 기업을 만들되 'LG화학'의 자회사로 만들겠다는 뉴스가 나왔네요. LG화학 ㅣ LG솔루션(가칭) 사실 개인 투자자들에게 가장 좋은 선택은 'LG화학'과는 별도로 LG 계열사로 편입되는 것이 가장 좋았을텐데 말이죠. 사실 개인 투자자들이 'LG화학'을 매수하는 주된 이유는 '베터리' 부문의 높은 성장성 때문이 대부분 일겁니다. 그런데 이렇게 '물적분할'을 하게 된다면 '베터리' 부문이 분사 되어 잘 되더라도 직접적인 이익을 보기 보다는 'LG화학'을 통한 간접적인 이익을 보게 되므로 수익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반발하는 것이죠. 이러한 회사의 선택에도 숨겨진 고민이 있어..
(그린홈 수혜기업 확인.) 모듈: 신성이엔지, 에스에너지, 현대에너지솔류션, 한솔테크닉스인버터: 동양이엔피, 한솔테크닉스 주택 지원사업 (그린홈 100만호 보급사업) 202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주택(Green Home)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태양광, 태양열, 지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설비를 주택에 설치할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지원하는 사업 법적근거 :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 27조(보급사업),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지원 등에 관한 규정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 2013-11호, 2013.1.22] 01 개요ㅇ 2008년 8월 정부는 「그린홈 100만호 프로젝트」 추진 방침을 천명한 뒤 100대 국정과제로 채택, 2020년까지 100만호 보급을 목표로..
특수노동자, 프리랜서, 자영업자들도 고용보험의 가입이 제도화 되겠네요. 먼저 축하드립니다! 아무래도 해직이 잦은만큼고용보험에 가입되면 실업급여를쉽게 탈수 있겠죠. 반대로 항상 호구인 샐러리맨들은고용보험 단가가 상승하겠네요..ㅎㅎㅎ;; 먼저 이러쿵 저러쿵 하는 것보다한국의 보험관련 실상을 알고 말하는 것이 나을것 같습니다. 위에 보고서 페이지가 꽤 되네요.저는 읽었냐고요?저도 다 못 읽었습니다.이쪽에는 관심이 없어서 말이죠... 친기업 성향의 언론들에서는당연히 싫어 하겠지요. 현재 고용보험 구조가사업주 50% + 노동자 50%의 구조이니 말이죠.결국 사업주의 부담이 늘어난다는 말씀... 문제는 대다수가 인식하고 있듯이특수노동자, 프리랜서, 자영업자들의이직률은 일반 근로자보다 훨씬 높을텐데이것을 어떻게 처리..
아래는 '국회예산정책처'에서 발행한분석보고서 이다. (링크) 2020 경제전망 요약. (링크) 2020 경제전망 브리핑 (링크) 2020 경제전망 보고서
코스피의 이상한 상승세가 좀처럼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대형 악재가 곳곳에 널려있는 상태인데도유난히 잘 버텨주고 있네요. 먼저 유로존에서 악재가 터졌죠. 헌재에서 같은 이유로 태클을 가끔씩 걸었다는데이번에도 태클을 걸었습니다. 지금까지 독일은 유로존으로 꿀을 빨고 있었지만꿀이 떨어진 벌통(유로존)에 꿀을 다시 채워넣을 생각이 별로 없는듯 하네요. 트럼프가 중국에 대해서명분을 쌓기를 하고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지금은 다른 국가들도중국이 '코로나'의 진원지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트럼프가 동맹국들과 연합해서 중국을 때리려고 합니다. 트럼프가 북한을 제제할때도 한국 정부는 애매한 포지션을 취했었는데 미국과 동맹국들이 중국을 제제하는 가운데서한국의 입장은 북한제제 때보다몇 배는 더 난처해질것 같습니다. 조만간 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