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럴당 24.5$ 수준이었던 WTI 국제유가가현재 26.2$로 밤새 급등 했습니다. 말 그대로 기대감에 급등할 만큼유가의 체력이 엄청 약해져 있는 것 같습니다.작은 호재에도 가격이 급등락 한다는 거죠. 일단 OPEC(사우디)과 +@(러시아 외)가만나서 합의는 도출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그런데 뉴스에도 나온것처럼줄어든 수요가 2천만 베럴 정도인데러시아가 160만 베럴 줄인다면사우디도 당연히 그정도 수준에서 줄일테고 이는 급감하는 수요에 턱없이 못 미치는 수준이 될겁니다.시장은 이에 실망하고 다시 하락할 것이고요. 어제 밤애 원유 가격이 급등 했었던 이유는OPEC과 +@(러시아)의 합의 가능성 때문입니다. 그런데 합의가 도출되었다 하더라도미국(트럼프)와 다시 협상을 해야 합니다. 현재 트럼프의 입장은O..
드디어 정들었던 '레몬'을 전량 매도하고유가와 은의 하락에 베팅 하였습니다. 유가를 살펴보자면일단 트럼프의 트위터를 방문해야 합니다. 트럼프 형이 또 미 동부시간을 기준으로9시에 인터뷰를 한다고 하네요...헐...한국 시간으로는 오늘 10시가 되겠네요. 일단 지금까지의 국제유가 추이를 살펴봅시다. 가장먼저 OPEC에서는 감산에 미국이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트럼프 형을 너무 낮게 보는것이 아닌가 싶네요.트럼프 형은 미국은 감산을 하지 않을 것이고미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들에게만감산하도록 압력을 넣을것입니다. OPEC에서는 자기들만으로는트럼프 형이 콧방귀도 안뀌니다른 나라들도 참여 시켜서압박을 넣고자 하는 것 같네요.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이트럼프 형의 재선 선거가 올해인데 말이죠.절대..
금 시장에서 중국과 더불어서 큰 손이었던러시아의 금 매입 중단 뉴스가 떴습니다. 은 가격은 조금씩 상승하는데이상하게 금 가격이 하락하는게 조금은 이상하다 싶었습니다. 그래서 뉴스를 찾아보니 역시나 러시아에서 갑작스레금 매입을 중단했군요. 국제원유가 폭락한 가운데서금을 매입할 돈이 없나 봅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비교적 견고하게 가격을 지켜주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렇지만 향후 금 선물이나 레버리지가수익을 줄 수 있을지에는물음표가 떠오릅니다.
지금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금융시장에 타격을 입은 것이 아닌 '코로나'로 인해서 실물경제에 직접적인 타격을 받았습니다. "금융 -> 신용 -> 실물자산"이라는 연계속에서 돌아가는 경제가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각 국가 정부에서는 '신용'에서 '실물' 자산으로의 위험전이가 되지 않도록 많은 재정정책을 펼치고 있지요. 기업의 신용을 유지시키기 위해서 회사채 직업 매입, CP 매입, RP 매입등 예전에는 볼수 없었던 직접적인 정책을 펼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나마 지금의 상황을 유지하고 있는 것도 다 이런 정책 덕분이겠지요. 그런데 문제는 이렇습니다. 정부가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걸까요? 정부는 시장을 이길수 있을까요? 미 연준은 과연 시장을 이길수 있을까요? '미 연준 vs 시장'이라는 대결구도에서 여..
유가가 엄청 상승 했네요.전에 봤을때는 베럴당 20$ 였는데 말이죠. WTI유가 현재는 26$에서 거래되고 있습니다.그래서 그냥 재미로 현재 가격을추론해 보았습니다. 결코 정확한 것이 아니므로맹신하시면 안됩니다..정말 재미로 봐 주세요... 지금 신한 2x 원유 인버스는 -19.93% 입니다. 4월 3일 괴리율이 9.39% 였네요.현재 유가의 가격을 제외하고지난 금요일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해 보면6522원에 거래 되어야 합니다. 여기에 유가 하락률 -7.69%를 포함 시키면 현재 신한 ETF 2x 인버스의 가격은 1주당 7525원에 거래되어야 맞는 거겠죠. 물론 지난 종가부터 현재 하락분까지적용을 어느 시점에 하느냐에 따라서다를 수 있겠습니다. 오늘 기준을 7525원으로 잡고현재는 유가 선물이 상승중이니..
먼저 말씀드리면 이 글은 아래 동영상인 '삼프로TV'에 출연하신 '한화투자증권'의 '김일구' 상무님의 의견을 중심으로저의 의견을 곁들인 것입니다. 내용을 듣고 저도 깜짝 놀랐습니다. 제가 평소에 생각하지 못했던 차이를 짚어 주셨기 때문이죠. 지금까지의 양적완화는 장기 국채, 회사채를 매입 함으로써 자산의 가치가 증가한다. 미 연준이 직접 개입하며, 통화 정책이다. EX) 국채 매입 -> 국채 금리 하락 회사채 매입 -> 회사채 금리 하락 => 이것은 금리를 하락시켜 유동성을 증가 시킨다. 유동성은 실물 자산으로 흘러가야 했지만현재 거품이 끼어있는 부동산등을 외면 하였고오히려 금융 자산으로 급격히 몰리면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였다. 결국 유동성이 실물 자산으로 흘러가지 못하여물가는 오히려 디플레이션이 발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