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상에서 가장 이상한 전기세 구조를 갖고 있다는한국의 전기세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전력통계정보시스템에서 살펴보면 17년도를 기준으로실제 주거용 전기는 전체 전기 사용량의 13.1%밖에 안된다. 전체 전기 사용량 중에제조업이 51%를 사용하고 있고서비스업이 27.8%를 사용하고 있다. 그렇다면 각각의 전기요금 단가를 살펴볼까나... 일반 주거용 전력요금 단가이다.(사용량: 13.1%) 일반용 전력이다. 주로 서비스용에 해당한다.(사용량: 27.8%) 산업용 전력이다. (사용량: 51%) 단가 차이가 어마어마 하다는 것을 알수가 있다. 뉴스에 의하면 15년도에 Kwh당 100원선이 붕괴 되었다고 하는데...14년도에는 145원 선이었다고 한다. 그렇다면 현재의 전기 생산 단가는 어떻게 될까? 현재는 ..
중국은 1949년 10월 1일에 '마오쩌둥' 이라는 걸출한 인물이 나와서 '중화인민공화국'을 설립 하였습니다. 그리고 그 이후에 '대약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이라는 운동을 펼치면서 수천만명이 '아사'로 죽어 나갔죠... 아마도 지금까지 중국인들에게 위 2가지 운동을 거론하는 것은 금기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 되네요. 마치 온라인 게임에서 '타이완 넘버 원'이라고 외치는 것처럼 말이죠... 그 이후에 등장한 '덩샤오핑'은 '인민들이 배불리 먹을수 있다면, 자본주의나 공산주의가 중요하지 않다. 가난은 사회주의가 아니다.'라는 '덩샤오핑 주의'를 표방 하면서 자본주의를 받아 들이게 되었고, 그렇게 발전하면서 자신감을 얻은 중국은 미국과 자웅을 겨룰수 있는 위치에 서 있음을 대외적으로 표방합니다... 그때부터 G..
우리의 형제의 국가인 '터키'의 금융 상황이 심상치가 않습니다. 미국이 금리을 지속적으로 올리고 있고, 경제성장률 또한 말도 안되게 좋은 상태라서 달러가 모두 미국으로 회귀하고 있는 상황에서 터키와 중남미 국가들은 외화 유동성이 고갈되어 가는 상황을 맞이하고 있군요... 그런데 이런 현상이 처음은 아니라는 것을 잘 알고 계실겁니다. 냉전시대 소련을 두드려 팰 시기에도 그랬고, 일본이 잘나가던 시절에 '플라자 합의'로 두두려 팰 시절에도 비슷한 상황이 발생 했었습니다. '터키'의 2년물 채권금리는 25.120% 이네요...헐... 지금 상황은 거의 한국의 IMF급 금융위기를 맞고 있는거나 다름이 없어 보입니다. 역시나 원인은 미국과의 갈등 때문이네요. 현재 미국의 보복은 무력이 아닙니다. 바로 경제제제, ..
대한민국에서 봉급을 받는 대다수의 근로자들은 강제로 국민연금을 떼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65세에서 68세로 높인다는 뉴스가 올라왔네요... 허허허허허.... 내 아무리 머리를 굴려봐도 이번 문재인 정부는 운영을 잘할줄 알았는데... 혹시나가 역시나.... 국민들을 '조삼모사' 하고 있네요..허허...미친XX!!.. 오늘 아침 기사를 두루 살펴보다가 너무 어의가 없어서 한 글자 적어 봅니다. 위의 뉴스들은 국민연금이 말 그대로 국민들의 편에 서서 기금을 운영해야 하는데, 기업과 정부의 입장에서 운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이는 국가의 주인인 국민들을 기만하는 행위입니다. 그것도 뒤로 몰래 하는게 아니고 앞에서 대놓고 저지르고 있습니다. 이와같은 행위가 얼마나 많았고, 지금도..
시리아 내전을 왜이리 신경쓰는가?라고 누군가 말 한다면... 미중러의 이익이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지역중에 하나이기 때문입니다. 중국은 '일대일로'라는 아시아와 유럽을 잇는'신 실크로드'를 지나는 곳중에 중요한 곳이 시리아 이고... 이란은 유럽까지 가스관을 설치하려 하는데또한 시리아를 지나가지요...이란의 배후에는 러시아가 있음은 잘 알수 있을테고요.. 이스라엘 또한 카타르에서 터키까지의 가스관을 설치하는데 또한 시리아를 지나가야 합니다.이스라엘의 배후에는 미쿡이 있으니... 헐...결국 미국 VS 중,러 라는 대결 구도와이란 VS 이스라엘이라는 대결 구도가펼쳐지는 곳이 바로 시리아 입니다. 2018/07/06 - [경제뉴스] - 미중 무역분쟁 최후의 승자는? - 트럼프는 중국에 이미 덫을 깔아 놓고 ..
시골에서 올라와서 댓글들에 답변을 드리다가갑자기 예전에 들었던 의문이 생각나서 적고 싶었습니다. '비트코인'을 비롯해서 수많은 '알트코인'들은전 세계적으로 활성화가 가능할 것인가?라는 의문이었습니다. 과연 '코인'이 세계 통화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요?일률적으로 어느 하나의 '코인'이 전 세계의 단일 통화로통용될 수 있을까요? 저는 불가능 하다고 생각합니다.이는 굳이 경제학을 전공하지 않아도 잠시 생각해 보면 답이 나오는 문제라는 생각이 드네요. 현실적으로 생각해 보면왜? 우리는 '원화'를 쓰고 있고'달러'를 쓰고 있지 않을까요? '달러'를 한국의 통화로 정하면더 편하지 않을까요? 이런 생각을 해 보신 분들도 많으시리라 생각합니다. 왜 전 세계 통화를 '달러'로 통합하지 않고 있는가?라는 의문도 들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