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에서 무작위 검색중에 찾은 노래... 내 취향 입니다..ㅋ
이병헌, 이은주 주연의 '번지점프를 하다' 라는 영화를 보면서 맘에 들었던 장면이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무심코 지나쳤었는데... 우연히 다시 찾게되어서 링크 해 봅니다...
영국의 EU탈퇴가 국민투표로 결정된 뒤에 공식적으로 EU탈퇴에 대한 공식 서한을 EU측에 보냈다는 내용입니다. 협상은 2년간 진행 된다고 합니다... 찾아보니 예전에 쓴 글들이 있었네요... 심심하시면 한번쯤 읽어 보셔도 되지만... 별 도움은 안되실 거에요...(-_-);;; 2015/05/09 - [[ 이 슈 ] Issue] - 브렉시트 - 영국의 EU 탈퇴 가능성은? 2016/06/16 - [[ 이 슈 ] Issue] -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EU 탈퇴 원인과 결말을 예상 해 보자...(1) 2016/06/16 - [[ 이 슈 ] Issue] - 브렉시트(Brexit), 영국의 EU 탈퇴 원인과 결말을 예상 해 보자...(2)
인터넷 은행은 크게 '카카오뱅크'와 'K뱅크' 컨소시엄이 허가를 받아서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케이뱅크(K뱅크)가 4월 3일부터 영업 한다고 하지요.. 카카오뱅크는 빠르면 6월경부터 영업을 시작 한다고 하네요... ①편에서 은행의 까다로운 신용관리 및 대출관리로 이자가 비싼, 저축은행이나 대부업계로 밀려나는 국민들이 몇백만이라고 한다고 하는데요... 인터넷 은행과 대부업체의 시선에서 본다면... 고객이 밀려드는 형국인 거지요... 그러면 주가가 상승하겠습니까? 아니면 하락 하겠습니까? 그렇다고 아! 그렇구나...하면서 지금 당장 관련 기업들을 매수해야지 하는것도 조금은 걸립니다... 먼저, 인터넷 은행 같은경우는 은산분리법이 아직 국회에서 통과되지 않아서 조금 어정쩡한 상황입니다... 예를들어....
2017년 이후 롱포지션(장기투자)으로 가닥을 잡고자 한다면 아래와 같은 가정이 맞아 들어가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앞으로 유망한 종목이 무엇이 있을까? 이런 고민은 누구나 해 오는 고민이겠죠... 그래서 저도 한번 해 봅니다... 앞으로 몇년동안 부동산이 폭망(?) 하리라는것은 예정된 결론인듯 보이고... 최근에 알만한 사람들만 알고있는 건설, 보험, 은행의 강제적 구조조정에 관련해서 생각 해 봅시다... 바젤3나 IFRS9 2단계등으로 위험손실이라는 부분이 좀 더 강조되는 와중에 보험, 은행업종에서 혼란이 일어 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올해부터는 총량규제로 대표되는 DTI에서 원금을 포함한 상환 능력이 있는지를 보는 DSR로 변경되었음을 아시는 분은 아실겁니다. 한마디로 대출 받기가 좀더 빡..
한국전력을 손절하고, 남북경협 관련주가 움직이고 있어서 비교적 덜 오른 일신석재를 매수 하였습니다... 향후 업종은 생각 해 놓았는데 디테일하게 정리 할 시간이 안나네요... 그래서 갈대처럼 여기저기 기웃거리는 형국인데... 역시나 손절만 계속되고 있습니다... 기준과 확신이 없는 거래는 반드시 손절이라는 단순한 진리를 알면서도 계속 흔들거리는 제가 미워집니다...OTL...
트럼프 케어가 실패 하였다는 뉴스입니다. 사실 사람은 한번 좋은것을 보거나 경험하기 시작하면 그보다 안 좋거나, 낮은것들은 거들떠 보기 싫어 합니다... 누군가는 가뜩이나 많은 재정적자 중에서도 재정지출을 또 확대시켰다는 비판을 받고 있기는 해도... '오바마 케어'가 의외로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고 있다는 반증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트럼프 정부가 '트럼프 케어'를 안 하는 건지, 못 하는 건지는 솔직히 모르겠습니다. (개인적으로는 못 하는척 하는것이라 봅니다.) 그래도 공약중에 핵심 사항으로 1순위로 약속한 것인데.. 한다고 했으면 해야지... 벌써부터 똥 밟으면 4년을 어찌 버티려고....(-_-);;
뉴스의 요점은... 담당자들이 넣지 않아야 할 영리자금대출을 포함시켜서 가계대출 증가액 부분이 2배나 더 커졌다는 겁니다... 그래서 담당자들을 직위 해제 했다는 말인데... 그런데... 영리자금대출은 가계대출이 아닌건가요? 이에대한 무슨 설명이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나는 도통 이해가 안가네... 지금까지 가계대출 관련 통계에서 빼 버릴수 있는 자료는 모두 빼서 축소 발표 해 왔다는 건지... 아니면 무슨 다른 분류의 기준이 있어서 영리자금대출은 그쪽에 편입 되는것이라든지... 무슨 설명이 있어야 하는거 아닌가? 왜 이런 정보를 찾아 보는것은 항상 국민들의 몫인가? 그리고 찾아 볼 국민들이 몇이나 있을것이가? 한국은행 금융통계부장, 금융통계팀장에게 전화해서 모두 한번씩 물어 봅시다... 국민이 세금을 ..
마음이 왜이리 봄바람 같은지 모르겠습니다. 농담이고요... 오늘 한국전력을 지켜보다가 외국계에서 매수량이 매도량을 넘어 섰을때 재매수 하였습니다. 아마 외국계들에게는 한국의 환율이 저환율로 가는 추세이고 수입기업 중에 한국전력이 눈에 띌테고.. 아직은 시가배당률이 4%대를 주고있고 뭐... 이런저런 이유로 매수하는가 봅니다... 다음 눌림목까지 버틸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어요... 워낙 새가슴이라서... 조금만 낌새가 이상해도 그냥 수익률을 포기하는 편이거든요..ㅋ 원금을 보존하는게 낮다는 생각입니다...
책, 언론, 정부 할것없이 이제는 4차 산업군을 대비해야 한다는얘기가 많습니다... 현재 3차 산업군에서 4차 산업으로의 변화는 시대의 흐름이 맞기는 한데... 과연 한국에 있는 제조업 산업군들이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들지요? 굳이 뉴스를 보지 않아도 깨시민이라면 우려할 만한 상황이 벌어질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적어도 독일이나 일본, 하다못해 중국까지는 거론하지 않더라도 각 나라들은 최소 10년이상을 4차산업에 대해서 대비 해 왔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보고도 이해조차 하지 못했죠... 아니 당장 먹고 살지 힘들어서 일까요?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코 앞에 닥쳐야 큰일이 난것처럼 호들갑을 떨지요.. 그런데 흘러가는 것을 보니 조금 묘한점이 보입니다... 4차산업 관련해서 독일의 인더스트리4...
어제 글을 적으면서 오늘정도에 매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요... 혹시나 했더니 역시나... 오늘은 하락 했네요... 저는 일단 한국전력은 전량 매도 하였습니다. 그리고 생각 해 둔 업종이 있는데... 주말에 생각을 정리하고 분석을 해 놓아야 겠네요... 요즘은 시험때문에 도무지 시간이 나지 않습니다..휴..
웹젠에서 한국전력으로 건너 뛰었던것이 주효했던것 같습니다. 인생이 항상 이렇게 +로만 점프되는 인생이었으면 좋겠지만은 그렇지 않다는 것쯤은 잘 알고 있겠죠?..ㅎㅎ 한국전력은 외국인의 수급으로 평소의 대형주 답지않게 무섭게 치고 올라 가네요. 아래 그림을 보면.. 역시나 개인과 기관은 하락시에 매도하여 손절 하기시작하여 현재 상승중에도 매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고, 외인은 그 물량을 모두 받아가는 모습입니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보유하고 있어야 할까요? 뉴스에서는 환율이나 석탄가격의 추이를 봐야 한다고 하지만... 저는 외국인의 수급이 계속 되는 한 보유하는것이 최대의 수익을 얻는 단순한 방법이라고 생각 됩니다. 계단식으로 항상 점프 뛰어야 가장 좋은 모습이겠지만... 그렇게 좋은 상황이 되려면 항상 먼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