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미래는 이제 '투자'를 빼놓고는 살아갈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은 과거의 잔재에 붙들려 있으며, 이는 곧 투자의 실패...인생의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복잡계'는 과학, 정치, 경제 등이 현대와 미래에는 더욱 더 밀접해지고 있고, 서로간에 대한 영향이 매우 커지고 있으며, 또한 민감해지고 있다. 아래의 동영상 또한 '복잡계'의 개념을 설명하는 영상인것이지, '복잡계'의 현실적 적용 방법에 따른 해설서가 아니다. 물론 이해한다. 그것은 자신의 비기이며, 밥 벌이기 때문이다. '복잡계'라는 개념을 지금 처음 듣는다면... 당신은 이미 시대에 뒤쳐져 있는 것이다. 적어도 10년전부터 그 개념이 퍼지기 시작했고, '양적완화'를 기준으로 더욱 각광받게 되..
그래서 너는 투자 했는가? 네...저도 일정부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으며, 적어도 5년정도는 매집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매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단 산업의 전망성이 너무 좋습니다. 요즘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는 뉴스를 많이 보셨을겁니다. 실제로 중국, 유럽, 미국할것 없이 이미 플라스틱에 대한 생산과 유통에 대한 규제를 위한 법률이 시행중입니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View.do?setIdx=244&dataIdx=186491 또한 위에서 알수있듯이 유럽에서는 올해부터 '플라스틱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 산업전망이 구조적으로 좋다는 것이죠. 둘째로, 플라스틱 산업은 어마어마 할겁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나스닥' 스몰캡 주식인 '대니머 사이언티픽'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https://youtu.be/CZSyCy0TkqI 쉽게 얘기하자면 썪는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업이고, 그 방식에는 'PLA' 부터 'PHA'라는 기술력 높은 방식이 있는데, 현재 PHA 방식으로 생산에 성공한 기업이 일본의 카네카(KANEKA CORPORATION) 라는 기업과 미국에서는 '대니머 싸이언티픽'이라는 두개 회사 뿐이라는 겁니다. 곁다리로 한국에서는 'CJ제일제당'에서 생산하고자 공장을 짓고 있다는 소식이 있기는 하네요. https://www.etoday.co.kr/news/view/1996523 [ESG 경영] CJ제일제당 "썩는 플라스틱 소재 생산ㆍ친환경 패키지 도입" (사진=CJ)CJ..
한국에서 '서학개미'라고 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팔란티어' 일 것이다. '팔란티어'에 대한 정보나 재무제표, 기타 뉴스 같은 것들은 유튜브나 구글로 '팔란티어'만 검색해봐도 대부분 파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여 패스하고, 오늘은 '팔란티어'의 전망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 '팔란티어'는 무슨 회사인가? - 대용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기반으로 추론과 의사결정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회사. 이 정도로 정의할 수 있겠다. - 소프트웨어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제공되고 있다. 1. Gotham : 미국 등 국가단위 국방/군사 통합 소프트웨어(매출 56%) 2. Foundry : 민간기업의 데이터 통합 소프트..
요즘 어떤 책들이 나왔나 싶어서 교보문고에서 신간을 살펴보려 하는데, 떡 하니 전면에 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세번째로 책을 출간 했다는 광고가 있었다. 헐... 나는 이 사람을 좋은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MS를 키워온 히스토리를 살펴보면 그대도 나와 비슷한 시각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의도를 부정하게 보는것이다. ◈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사실들. 미국에서 가장 넓은 땅을 가진 농부는 누구일까? 딩동~ 빌 게이츠. 글로벌 농업-생명공학 회사인 '몬산토'의 대주주는 누구일까? 딩동~ 빌 게이츠. 몬산토의 지분30%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몬산토'는 종자기업이었다가 농업-생명공학 회사로 탈바꿈 하였다. 한마디로 유전자 변형 작물이 회사의 밥줄..
미국 채권 금리가 주식 배당 수익률을 추월했다. 더 정확하게 말하면 추월 했다가, 현재는 다시 차이가 벌이지고 있다. 금융시장의 중요한 한 축은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이다. 보통 역의 상관관계라고도 말하기도 한다. ◈ 채권의 특성. 채권은 원금 + 일정 이자를 지급받을 권리가 부여된 유가증권이다. 특징으로는 - 수익성: 채권 가격으로 상승함으로 발생하는 수익. - 안정성: 대부분 금융기관이나 정부가 보증하므로 안정성이 높다. - 유동성(환금성): 만기일 까지 보유하여 확정된 이자와 원금을 받을 수도 있고, 만기일 이전에 언제든 현금화 할 수 있다. 뭐...우리가 채권 전문가가 되려는 것도 아니고... 이정도 개념만 알아도 충분하다고 본다. 보통을 뛰어넘어서 나는 채권 매매를 하고 싶다고 한다면, 채권 또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