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핫한 미국 ETF 중에서 캐시우드가 있는 'ARK invest'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캐시우드는 '테슬라'를 초기에서부터 투자해서 유명세를 얻었다. 'ARK invest ETF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관심을 가질만한 것들을 나열해본다. ◈ ARKG(Genomic Revolution ETF) 일단 위 ETF중에 관심이 가는 것은 ARKG(Genomic Revolution ETF) 이다. 게놈...즉, 유전자(바이오)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 이다. 향후 미래에는 유전자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이 크다는 것은 누구나 알수있을테니, 전망도 꽤 괜찮다고 생각한다. 와우..20$ 수준에서 100$정도로 급 상승~ 헐...아무리 전망이 밝다고 해도 현재 주가는 너무 비싸 보인다. 현재 시점..
영화 '빅쇼트'를 재밌게 봤다면 '마이클 버리'라는 인물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2008년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하여 주가가 폭락했을 때, 남들이 다 미쳤다고 하는 '공매도'를 하여 대략 7.2억 달러의 수익을 남겼다. 그랬던 그가 몇 달 전에는 '테슬라'를 공매도하겠다고 트위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테슬라를 공매도하고 있다" 그 당시에도 테슬라는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사람들은 역시나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마이클 버리 '테슬라 주가 90% 폭락 가능' /로이터연합뉴스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측해 유명세를 얻은 마이클 버리 사이온 자산운용 창업자가 테슬라 주가가 90% 폭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리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www.sedaily.com 그 후에도 ..
오늘은 모건스탠리에서 발표하는 MSCI 지수 리빌딩하는 날이다. 이 지수는 패시브 펀드들이 많이 사용하는 지수이며, 종목의 편입 또는 퇴출을 조절하는 것이다. Index review Including MSCI Global Investable Market Indexes May 2015 Semi-Annual Index Review, MSCI Global Value and Growth Indexes May 2015 Semi-Annual Index Review, MSCI Provisional Indexes May 2015 Semi-Annual Index Review and MSCI Overseas China Indexes May 2015 S www.msci.com 좀 더 디테일한 투자자라면 위 링크에서 조정되는..
오늘 '코스피', '코스닥'이 무섭게 급등했다. 미 연준 파월의장의 국회연설에서 3년정도는 괜찮다는 립서비스와 중국에서 들려오는 부양책 뉴스가 주요 원인인 것으로 보인다. 파월 한마디에 다우 사상 최고치… 게임스톱 주가 104% 폭등 www.chosun.com 中, 4300조원 경기부양책 추진…“GDP 40% 규모” 중국 정부가 내달 양회(兩會·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와 전국인민대표대회)에서 25조위안(약 4300조원) 규모의 경기부양책을 통과시킬 전망이다. 25.. biz.chosun.com 솔직히 말해서 파월의장의 말은 립서비스에 가깝고, 중국의 부양책 관련 소식이 단기로 '코스피'에 힘을 실어줄것으로 보인다. 오늘 분위기가 좋았다고 무작정 '코스피', '코스닥'에 들어가는 우는 범하지 말자. 내가 왜 그..
이전 글에서 투자를 시작할 때에는 글로벌 경제 상황, 기업이 가치 등을 살펴보기 이전에,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라는 말을 했었다. 이른바, 외적인 요소 보다는 스스로의 내적인 면을 먼저 살피라는 뜻 이었다. 내가 어느 정도까지 손해를 감당할 수 있을지, 내가 어느 수준까지 참아내며 익절할 수 있을지, 나의 재무상황은 어떻하며, 미래에는 얼마만큼의 금액을 투자할 수 있을지, 예상하지 못한 '블랙스완'으로 시장이 급락할 때에는 나는 어떻게 대처할지, 예상치 못한 급상승이 나오면 나는 어떻게 대처할지 등을 말이다... 최소한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수준을 정한다음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투자방법중에 하나라고 느꼈다. 나에게는 이런 방식이 주식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내 인생을 관통하는 질문들에 대해서 ..
지금 시점에서 미국 주식 시장은 버블일까?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말이 좀 애매한가? 누구나 알고 있듯이 미 연준은 양적완화 및 재정정책으로 미친듯이 달러를 풀었다. 그리고 201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했을 때에는 금융쪽에만 자금을 풀었고, 실물로 전이되지는 았았다. 그런데 지금은 달러를 직접 각 가정에 꽃아주고 있다. 일 할때보다 일을 그만두고 있는 지금 시점이 오히려 수익이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아직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았다. 왜 이럴까? 물론 시간이 지나면 경제학자들이 원인을 밝혀 내겠지만, 실제적으로 우리가 필요한 것은 현재 시점에서 알고 싶은것이다.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원인(추정) 미국이 미친듯이 뿌려대는 달러는 언젠가는 미 연준이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