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서 보고서가 나왔습니다. 결론은 3콤보가 온다는 거네요... 금리인상, 공급초과(대량 미입주 사태), 규제제한이 콤보랍니다... 부동산은 과연 상승일까? 하락일까?...
매년 부동산이 떨어진다...떨어진다...하면서도 오히려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이렇습니다... 물론 보고서를 참고해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아파트 가격이 시장에 의해서 조정 되었더라면 이미 몇년전에 가격조정이 시작되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대다수가 아파트를 부의 증식수단으로 인식하고 있고... 또한 어떻게든 한채 마련 해 보려고 평생을 바치기도 하지요.. 이는 아파트의 수준이 자신의 경재적인 능력, 사회적인 위치를 대변한다고 믿으니까요.. 유독 한국이 그런 인식이 강한것 같습니다... 남을 의식해서 허례의식이 좀 많은나라 아닙니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저성장, 고령화로 인해서 날이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건설경기를 빼면 경제성장률이 채..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의 결과 한국의 주택수는 1천637만호라고 합니다... 그런데 빈집은 2010년 79만호에서 2015년 107만호로 증가 했습니니다.. 앞으로는 빈집이 얼마나 더 늘어날까요? 일본 도쿄에서 전철로 1시간 거리에 있는 마쓰도시에 있는 아파트들... 50㎡에 방 3칸짜리가 160만엔...한화로 2천만원에 매물로 나와도 아무도 사지 않습니다... 한국은 2025년에 빈집이 13%까지 늘어난다는 보고서도 있습니다... 이는 현재 일본과 맞먹는 수치입니다...
금융위원회는 2017.6.1(목)부터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모든 조합 및 금고로 확대 시행된다고 밝혔다. 대출시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을 기본골자로 함. [링크] 상호금융권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확대' 시행 한마디로 DSR적용 중으로 내년 1월1일 IFRS9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에 예방주사 수준의 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임.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고점에서 거래가 감소하면 하락 할 수밖에 없음. 위 정책은 거래를 증가시킬 자금 동원을 줄이는 것으로 향후 부동산 상승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함. [링크]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참고.
항상 좋은 생각만을 하고, 좋은 얘기만을 하면서 인생을 살아가고 싶지만... 그 반대가 되어버리는 현실이 안타깝네요... 아무생각이 없었습니다만... 잠깐 검색 해 본 것만으로도 상황이 심각한듯 합니다... 몇년 전부터 뉴스가 조금씩 나오기는 했습니다만... 나오는 정보가 극히 제한적이라서 잘 알수는 없지만... 현재도 진행중이라고 추측 할 수 있겠지요.... 유일하게 일본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폐쓰레기인 석탄재를 수입하는 유일한 나라... 바로 한국이랍니다... 시멘트 회사들은 그 석탄재를 섞어서 시멘트를 만들면 이익이 엄청 남는다네요...헐.... 아오... 아파트가 기본 몇억씩하는데... 거기에서 방사능이....(-_-);; 정말 답 안 나오는 사회네요...
그런데 공약으로 안하겠지요? 국민들이 알면 나라가 뒤집어 진다고 하니까요... 막 당선 되었는데, 똥 치우기는 싫을테니 절대로...절대로...이런 공약 넣을 대선주자는 없을겁니다... 결국... 대다수 국민들의 삶보다... 국가 시스템을 더 중요시 한다는 겁니다... 저는 이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국민의 자유와 평등을 위해 국가가 존재하고 있는 것이지... 국가를 위해서 국민이 존재 하는것이 아니란것을 말이죠... 어떤 아파트를 지어도 평당 288만원이면 지을 수 있다는 실무자의 말이 사실이라면... 정말 할 말이 없습니다... 후분양도 말이 안되는 것 같은데 말이죠.. 이런 경험은 대다수가 해 보셨을 거에요... 떵이 마려운데... 참고 또 참고... 30분 뒤에 떵을 누었을 때를 말이죠... 에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