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지인분과 통화하면서 왜 요즘에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지질문을 받았습니다.개인적으로 공부한다는 핑계로 삶의 여러가지 일을 미뤄두었었다고 말은 했지만....게으름 때문이겠지요...;; 신경쓰지 않으려고 했지만 몇일 전 유가의 폭락을 보면서 두눈을 의심했습니다.아니 1년여에 걸쳐서 30%가 폭락하는 것도 아니고..단 몇일 만에 이렇게 폭락하는 상황은 정말 요즘세기 들어서 처음보는 일인듯 합니다. 이 상황에 충격을 받아서 약간의 의견을 말해보고자 합니다.아래 글에는 주관적인 의견이므로 이 글을 기준으로투자를 해서는 안된다는 점!!!꼭 유의하시기 부탁드립니다. 유가가 60$ 고점을 찍고 반토막이 나버렸네요.원인은 모두가 아시겠지만,'코로나' 사태로 인한 중국의 제조업 부진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
요즘 코스피의 상승이 무섭습니다.쌍바닥 삼고점을 찍고 재 하락할것이라고 예상 되었습니다만...강력한 상승 신호로 여겨지는 적삼봉이 출현함에 따라서특별한 일이 없는 한 상승 추세는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네요. 지난 글에서 추가 상승을 하려면 강한 양봉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여지없이 적삼봉이 출현하였습니다. 이제 관심사는 지난 갭 하락을 메꿀 수 있을것인가로 바뀌었으며메꿀 가능성이 훨씬 더 커졌습니다. 저는 하락에 더 무게를 두었고,'인버스'를 매수 했다가 앗! 뜨거워라...펄쩍 놀라고서는다시 매도 하였습니다...ㅠㅠ-2%대의 손절이네요... 그리고 곰곰히 생각해본 결과...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을지라도 상승에 베팅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그리고 유가의 상승에 베팅을 했지요. 지금..
[링크] 가능성이 낮아진 유가 100$의 시나리오.
'SK이노베이션'은 유가의 상승/하락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당연히 사업이 주로 유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겠죠?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유가 상승시 현재의 제품을 보다 비싸게 판매할 수 있으니 주가도 덩달아 뛰는 것 같네요... 그럼 일단 'SK이노베이션'의 주가를 알아봅시다. 월봉 챠트로 보면 2009, 2015년도에 쌍바닥을 형성 후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유가의 챠트도 한번 볼까요? 유가 또한 'SK이노베이션'과 비슷한 챠트 입니다. 이로써 'SK이노베이션'은 유가의 상승/하락에 따라서 주가가 형성된다고 말할수도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유가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이것을 논하는 것 또한 따로 글을 적어야 할 만큼 너무 방대하고 복잡한거라서 지금 이 순간 상승이네....하락이네...말하기가..
이와 비슷한 글을 몇번씩 쓰게 되는군요... 몇번씩 계속 써야 검색이 잘 되는듯 합니다... 그래서 다시 한번 알려 드릴려구요... 국제유가의 상승 또는 하락에 투자하는 방법에 관심이 있는 분들이 많을것으로 생각 됩니다. 설명은 아주 초보자 분들의 수준으로 그 이상이면 안보셔도 되요~ 먼저, 국제유가의 상승 또는 하락에 투자하는 방법은 유가선물 거래를 하면 좋겠지만... 그런데는 개인이 할수있는 바닥이 아니므로... 우리는 수줍게 증권사들이 주식처럼 사고팔수 있게 만들어 놓은 ETF, 또는 ETN 같은것을 하는것이 좋아 보입니다. 물론 증권사도 수수료 받으려고 하는 것이겠지요... 당연한 말이고... 제가 해 보니 ETF보다는 ETN이 더 정확한 유가지수를 반영하고 있더군요... ETF는 월말물 선물거래..
요즘 주식종목에서 공매도로 장난을 너무 심하게 하는 바람에 다른 투자방식에 많은 관심이 있으실것으로 압니다. 그 중에 하나가 ETF/ETN 인데요... 유가, 금, 코스피/코스닥 지수, 각국의 지수, 농산물, 천연자원 등등의 상승과 하락에 베팅할수 있어서 장점이 많습니다. 수수료도 싸고, 주식처럼 매수/매도가 편리하기도 하지만 해외 투자 관련해서는 배당금이나 년 수익이 2천만원이 넘으면 종합과세가 된다고 하니 그 점을 주의 하셔야 합니다. 경험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금의 관련 세금방식은 너무 불합리하고, 정산하기에도 좀 짜증이 납니다. 그래서 투자 자체를 포기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요... 예를들어 2016년도에 3천만원의 수익을 얻고, 연말쯤에 4천만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해도 이게 상계..
(링크: http://realmarket.biz/) 와우~ 유가가 베럴당 50달러까지 상승 했네요.. 상승원인으로 미국 원유 생산량 감소, 캐나다 산불로 인한 생산량 감소, 나이지리아에서 무장단체가 원유시설 공격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등이 주 원인이라고 하네요... 그럼 계속 상승이겠느냐? 글쎄요... 일개 개인인 제가 어떻게 알겠습니까만은... 무수한 떡밥만 던지고 있지만서도... 미 금리 상승으로 강달러가 될 확률이 높아졌고... 이번에 OPEC 회의에서 이란이 깽판을 쳤다죠? 이란이 증산을 결정하고, 유가 가격도 낮춘다고 하던데.. 여러모로 유가가 다시 하락할 이유를 주는듯 합니다. 그나마 종목중에서는 위에놈이 적당할거 같네요... 전에 어떤분이 어떻게 매수 하느냐고 말씀하시던데요... 그냥 주식종목..
금일 파마리서치프로덕트를 전량 매도하고, 관망중에 있습니다. 어제 중국증시가 폭락하여 그쪽에 베팅하기도 위험성이 존재하고... 몇번 말씀드렸지만... 유가는 $26~35정도에 와야 상승이나 하락을 고민 해 봐야 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 기준으로 벌써 $33 이네요... 파마 매도해서 합이 대략 5% 수익인데, 신용을 썼으므로 대충 10%로 생각 해 봐도 $28에서 상승에 베팅 했을시 계속 보유하고 있을때의 수익보다도 못했네요... 최대의 이익을 생각했던 것인데... 최선의 방법이 최대의 이익은 되지 않는것을 알았을 뿐입니다..;;; 유가 하락에 베팅 할 시간이 다가오는 듯 합니다. [뉴스링크링크] : 주요국 3월 감산합의 기대 & 셰일오일 생산 감소전망 3월 중순에 사우디,러시아,카타르,베네수엘라..
불금이네요... 혼자 여기저기 정보 얻으러 다니느라 불금인지도 몰랐습니다...ㅠ 지난번 매도 손절했던 글을 쓰면서... $28 정도로 하락 했으면 하는 바램을 적었습니다. 헐... 하루가 지나지 않아서 $26대로 직행 했었네요...;;; 그래서 일하는 와중에도 열심히 매수 했습니다. 전량 신용으로 매수 했구요... 3월에 있을 OPEC 회의전에 뭔가 립서비스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구요. 옐렌 아줌마가 금리인상을 늦춘다면 약달러로 역시나 유가는 폭등(?).. 아니 상승에 무게가 더해질것으로 생각 합니다. 현재는 감산 기대로 소폭 상승 했네요. 하하하하하하핳~~~ 오늘도 어제만 같아라~~ 라고 기대하기 보다는... 앞으로 유가의 상승/하락에 관해서 고민하는 편이 좋을듯 합니다. 한마디만 더 드리자면....
국제유가가 다시 30달러 대로 하락하는 모습이네요. 챠트상으로만 보면 쌍바닥을 형성하는 모습인데... 요즘 베네수엘라 석유장관이라는 '델 피노'라는 분이 각국을 방문하면서 유가 감산과 관련해서 논의 하고자 애쓰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뭐..당연하게도 사우디의 감산동의는 얻지 못했고 국제유가는 하락 했군요. 유가의 변동성이 너무 커서 설 연휴동안에는 손을 놓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인버스를 전량 손절 했습니다. 하락으로 좀 뻘쭘(?)한 상황이지만서도 괜찮습니다... 시장은 항상 열릴것이고... 기회는 언제든 다시 오기 때문입니다. 결국 최종적인 관심은 국제유가의 바닥..즉 저점은 어디쯤일까? 라는 것이죠... 베네수엘라 같은 경우... 지금 국가 디폴트 상태에 가까워져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 입니다. 그래..
지난 글에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는듯 해서 2편을 올립니다. 금/유가 상승/하락에 관련한 투자 가운데서 ETF와 ETN이 있다고 말씀 드렸죠. 종목은 아래글에 올려놓은 사진 보시면 될듯 하고... 링크 : http://gildong.net/333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금 = 달러' 라는 공식이 일반적입니다. '유가 = 달러' 라는 공식 또한 일반적이지요. 왜냐면 금,유가는 달러로 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이야 유로화/위안화로도 결제가 된다고들 하지만 아직은 부족하지요. 따라서 강달러 상황이면 금/유가는 하락 할테고, 그 반대 상황은 상승 하는것이 보통이지요. 참고로 강달러 라는 것은 달러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
지난 시간에 ETN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 했었죠? 오늘은 금과 유가에 대해 잠시 썰을 풀고자 합니다. 경제에 대해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대한민국 경제가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유가,환율,달러가 안정적이어야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겁니다. 지금은 한국 경제가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형국입니다. FOMC의 금리인상으로 강달러 현상이 예상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유가의 급격한 하락으로 업친데 덮친격이 되는 상황이네요. 얼핏보면 유가의 하락으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좋아 질것 같다는 생각드 드실겁니다. 원자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가의 하락은 거의 확실히 원자재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싸게 원료를 수입 할 수는 있지만, 더불어 수출할때의 단가 또한 내려감을 의미 합니다.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