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의 정책으로 원/달러가 1212.50원을 최고점으로 찍고 줄줄이 내려오고 있네요... 앞으로도 더욱 내려 갈 것이라고 하니 환율에 관심있는 분들은 아래 ETF를 거래 하시면 좋겠습니다. KOSEF 미국달러선물 레버리지 KOSEF 달러선물 KOSEF 달러인버스선물 KOSEF 미국달러선물 인버스2x(합성) 트럼프의 정책은 '아메리카 퍼스트! 아메리카 퍼스트!' 라고 공공연하게 외치고 있지요. 미국 내 산업을 부흥(?)시키고자 달러를 풀면 약세가 지속 되겠지요. 관심을 갖고 뉴스등으로 지속적인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다른것들도 있기는 하지만, 거래량이 너무 적어서 매매하는데는 불편하므로 굳이 적지 않겠습니다...
KODEX200선물인버스2X 코스피지수가 하락시 하락폭만큼의 두배를 수익으로 얻을 수 있는 ETF중에 하나 입니다. 그동안 인버스는 1X라서 재미 없으셨죠? 이제 2배짜리가 나왔으니 한번 질러 볼까요? (데헷~) 2017년 2월에는 무엇을 매수 해 볼까 생각하다보니 이런 코스피 지수가 박스권 상단이라는 것을 깜박하고 있었습니다. 코스피 주봉으로 봐도 박스권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것이 보이실겁니다. 거래량도 그닥 감소하는 추세인듯 하고요... 조금 햇갈릴때는 챠트를 뒤집어서 보라는 말이 있지요... 좀더 디테일하게 보려고 저는 KODEX200선물인버스2X의 챠트를 한번 살펴 보았습니다. 코스피지수와 거의 상반된다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니까요... 꾸준히 하락 후 바닥에서 다지기 들어간 상태이고요... 거래량이..
코스피 2017년 01월 20일까지의 챠트 입니다. 코스피가 주봉과 월봉상으로 박스권 내에서 고점에 이르렀고, 잠시 밀려나는 모습이네요. 만일 박스권에서 등락이 된다고 예상한다면 개별종목 보다는 KODEX 인버스나 KODEX 선물인버스2X에 투자하는것이 더 좋은 판단인듯 합니다... 현재는 한국에 뚜렷한 호재가 없으니까요... 물론 박스권이라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만... 코스피지수 고점 또는 저점시에 레버리지/인버스를 잘 선택한다면 반드시라고 할 만큼 매수했던 포인트는 지나갑니다... 그게 장점이라면 장점이지요... 단점은, 재미없다고 생각 할 분들이 많으시다는 거고요... 항상 말씀드리는거지만, 투자는 오로지 각 개인의 책임이고, 제가하는 말은 참고사항 정도로만 들으시면 되겠습니다.^^
금일 오전에 파마리서치프로덕트를 전량 매도하고, 시장을 지켜 보았습니다. 시장이 전체적으로 불안하다고 판단해서 재투자 할 종목군을 선정 해 보았습니다. 1. 달러선물 2. 중국증시 인버스 3. 원자재 인버스 종목이 아무리 좋아도 전체적인 시장이 죽으면 종목또한 하락하는 것이 당연합니다. 그래서 개별종목은 매수 할 엄두도 내지 못 했고, 달러선물에 투자하는것이 지금 상황에서 그나마 가장 안정적인 것이라고 생각은 했지만... 수익율에서 기대에 미치지 못할 듯 보였습니다. 중국증시가 오늘 오전에 4.9%정도에서 시작 했는데요... 촉이 좀 이상 하더라구요. 뉴스에서는 내린 이유가 제조업 구매자지수(PMI)가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어쩌구 저쩌구 합니다만... 결국은 수요 대비 공급의 초과가 문제 아니겠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