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락하는 국제유가...

반응형
반응형

 

 

국제유가의 하락이 심상치 않네요.

오늘 5%넘게 반등했다고 해도, 이는 기술적 반등이라고 다들 인식하는듯 하고요..

장기적으로는 30$대로 주저 앉을 가능성이 크다고 다들 생각하는 듯 합니다.

 

저는 요즘 손을 놓고 있어서 그런지 유가가 오르든지 하락 하든지 무덤덤 했었습니다.

뭐..좀 떨어지면 유가선물좀 매수 했다가 용돈 좀 벌고...

더 떨어져서 서브프라임처럼 유가관련 위기가 온다면 하락에 베팅좀 하고...

막연하게 이런 생각 뿐이었죠.

 

사실 일개 개미인 내가 국가간의 갈등에 따라 하락하는 유가가 어디까지 하락할지, 언제 상승할지를

어떻게 알겠습니까?

한국에서도 과연 예상 할 수 있는 사람이나 있긴 있을까요?

(저는 소위 전문가라는 사람들을 믿지 않아서 그런 생각도 한번 해봅니다.)

다들 발생한 현상을 가지고 여러가지 원인과 이유를 틀에 끼워 넣을뿐....

미래에 어떤 현상이 발생할 것인지 예측하는 사람은 극히 소수입니다..

(즉, 원인과 이유로 현상이 발생할 것을 예측 해야지..현상이 발생하고 원인과 이유를 끼워 넣는것은

누구나 조금만 신경쓰면 다 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나마 그 예측도 빗나가기 일쑤이고요...

 

그래도 다들 말하는 것을 보니 맞다 싶어서, 저도 간략하게만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번 국제유가 급락은 OPEC VS 미국의 대결로 인한 수요대비 공급초과 생산이 이유라는것에

동의 합니다.

양적완화의 시행으로 약달러=고유가의 공식이 어느정도 성립되었다가, 양적완화까지 종료된 마당에

원자재가 폭락하는것은 어느정도 합당한 면도 있고요... 

기축통화인 달러처럼 원자재 분야에서 달러 역활을 하는 '유가'가 급락하니 다른 원자재들도

덩달아 급락하게 되고...

자원을 수출하는 국가들은(러시아나 브라질등.) 고래싸움에 새우등 터지는 꼴이 된듯 합니다.

그 상황에서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로 유럽과 미국에 밉보이기 까지 했으니 말을 다 한거죠...

 

이번의 국제유가 하락의 최초 원인은 '셰일가스'라는 의견에도 동의 합니다.

저도 셰일가스로 인해서 유가가 하락할것은 예상 했으나 이렇게 임팩트(?) 있게 하락 하리라고는

전혀 상상하지 못했습니다.

 

대다수 투자자들이 예상하는 바가 45$,35$ 정도가 지지선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보며,

그 지지선에서 일시적인 반등이 일어날 수도 있겠으나 결국은 30$선으로 진입 할것으로 예측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서브프라임 모기지'에서 우리는 겪어 봤듯이 항상 대부분의 예측은 빗나가며,

우리가 예상하는 시간과 지역, 과정등을 비웃듯이 빗겨갑니다.

그래서 유가의 하락이 어디쯤에서 멈출것인지, 아니면 정말 '유가'발 위기가 찾아올 것인지...를 저 또한

전혀 예측하지 못하겠습니다.

그냥 어렴풋이 35$는 찍고 반등하리라는 생각이 들 뿐입니다.

 

뒤돌아 보면 우리는 이런 치킨게임을 전에도 겪어 봤었지요..

바로 삼성,하이닉스 VS 반삼성 일본 반도체 기업들간의 반도체 전쟁입니다.

결국 삼성이 승리하고 엘피다는 파산하는걸로 끝났습니다.

승자는 공급량을 통제 할수있고, 가격 경쟁력 자체를 무력화 시켜 독과점을 형성할 수 있을겁니다.

이번 유가급락도 미국이 치킨게임의 승자가 되기위해 발악하는 가운데 발생하는 현상중에

하나 라고 생각하는것이 타당하지 않을까요?

만일 오펙에게 주도권을 뺏기기라도 한다면, 항상 하던 방식으로 다시 중동에서 전쟁을 일으킬

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니면, 다른 산유국들에게서 유가의 공급 주도권을 뺏은다음, 전쟁으로 유가를 상승 시킬수도 있겠죠.

요즘 글로벌적으로 경제가 개판이니 수요와 공급의 관계로는 무리니까 말이죠..

이것이 첫번째 가정입니다.

 

두번째 가정은 '유가'발 위기가 오는 겁니다.

말그대로 미국이 주도권 좀 잡아보려고 했다가 러시아나 브라질,이란,베네수엘라 등의 국가에서

버티지 못하고 '디폴트'라도 맞는다면 상황이 더욱 어려워 지겠지요..

'쥐도 도망갈 구멍을 보고 쫒는다'고 하지 않습니까?

 

제가볼때 사실 이런것은 자잘한(?)것 같구요..

정작 실제적으로 가장 큰 문제는 미국주가의 고평가라고 생각합니다.

요즘 나오는 자료로는 실물경제와의 괴리율이 30%를 넘어간다고 하네요.

이는 역대 최고의 괴리율이고요...

이런 상항에서 금리인상이라도 한다면, 그 충격은 양적완화를 시행 할때 미쳤던 것보다

몇배의 데미지로 유럽과 신흥국을 덮칠겁니다.

아마 유가가 이때 30$선을 하향돌파 할것으로 예측은 됩니다만...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미국 주가의 붕괴, 저유가로 인한 산유국들의 디폴트, EU와 일본의 양적완화 후폭퐁...

이런것들이 복합적으로 엮여서 위기로 확산된다면 과연 해결책이나 있을까요?....

 

그래서 결론은 저유가 상황에서 상향에 베팅이라도 할라치면...

대충 상반기가 지나 미국에서 금리인상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확인하고 베팅하는것이 가장

안전한 유가관련 수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 합니다.

단순히 유가가 많이 하락했다는 이유만으로 베팅하기에는 여건이 너무 않좋다는 것이죠..

이게 저의 결론인듯 합니다...

 

CF. 항상 저의 의견과 예측은 사이비 종교의 예측이 맞을 확률과 비슷하니 그냥 편하게 생각하셨으면 합니다.

      또한 제 글과 관련된 어떠한 투자도 수익을 담보해 드리지 못함을 알아주십시요.. - END -

반응형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