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의 지속적인 금리인상으로 비교적 체력이 떨어지는신흥국들이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바로 터키, 인도네시아,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 입니다. 98년 외환위기는 태국이 위기를 겪으면서 시작되었다는 것이 거의 정설입니다. 아르헨티나, 페루, 브라질쪽은 뭐...재네들은 70년대부터도 위기를 겪어왔지만우리로서는 경제권에 묶여 있지도 않고크게 상관도 없는터라 강건너 불구경이 었지요... 그런데 98년도 태국은 달랐습니다.태국이 어려워지자 비슷한 급으로 취급 받았던 한국도덩달아 위기를 맞았지요... 우리는 아니라고 항변 했겠지만...월스트리트에 있던 애들은 그렇게 생각하지 않았나 봅니다..ㅠ 터키는 좀 그렇다 치더라도인도네시아는 같은 아시아권에 묶여 있어서 이번에는 어찌될지 심히 궁금하네요... 다른 국가는..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여러모로 진통(?)이 오는것이 꼭 산모가 아기를 나을 때 주기적으로 오는 산통과 같아 보입니다... 북한은 풍계리 핵 실험장을 폭파(?) 시킨다며 외신 기자들에게 공개 했습니다만... 완전한 핵 포기가 아닌 쇼라는 것은 대부분이 파악하고 있을 것입니다. 사실 북미회담이 열리기도 전에 핵 포기를 하는것은 바보같은 일이겠지요... 자신의 패를 버리는 것일테니.. 그런데... 생각치도 못하게도 풍계리 핵 실험장이 폭파된 바로 뒤에 트럼프는 6월12일에 예정되어 있었던 '북미 정상회담을' 취소 시켰습니다. 생각지도 못했던 충격이었던 것이... 미국이란 나라가 북한이 하는 방식을 따라 했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바로 양아치 같은 행동을 말이죠... 거기에다가 오늘은 '북미 정상회담'이..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1.5%로 4회연속 동결 시켰습니다. 누가봐도 정상적이지 않아 보입니다만... 그냥 쉽게 말해서 아파트 가격폭락이 예상되므로 다른 피해를 감수하겠다... 이정도 생각인듯 합니다... 일단은... 가계대출 실질금리가 기본적으로 2.38%라고 합니다... 기본이라는 것은 말그대로 기본이고요... 대다수의 대출자분들은 이 금리보다 더 높게 대출 받을 겁니다. 한국계 채권발행 상황을 비교 해보면 예를들어 위 그림처럼 18년 03.21에 신한은행에서 발행한 후순위 채권의 금리를 보면 4.516% 입니다. 즉, 신한은행이 4.516%의 금리로 돈을 빌려 국내에 들여 왔는데 기본금리라는 2.38%로 서민에게 돈을 빌려 줄까요? 아니면 수수료부터 각종 이윤을 덧 붙여서 6~7%대에 대출 해 줄까요..
삼성전자 와 삼성디스플레이 등의 삼성전자 계열사들의 '작업환경측정결과 보고서' 가 과연 공개되면 과연 '영업비밀'에 해당 될 것이지에 대해서 논란이 많네요.. 이에 대한 저만의 의견을 피력하고자 한줄 적어 봅니다. 결과적으로 최종 논란은 기업의 이익인가? 아니면 인간의 행복인가?에 대한 한국 사회의 답을 요구하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솔직히 기업의 이익을 침해 하는가?에 대한 것에도 의문이 있는것이 사실입니다. 이것 보세요.. SK하이닉스는 공개 했다잖아요... 그렇다고 하이닉스가 망하기라도 하나요? 이전 글에서 IMB의 하청 업체가 삼성전자 같다는 의견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링크] http://gildong.net/916 IBM이 미국에서 반도체를 자체 생산할 경우 제조 과정에서 사용되는 독성물질 때문..
파주에 제2의 '개성공단'을 만든다는 뉴스가 올라 왔네요. '개성공단'을 재 가동시에 대외 변수(?)로 인해서다시 폐쇄될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는 듯 합니다. 적어도 한국 땅에 남북 협력 공단을 만들고중국등의 외자 유치를 한다면, 쉽게 폐쇄될 리는 없을거라는 계산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파주 땅값이 좀 뛰겠는데요?..ㅋ 위 거곡리 지역이 후보지라고 하네요... 뉴스로 보면 중소기업 뿐만 아니라 대기업들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도 있다고 합니다.. 저의 관심사는 현재 매수 후 보유중인 '아가방컴퍼니'의 향후 행보 입니다. 2006년도 5월의 위 뉴스를 찾아 보면'아가방컴퍼니'도 '개성공단'에 관심이 있었고방문단에 신청 했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현재 '아가방컴퍼니'의 최대 주주는 랑시코..
요즘 한진 오너일가의 문제로 연일 떠들석 합니다... 휴...그동안 한국이라는 나라에서 숨기고 싶었던 민낯을 그대로 들어 내는군요. 한국에서 소위 재벌 기업들의 오너 일가들은 기업의 2~3%정도밖에 지분이 없으면서도 절대적으로 권력을 휘둘러 왔습니다. 우리는 이러한 행태를 앞으로도 계속 지켜봐야 할까요? 네..계속 지켜 보시겠다고요? 그럼 계속 힘드실겁니다... 요즘 '갑질'로 문제가 되고 있는 '대한항공'을 예로 들어보면 내년부터 새롭게 적용되는 국제회계기준, 'IFRS16'이 적용되는데요... 이는 '리스'에 관한 사항입니다... 이게 왜 문제가 되냐하면... 아래 뉴스를 참고해 보시면 쉽게 알수 있습니다. 항공사가 항공기를 모두 구매해서 운용하고 있는게 아닙니다. '리스'라는 형태로 임대 하거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