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이 왜이리 봄바람 같은지 모르겠습니다. 농담이고요... 오늘 한국전력을 지켜보다가 외국계에서 매수량이 매도량을 넘어 섰을때 재매수 하였습니다. 아마 외국계들에게는 한국의 환율이 저환율로 가는 추세이고 수입기업 중에 한국전력이 눈에 띌테고.. 아직은 시가배당률이 4%대를 주고있고 뭐... 이런저런 이유로 매수하는가 봅니다... 다음 눌림목까지 버틸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어요... 워낙 새가슴이라서... 조금만 낌새가 이상해도 그냥 수익률을 포기하는 편이거든요..ㅋ 원금을 보존하는게 낮다는 생각입니다...
책, 언론, 정부 할것없이 이제는 4차 산업군을 대비해야 한다는얘기가 많습니다... 현재 3차 산업군에서 4차 산업으로의 변화는 시대의 흐름이 맞기는 한데... 과연 한국에 있는 제조업 산업군들이 제대로 대비하고 있는지는 의문이 들지요? 굳이 뉴스를 보지 않아도 깨시민이라면 우려할 만한 상황이 벌어질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적어도 독일이나 일본, 하다못해 중국까지는 거론하지 않더라도 각 나라들은 최소 10년이상을 4차산업에 대해서 대비 해 왔습니다... 우리는 그것을 보고도 이해조차 하지 못했죠... 아니 당장 먹고 살지 힘들어서 일까요? 미래를 생각하지 않고, 코 앞에 닥쳐야 큰일이 난것처럼 호들갑을 떨지요.. 그런데 흘러가는 것을 보니 조금 묘한점이 보입니다... 4차산업 관련해서 독일의 인더스트리4...
당신이 주식질을 하고 있다면... 공매도가 얼마나 나쁜의도로 사용되고 있는지를 대충이나마 잘 알고 있으리라 생각 합니다... 정말 공정한 기회만 주어진다고 한다면... 개미들이 얼마나 더 크고 높은 수익률을 기록할 수 있을지 상상이 안가네요... 공매도를 개혁하겠다는 유일한 후보네요... 주식질 하는 개미는 누구를 선택 해야 할까요?
언제부터인지 중국에서 대륙굴기라는 말이 자주 언급되고 있습니다... 경제적 성장에 힘입어 이제는 어느정도 자신감을 갖추었다는 중국 스스로의 의지를 표현하는 단어랍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대국이라는 말을 쓰기에는 그들은 국제사회에서 책임감있는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는것도 사실이지요... 아래 사진에서 처럼 중국은 주변에서 미국의 세력권을 밀어내고 싶어한다는 것은 이제는 누구나 아는 사실이 되었죠.. 그래서 대만, 일본과 끊임없이 부딪히고... 예전부터 인도로 진출하고자 예전부터 버마에서 미국과의 대리전 양상을 벌일정도로 부딪히고는 했습니다.. 뉴스에서 보듯이 중국의 진출을 미국이 사실상 봉쇄하는 상황이거든요... 자세한것은 아래 블로그님의 글을 참조하시는것이 나을듯 하네요... 저는 도저히 이..
먼저, 보험업 관련 종사자가 아니라서 정보에 상당한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 보험업을 우선적으로 설명하자면.... IFRS4의 2단계가 2018년에 시행됩니다. 아래 뉴스를 보시면... IFRS4는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보험계약서에 관련된 기준서라는 설명이 있네요. 설명을 읽어봐도 역시 어렵네요...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국제회계기준(IFRS)가 적용되는데... 세부내역중에 IFRS4-II 라고하는 보험관련 기준이 바뀐다는 것이고... 이 바뀐 기준에 맞추려면 보험업계에서 대략 14년 기준으로 42조원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관련 기업들의 준비는 아직 미흡한듯 합니다... 아마 대다수가 작년까지도 배당을 실시 했을껄요? 그 돈으로 준비를 해야지...ㅉㅉ..
미국의 금리인상에 세계인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또 하나 관전 포인트는 옐런 아줌마와 트럼프 아저씨의 맞대결이겠지요... 옐런 아줌마는 경제학자이고... 트럼프 아저씨는 기업가이지요... VS 옐런 아줌마는 미국 고용지표 개선으로 금리를 상승 시키고 싶어합니다... 시장경제의 원리에 따른 금리 조절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이죠.. 트럼프 아저씨는 기업가입니다. 1조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돈을 인프라에 투자 하겠다고 공약 했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돈이 시중에 돌아 다녀야 하지요... 거기에 오바바가 남겨놓은 막대한 채무까지 넘겨 받은 마당에 자기가 똥을 치우기는 싫을 겁니다... 어떻게든 자기 임기내에 유지하고, 다음 정권으로 넘기고자 하겠지요... 그래서 가급적 금리는 동결 내지 인하 하고 싶어 할테..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옐런 아줌마가 금리인상을 시작 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미국의 금리는 0.75%~1.00%로 되었고 블로그 우측에 있는 사이드바 아래쪽에 금리가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핸드폰은 쭈~욱 밑으로 내리시면 보입니다. 쉽게 다시 설명 하자면 미국은 KB국민은행이라고 할수있고, 한국은 저기 밑에 부산의 한번쯤 들어봤을만한 저축은행쯤 되겠네요... 국민은행의 이자율이 1%라면... 저축은행에 사람들의 예금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최소 1.5%~2%이상으로 올려야 겠지요... 결론적으로 한국은 미국보다 금리가 높아야 해외 투자자금이 한국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습니다.. 1,300조쯤 되는 막대한 가계부채와 세계3위의 가계부채..
뉴스를 보니 서울에서 18~29세 사이의 청년층의 취업경험 중 정규직 비율이 고작 7%라고 하네요... 경험이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취업상태에서는 더욱 줄어든다는 말이네요... 정말 청년층의 취업이 역대로 힘들어 지는 모습니다... 앞으로 은행,보험 그리고 건설업종까지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이 비율이 3%정도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말도 돌고 있지요... 진정 노예화가 되는 겁니다... 왜 우리는 이런 모습으로 변해 갈까요? 우리가...그리고 당신이 사회, 정치, 주변 이웃들에게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나만 아니면 돼'..라는 지극히 이기주의 적인 생각들... 남이 나서주기를 바라고, 자기는 그 열매만을 따 먹으려는 습성과 생각들... 고로 아무도 나서지 않으니 도적들이 날뛰는것이죠... 고등학교 ..
[링크] 트럼프 행정부의 초기 정책 평가 및 함의
소위 생보사들이 연금보험을 축소 지급 했다는 의혹이 뉴스로 나왔네요... 비슷한 내용으로 작년쯤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방영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가지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요... 예를들어 IMF시절 고금리 시대에 예를들어 15%정도의 이율로 연금을 주기로 한다는 보험설계사들의 말만 믿고 노후를 준비했다가 최저이율 3%인가?? 이정도로 연금이 나와서 멘붕하는 분들이 엄청 많으셨을 겁니다.. 지금도 기억하는게... 법원 판결이 어떻게 나왔냐면... 가입 계약서에 15%로 했다 하더라도 그 정도로 가입자들에게 다 주면 회사가 파산하니 지금 3%인가?? 주는게 합당하다.... 라고 나왔답니다.... 여러분... 님들 가입 계약서 상에 확정이율...최저이율.... 이런거 정해서 계약하잖아요.... 다..
아파트 미분양 세대의 할인분양 뉴스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피스텔은 예전에 나가 떨어졌고... 이제는 빌라쪽이 나가 떨어질 차례인듯 하고... 슬슬 아파트 쪽에서도 공포 분위기가 확산 될 조짐이 보이는 건가요? 부동산 쪽은 잘 몰라서 감이 안잡히네요...
이제 시동이 걸리는 건가요? 2017/03/11 - [[ 이 슈 ] Issue] - 은행과 보험업의 구조조정이 시작 되는가... - 부제: 은행/보험업종 종사자는 퇴직준비 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