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일은 유일하게 S&P 500 VIX 지수만이 +12%대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세계증시가 연초부터 바닥을 기고 있네요. 미국증시는 장중 폭락에서 회복되는 모습을 계속 보여주고는 있는데.. 이러한 점은 경험상 강한 하락을 예상하는 모습이기도 합니다. 금일 중국증시에서 2번째로 서킷브레이커를 발동 되었습니다. 이에 당국은 5%이상 대주주 지분 매각 해제와 관련해서(8일 해제되는 날이죠) 3개월 내 매각 가능지분을 1%로 제한하고, 15일전에 매각 계획을 밝히도록 했습니다. 물론 상상 입니다만... 이 부분과 관련해서는 당국이 일부러 조장하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운 부분입니다. 사실 3개월 내 1% 매각제한 하면, 1년 내내 매도압력을 받을텐데... 거래량이 받쳐주지 않는 주식들을 어떻하라구요? 그리고, 우리..
조금전에 중국증시가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되어 15분 거래 중지 상태였다가 -7.32%로 금일 거래가 중지 되었습니다. 뉴스링크: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07/2016010701341.html 이쯤되면 막가자는 거지요? 오전에 중국 당국이 위안화를 달러당 6.5646위안으로 고시하여 0.51% 절하 한다는 발표가 있었습니다. 위안화 절하로 인해서 해외자본이 빠져 나가는 와중에 중국 증시는 아우성 이네요. 투기자본은 옆에서 거들뿐??? 복잡하게 생각 할것이 없다고 생각 합니다. 중국 당국의 의도 이든지, 아니든지 벌어지는 현상만 보고 우리는 고민하면 됩니다. 우리는 태국의 바트화로 인해서 위기를 맞은 1997년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중국이 지금..
며칠전에 삼성의 자산매각에 대해 뉴스를 찾아 보다가 보니 삼성토탈과 삼성종합화학이 한화에 인수되면서한화토탈과 한화종합화학으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뉴스로 보기에는 삼성은 화학쪽을 접고, 한화는 유통과 화학을 주력으로 한다고 했다.여기서 삼성이 얼마나 머리가 좋은지 느껴진다.역시 삼성..!!! 자 이유를 살펴보자. 석유화학제품의 기본이 무엇인가? 그렇다..바로 석유다..그런데 중동은 석유화학제품 시설이 거의 없기 때문에... 그냥 석유 팔아서 완제품 들여온다... 중국도 세계에 완제품 싸게 팔아먹을때...한국 석유화학원료 많이 사용한다.아마 한국에서 수출하는 석유화학 원료의 반 이상은 될거다. 문제는 미국이다.이놈의 셰일 가스/오일이 문제다. 이전글: 2014/05/15 - 쉐일(셰일)가스로 인한 세계질서의..
오늘 중국 증시에 사상 처음으로 서킷브레이커가 발동 되었습니다. 중국증시의 서킷브레이커 발동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CSI 300지수를 기준으로 1. +-5%이상 변동 발생 => 15분간 거래중지 2. +-7%이상 변동 발생 => 마감시 까지 거래중지 3. 장 마감 15분전인 14시 45분 이후에 +-5%이상 변동 링크: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02440 중국증시 폭락의 원인으로는 뉴스에서 아래와 같은 원인이라고 보도 했습니다. 1. 위안화 절하 가능성으로 인한 외국자본 이탈 2. 유동성 고갈 3. 상장사 5%이상 대주주 지분 매각제한 풀림우려(1월8일 해제) 4. 중동발 위험성 5. 중국 제조업지수(PMI)의 저조 중국이 AI..
오늘은 31일 이군요. 앤 없는 저는 저녁에 나가 놀기도 그렇고... 책상에 앉아 공부를 하자니...잡생각만 나네요. 그래서 공상의 나래를 펼쳐볼까 합니다. 한국에는 삼성이라는 거대 기업이 있습니다. 한국에서 뛰어난 인재들은 삼성이 모두 보유(?)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요. 그런 삼성에서 자산을 매각 한다는 뉴스가 심심찮게 뜨고 있네요. [링크]: 삼성 화학계열사 모두 롯데에 매각...(THE HUFFINGTON FOST, '15.10.30) [링크]: 삼성생명 자산매각 러쉬...(뉴데일리경제, '15.10.08) [링크]: 삼성전자 네트워크 사업부 매각 검토 (Focus news, '15.11.15) [링크]: 삼성전자 구미1공장, 한화탈레스에 매각 (머니투데이, '15.11.05) [링크]: ..
드디어 그분이 오셨습니다....-_-;; 띠리리~리리... 영구 업따~ 아니죠... 영구채(Perpetual Bond)이죠. 최근 핫(?)한 이슈로 부각되어 조금씩 퍼지고 있네요...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습니다. 3년전쯤에 두산인프라코어에서 영구채권을 국내 최초로 발행 했습니다. 대박.!!! 이분이 산업은행장으로 여기에 계셨네... 아마 두고두고 역사에 회자(?) 되실 분인데... 오홋..+_+... 각설하고.. 영구채 5억달러를 발행 했는데... 산업은행(40%), 우리은행(40%), 하나은행(20%)에서 신용공여 해 주었답니다. 금융감독원에서는 영구채를 부채가 아닌 자본으로 해석 해주니.... 다른 기업들 또한 너도나도 달려 들었겠지요... 풋옵션이 있는 영구채는 사실 5년만기 회사채나 다름 없다고 ..
현대경제 연구원에서 좋은 보고서가 나왔네요... [링크] 현대경제연구원
몇 달 전부터 노동법 관련해서 온나라가 시끌벅적 합니다. 덕분에 비교적 정치에 관심이 없던 내가 궁금해서 이렇게 글을 적고 있을 정도이니까요... 그래서 소위 노동개혁 5대법안이라고 말하는 내용의 원문을 보고자 했습니다. 뉴스에는 주요 쟁점이니 뭐니 해서 자료가 나오기는 하는데... 그것은 2차 가공된 자료이기도 하고, 다른이들의 의견 일뿐이니까요... (저는 그런자료 싫어 합니다.) 원문을 보고 판단하려 했으나.... 도대체 원문은 어디에 있는겨???? 아니... 적어도 새누리당 홈페이지 자료실에는 있어야 하는게 정상 아닌가요? 위기상황이네, 노동권을 탄압하는 법안이네...어쩌구들 싸우고 있는데... 나도 원문 좀 보자고...(나..나도 국민 이잖아...) 아무튼 새누리당에서 통과 시키려는 노동개혁 5..
[링크]: 최경환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 미 금리 불안에 방어벽 될것" (연합뉴스, '15.12.20) 국민의 방어막이 될지, 외국인들의 방어막이 될지는 일단 두고 봐야 하는 것이고... 무조건 적인 비판도 아니요, 무조건 적인 찬성도 아닌.... 나는 현재 중도...즉 관망 하고있다.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지켜 보겠슴돠~ 나중에 "신용등급 상향에 경기 좋아진다는 말 한적 없어..." 이딴 소리 하심 안됩니다... 아참참..!! 그리고 근혜누나가 국가 비상사태라고 하는데... 왜 사임하시나요? 국회의원 당선되러 가시는 건가요? 나를 버리지 말아요..ㅠㅠ
오.. 무디스사에서 한국의 신용등급을 역대 최고로 상향 시켰습니다.. 와우~ (박수) 짝짝짝...!! 그래서 좋냐? 행복하냐? 뭐 달라지는거 있음둥? 그러면 지금부터 신용등급 상향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풀겠습니다. 먼저 금리인상 전부터 외국인의 매도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스에 보면 중동 자금도 빠져 나가고 있다고 하지요? 아직도 빠져 나가지 못한 자금들이 어마어마 할겁니다. 반드시 매도는 매수 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주식질을 하는 우리는 이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호가에 주구장창 매도 걸어 놓으면 뭐합니까? 정작 매수 하는 사람이 없으면 안 팔리는 것을... 결국, 아직 빠져 나가지 못한 외국인 자금을 위해서 신용등급을 상향 시켰다.???? 라는 추측이 가능 해 집니다. 아직 추측입니다. 둘째..
미 증시를 보면서 여러 섹터를 살피느라 본이 아니게 밤을 샜네요. 아놔...불금인데... 그래도 재미 있는데 어쩔수 없지요.. 정리하는 차원에서 한번 적어 봅니다. 누락 되는 것은 추가적으로 적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관련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1. 2017년 말까지 베일인 제도 시행 확정. [링크]: 베일인, 채권자 손실부담 (내위키) [링크]: 금융사 예금자도 부담...은행 예금 어떻게 되나? (프라임경제, '15.12.09) 문제는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해당 은행이 망했을경우 예금자의 권리가 다른 채권자들이나 주주들의 권리보다 우선시 되지 않으므로 제소시에 위법 소지가 있다는 겁니다. 결국 내가 5천만원을 예금 했는데..돈을 다 돌려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테슬라가 한국에 상륙한다는 뉴스입니다. 참 반가운 소식이네요. 한국 자동차 시장이 독과점 시장에 가깝다는 것은 잘 알고 계실것이고... 테슬라에서 오래 되지 않아서 보급형 전기차를 내 놓는다면... 저는 환영 입니다...ㅋ 예전에 삼성 옴니아 시절을 기억 하시지요? 국내 대부분의 핸폰 사용자가 폴더폰이었던 시절에, 애플은 이미 터치 폰/MP3같은 저만치 발전된 모델을 내 놓았고 국내 진출함에 따라서 삼성 또한 경쟁 모델로 옴니아 모델을 내 놓았지요. 중소기업이었다면 법을 만들어 규제하든지, 돈으로 권력으로 어떻게든 망하게 하든지 먹어 버리든지 했을텐데... 아쉽게도 애플 이었답니다. 울며 겨자먹기로 어설프게 출시한 모델이 옴니아 였던걸로 기억하는데요... 참 엉성 했지요... 전 그때 아이폰3 사용자 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