먼저, 보험업 관련 종사자가 아니라서 정보에 상당한 오차가 있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그냥 참고만 하세요~ 보험업을 우선적으로 설명하자면.... IFRS4의 2단계가 2018년에 시행됩니다. 아래 뉴스를 보시면... IFRS4는 국제회계기준(IFRS)에서 보험계약서에 관련된 기준서라는 설명이 있네요. 설명을 읽어봐도 역시 어렵네요...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국제회계기준(IFRS)가 적용되는데... 세부내역중에 IFRS4-II 라고하는 보험관련 기준이 바뀐다는 것이고... 이 바뀐 기준에 맞추려면 보험업계에서 대략 14년 기준으로 42조원 정도가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관련 기업들의 준비는 아직 미흡한듯 합니다... 아마 대다수가 작년까지도 배당을 실시 했을껄요? 그 돈으로 준비를 해야지...ㅉㅉ..
미국의 금리인상에 세계인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거기에 또 하나 관전 포인트는 옐런 아줌마와 트럼프 아저씨의 맞대결이겠지요... 옐런 아줌마는 경제학자이고... 트럼프 아저씨는 기업가이지요... VS 옐런 아줌마는 미국 고용지표 개선으로 금리를 상승 시키고 싶어합니다... 시장경제의 원리에 따른 금리 조절을 하고 싶어 하는 것이죠.. 트럼프 아저씨는 기업가입니다. 1조달러에 이르는 막대한 돈을 인프라에 투자 하겠다고 공약 했었고 그러기 위해서는 돈이 시중에 돌아 다녀야 하지요... 거기에 오바바가 남겨놓은 막대한 채무까지 넘겨 받은 마당에 자기가 똥을 치우기는 싫을 겁니다... 어떻게든 자기 임기내에 유지하고, 다음 정권으로 넘기고자 하겠지요... 그래서 가급적 금리는 동결 내지 인하 하고 싶어 할테..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에서 옐런 아줌마가 금리인상을 시작 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미국의 금리는 0.75%~1.00%로 되었고 블로그 우측에 있는 사이드바 아래쪽에 금리가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핸드폰은 쭈~욱 밑으로 내리시면 보입니다. 쉽게 다시 설명 하자면 미국은 KB국민은행이라고 할수있고, 한국은 저기 밑에 부산의 한번쯤 들어봤을만한 저축은행쯤 되겠네요... 국민은행의 이자율이 1%라면... 저축은행에 사람들의 예금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최소 1.5%~2%이상으로 올려야 겠지요... 결론적으로 한국은 미국보다 금리가 높아야 해외 투자자금이 한국에서 이탈하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그리 녹녹치 않습니다.. 1,300조쯤 되는 막대한 가계부채와 세계3위의 가계부채..
뉴스를 보니 서울에서 18~29세 사이의 청년층의 취업경험 중 정규직 비율이 고작 7%라고 하네요... 경험이 그렇다면 현실적으로 취업상태에서는 더욱 줄어든다는 말이네요... 정말 청년층의 취업이 역대로 힘들어 지는 모습니다... 앞으로 은행,보험 그리고 건설업종까지 구조조정에 들어가면... 이 비율이 3%정도까지 떨어질 것이라는 말도 돌고 있지요... 진정 노예화가 되는 겁니다... 왜 우리는 이런 모습으로 변해 갈까요? 우리가...그리고 당신이 사회, 정치, 주변 이웃들에게 관심이 없기 때문입니다... '나만 아니면 돼'..라는 지극히 이기주의 적인 생각들... 남이 나서주기를 바라고, 자기는 그 열매만을 따 먹으려는 습성과 생각들... 고로 아무도 나서지 않으니 도적들이 날뛰는것이죠... 고등학교 ..
[링크] 트럼프 행정부의 초기 정책 평가 및 함의
소위 생보사들이 연금보험을 축소 지급 했다는 의혹이 뉴스로 나왔네요... 비슷한 내용으로 작년쯤에 '그것이 알고싶다.'에서도 방영 된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2가지 문제가 있어 보이는데요... 예를들어 IMF시절 고금리 시대에 예를들어 15%정도의 이율로 연금을 주기로 한다는 보험설계사들의 말만 믿고 노후를 준비했다가 최저이율 3%인가?? 이정도로 연금이 나와서 멘붕하는 분들이 엄청 많으셨을 겁니다.. 지금도 기억하는게... 법원 판결이 어떻게 나왔냐면... 가입 계약서에 15%로 했다 하더라도 그 정도로 가입자들에게 다 주면 회사가 파산하니 지금 3%인가?? 주는게 합당하다.... 라고 나왔답니다.... 여러분... 님들 가입 계약서 상에 확정이율...최저이율.... 이런거 정해서 계약하잖아요....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