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ed에서 금리인상을 결정 했네요.. 내년에도 점진적으로 3차례 이상 올린다는 계획을 발표 했는데요... 뉴스를 보니 불확실성이 제거되어 코스피는 상승할 것이다...라는 말들이 많았습니다... 진짜로???? 그냥 세월호 처럼 '가만히 있으라' 라고 말하는것은 아니고??? 하긴 니들 입장에서야 개미나 세력들이 갑작스레 빠져나가면 너희들 물량을 받아 줄 주체가 없어지는 것이니 언론 플레이라도 해야 하겠지... 그리고 우리는 지켜봐야 합니다... 물량을 조심스레 팔아 제끼는것은 아닌지 말이죠... 코스닥의 유동성중에 70%는 정치테마주라고 합니다. 그냥 돈 놓고 돈 먹기라는 것이죠... 그런데 솔직히 개인으로써 테마주를 선점 할 수 있는이가 몇이나 있을까요? 모두 검색 좀 해보고..'아.! 이 종목을 테..
요즘 주식종목에서 공매도로 장난을 너무 심하게 하는 바람에 다른 투자방식에 많은 관심이 있으실것으로 압니다. 그 중에 하나가 ETF/ETN 인데요... 유가, 금, 코스피/코스닥 지수, 각국의 지수, 농산물, 천연자원 등등의 상승과 하락에 베팅할수 있어서 장점이 많습니다. 수수료도 싸고, 주식처럼 매수/매도가 편리하기도 하지만 해외 투자 관련해서는 배당금이나 년 수익이 2천만원이 넘으면 종합과세가 된다고 하니 그 점을 주의 하셔야 합니다. 경험 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지금의 관련 세금방식은 너무 불합리하고, 정산하기에도 좀 짜증이 납니다. 그래서 투자 자체를 포기 하시는 분들도 많이 계시겠지요... 예를들어 2016년도에 3천만원의 수익을 얻고, 연말쯤에 4천만원의 손실을 입었다고 해도 이게 상계..
제가 좋아하는 말이 있지요. "비록 발은 진흙탕에 잠겨 있을지라도, 두 눈은 별을 바라본다." 누가 한 말이냐고요? 제가 평상시에도 생각하는 저의 마음가짐 입니다. 요즘 나라 안밖이 어수선 합니다만... 이와 관련된 글은 쓰지 않고 있었습니다. 관심이 없었던게 아니라, 현금보유가 대부분이이서 망하든지, 흥하든지 알아서 해라..라는 생각 때문이었습니다. 물론 현금보유는 etn달러쪽 입니다..-_-;; 근대사에서 이런 상황을 맞딱뜨린 경우가 있었던가? 할 정도로 '최순실'씨와 관련된 이슈(?)가 한국을 집어 삼키고 있습니다. 관련 뉴스는 하루가 멀다하고 도배되고 있으니 잘 아시리라 봅니다. 몇년 전부터 이미 한국은 식물인간 상태였다는 얘기가 많이 돌았었죠.. 농담으로, 국가를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능만이..
한동안 뜸하다가 글을 다시 적게 되었습니다. 여기는 저의 일기장이거든요. 그래서 저도 제 글을 읽으면서 ' 이때는 이렇게 생각했었지...' '왜 이런 생각을 했을까?' '왜 이런 종목을 산거지?' 라고 뒤돌아 보고는 합니다. 이렇게 반복적으로 성공과 실패, 후회와 자신감을 반복해서 겪고는 하지요. 미 금리 인상설은 이제 재탕, 삼탕.. 계속 간만 보고 있는 상황이네요. 아마 이런 상황을 반복적으로 연출 함으로써 투자자들이 미 금리가 인상되는 상황에 면역되기를 바라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개인 신용매수가 사상 최대금액이라고 하고, 코스피 챠트나 미쿡 챠트를 봐도 불안한 횡보(?)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지요... 벌써 몇년째 이러는지 모르겠네요... 간만에 들어와서 그런지 몰라도... 검색으로 종목을 찾아보니 ..
아래는 신동준님의 블로그에서 발췌한 글입니다. 클릭 해보시면 아시겠지만... 내공이 상당하신 분이네요... 이렇게 전문적인 글들을 기고하시는 분들이 많으셔야 저도 줏어 먹을게 많을텐데....ㅋ 물고기는 먹고 싶은데... 낚시를 배우자니 시간도 많이 걸리고... 그만큼의 노력도 하기 힘들고... 결국 누가 잡아주는 물고기만을 먹고 싶은데... 매일 물고기를 주는 사람은 없고... 그래서 생각하는것이... 낚시꾼들 주변을 어슬렁 거리면서 버려지는 죽은 물고기정도에 만족하자는 것이... 나만의 생각 입니다...-_-;;; 그정도 선에서 글을 쓰자는 것이 저의 목표이기도 하고요... 각설하고, 한국의 경제,사회 시스템이 일본과 상당히 흡사하다는 것은 대부분이 알고있는 사실입니다. 당연하겠지요... 그냥 베껴 왔..
(출처, 링크: 연합뉴스) 더민주에서 기업의 법인세를 현행 22%에서 25%로 상향하는 법안을 발의 할것으로 보여집니다. 상황은 조금 애애하기는 하네요... 올려야 하는것은 맞기는 맞는데.... 쌓아 놓기만 하고 있는 기업 보유자금을 어떻게 투자쪽으로 돌릴것인지... 청년실업과 저출산 등과 같은 문제가 더욱 시급 해 보이는데 말이죠... 법안에 대한 과정과 대기업 주가간의 상관관계를 추적 해 봐도 좋은 공부가 될듯 합니다... 저는... 요즘 그럴시간이 나지 않아서 그냥 코스피지수로 가늠 해보는 정도일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