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편에 이어서 적습니다. -개인의 몽상적인 의견입니다. 사실로 받아들이지 마세요. - 미국이 판단하기에는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기술이 완성단계에 와 있는것이 아닌가 하는 판단을 하고 있는 듯 합니다. 이라크처럼 북한을 폭격하자니.. 북.중.러 군사동맹 또한 침략 받을 시 자동참전이기 때문에 세계3차 대전이 일어 날 가능성이 높을 겁니다. 그렇다고 그냥 놔 둘수도 없고... 그래서 미국은 갑자기 사드를 꺼내 들었습니다. 이것은 미국 입장에서는 1타3피 이상을 얻는 상황이겠죠.. 1. 한국과 중국은 서로 상황이 나빠질 것이고, 만일 중국이 한국에 무역보복이라도 한다면...미국에 더 좋은 상황이 됩니다. 한국이 그동안 투트랙 전략으로 중국과도 가까워 지려 했으나, 앞으로는 미국 의존도가 더 심..
-개인의 몽상적인 의견입니다. 사실로 받아들이지 마세요. - 2월 7일 북한에서 미사일 발사 실험 후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인 사드(THAAD)의 한반도 내 배치를 결정 했다고 합니다. 실제적으로 미국은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 기술 수준이 완성 수준에 이르렀다고 판단하는 것이겠죠? 이는 중국과 러시아의 강한 반발을 일으켰습니다. 스타크래프트로 비유하자면... 상대팀 진영 앞에 옵져버와 탱크를 시즈모드 해 놓은 상황인데... 상당한 위협이 되기는 할겁니다. 막말로 이게 방어형도 되고, 공격형도 되는 것인지... 누가 알겠습니까?... 사드는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막기위한 레이더와 미사일로 구성되어 있답니다. 중국이 가장 반발하고 있는 점은 역시나, 사드 레이더 이겠죠? 이 X-밴더 레이더는 두가지 타입..
자본주의에는 신용 시스템이 있습니다. 특히나 선진국에서는 신용이라는 것이 중요한 요소이지요. 중국정부는 세서미크레딧(sesame credit)이라는 제도를 2020년에는 의무화 한다고 합니다. 이는 자본주의 신용제도처럼, 공산당에 대한 충성도를 신용처럼 매기는 제도인데요... 무섭네요...
독일 최대은행인 도이체방크의 디폴트 가능성이 높아진다는 뉴스입니다. 링크: http://news.mk.co.kr/newsRead.php?no=119956&year=2016 도이치방크 은행에서 발행한 코코본드(조건부자본증권)가 이자를 지불하지 못할것이라는 주장에 40%가 넘는 하락을 보였다가 11%이상 급등 하였군요. 코코본드라는 것이 높은 이자율을 지급 하지만 이자와 투자원금 손실이 발생 할 수 있는 꽤 높은 상품이라고 합니다. 발행조건에 따라 이자지급을 정지하거나, 말그대로 상폐되는 일도 있다고 하는데요... 이번에 도이체방크에서 발행한 코코분드는 이자지급이 유로화6%, 달러6.25%, 프랑화가7.13%로 높은 편이지만 조건에 따라서 이자지급이 정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큰편이랍니다. 지금까지 발행된..
한국의 코스닥 서킷브리이커 발동. * 조건 1. 8%이상 하락이 1분간 지속 -취소 호가만 가능 상태로 20분간 정지 -10분간 단일가격 거래 2. 15%이상 하락하고, 1단계보다 1%이상 하락이 1분이상 지속시 -20분간 거래중지, 10분간 단일가격 거래 3. 30%이상 하락 -당일 모든거래 중지 * 원인. 1. 미국 바이오/제약주의 하락여파 2. 엔화 급등으로 인한 니케이 지수 15000선 무너짐. -15000선은 심리적인 지지선 이었음. 3. 홍콩 ELS 관련 대규모 손실 발생여파 -위안하 가치절하로 인한 대규모 손실로 이에 대비한 한국증시 자금을 인출함 4. 개성공단의 갑작스런 폐쇠조치 -이는 북한에 대한 강경 대응을 시사하는 것으로 판단. 강대강의 대결은 한국증시에 결코 이롭지 않음.(코리아 디..
국제유가가 다시 30달러 대로 하락하는 모습이네요. 챠트상으로만 보면 쌍바닥을 형성하는 모습인데... 요즘 베네수엘라 석유장관이라는 '델 피노'라는 분이 각국을 방문하면서 유가 감산과 관련해서 논의 하고자 애쓰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뭐..당연하게도 사우디의 감산동의는 얻지 못했고 국제유가는 하락 했군요. 유가의 변동성이 너무 커서 설 연휴동안에는 손을 놓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인버스를 전량 손절 했습니다. 하락으로 좀 뻘쭘(?)한 상황이지만서도 괜찮습니다... 시장은 항상 열릴것이고... 기회는 언제든 다시 오기 때문입니다. 결국 최종적인 관심은 국제유가의 바닥..즉 저점은 어디쯤일까? 라는 것이죠... 베네수엘라 같은 경우... 지금 국가 디폴트 상태에 가까워져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 입니다.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