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담이 아니다. 당장 10년 이내에 100살까지 먹고 살 돈을 마련해 놓아야 한다. 한국의 2023년 출생률은 0.72명 이다. 이는 역대급으로 지구상의 어느 국가에서도 볼수없는 수치이다. 심지어 전쟁이 벌어지는 국가도 이보다는 높다. 우리는 어디에서 부터 잘못한 것일까? 현재 대한민국의 사회는 대략 20년전에 출생하여 사회 구성원으로 활동하기 시작하는 2003년생의 출생률 1.3~1.4 수준에서 사회가 유지되고 있다. 향후 2034년에는 대략 1.0 이내의 출생률로 유지되는 사회가 될 것이다. 사람이 없으면 일단 경제가 성장하지 않는다. 더 심각한 것은 국방이 위협받는 다는 것이다. 우리 대한민국의 미래는 암울하다. 이는 왠만큼 깨어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수 있을것이다. 부동산 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
요즘 어떤 책들이 나왔나 싶어서 교보문고에서 신간을 살펴보려 하는데, 떡 하니 전면에 MS의 창업자 '빌 게이츠'가 세번째로 책을 출간 했다는 광고가 있었다. 헐... 나는 이 사람을 좋은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는다. MS를 키워온 히스토리를 살펴보면 그대도 나와 비슷한 시각을 가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책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글쓴이의 의도를 부정하게 보는것이다. ◈ 우리가 잘 알지 못하는 사실들. 미국에서 가장 넓은 땅을 가진 농부는 누구일까? 딩동~ 빌 게이츠. 글로벌 농업-생명공학 회사인 '몬산토'의 대주주는 누구일까? 딩동~ 빌 게이츠. 몬산토의 지분30%이상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참고로 '몬산토'는 종자기업이었다가 농업-생명공학 회사로 탈바꿈 하였다. 한마디로 유전자 변형 작물이 회사의 밥줄..
영화 '빅쇼트'를 재밌게 봤다면 '마이클 버리'라는 인물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것이다. 2008년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하여 주가가 폭락했을 때, 남들이 다 미쳤다고 하는 '공매도'를 하여 대략 7.2억 달러의 수익을 남겼다. 그랬던 그가 몇 달 전에는 '테슬라'를 공매도하겠다고 트위터에서 이렇게 말했다. "나는 테슬라를 공매도하고 있다" 그 당시에도 테슬라는 승승장구하고 있었고, 사람들은 역시나 별 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마이클 버리 '테슬라 주가 90% 폭락 가능' /로이터연합뉴스지난 200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를 예측해 유명세를 얻은 마이클 버리 사이온 자산운용 창업자가 테슬라 주가가 90% 폭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버리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www.sedaily.com 그 후에도 ..
이전 글에서 투자를 시작할 때에는 글로벌 경제 상황, 기업이 가치 등을 살펴보기 이전에, 스스로를 먼저 돌아보라는 말을 했었다. 이른바, 외적인 요소 보다는 스스로의 내적인 면을 먼저 살피라는 뜻 이었다. 내가 어느 정도까지 손해를 감당할 수 있을지, 내가 어느 수준까지 참아내며 익절할 수 있을지, 나의 재무상황은 어떻하며, 미래에는 얼마만큼의 금액을 투자할 수 있을지, 예상하지 못한 '블랙스완'으로 시장이 급락할 때에는 나는 어떻게 대처할지, 예상치 못한 급상승이 나오면 나는 어떻게 대처할지 등을 말이다... 최소한 스스로에게 물어보고 수준을 정한다음에 투자하는 것이 가장 안정적인 투자방법중에 하나라고 느꼈다. 나에게는 이런 방식이 주식에만 해당하는 것은 아니었다. 내 인생을 관통하는 질문들에 대해서 ..
지금 시점에서 미국 주식 시장은 버블일까? 그렇기도 하고 아니기도 하다. 말이 좀 애매한가? 누구나 알고 있듯이 미 연준은 양적완화 및 재정정책으로 미친듯이 달러를 풀었다. 그리고 2018년 '서브프라임 모기지'가 발생했을 때에는 금융쪽에만 자금을 풀었고, 실물로 전이되지는 았았다. 그런데 지금은 달러를 직접 각 가정에 꽃아주고 있다. 일 할때보다 일을 그만두고 있는 지금 시점이 오히려 수익이 높아지는 상황이 발생한 것이다. 이런 상황인데도 아직 인플레이션은 발생하지 않았다. 왜 이럴까? 물론 시간이 지나면 경제학자들이 원인을 밝혀 내겠지만, 실제적으로 우리가 필요한 것은 현재 시점에서 알고 싶은것이다. ◈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지 않는 원인(추정) 미국이 미친듯이 뿌려대는 달러는 언젠가는 미 연준이 다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