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릭스미스'가 -29.99%의 하한가를 맞고 떨어졌습니다. 바이오주에 '헬릭스미스'가 있었다는 것을 오늘 알았네요. 정말 어의없는 일이네요. 당뇨병성 신경병증 유전자 치료제인 '엔진시스''가 임상3상 중이었는데, 임상환자에게 투여중인 '엔젠시스'하고 가짜약이 서로 혼용되어 결론을 도출할 수 없어서 실패 했다네요. 솔직히 이게 말이 됩니까? 개인적으로 도저히 믿을수가 없네요. 솔직히 이건 언론 배포용이고... 약간의 비관회로를 돌려보자면... 1. 임상3상의 결과가 암울해서 결론을 미루고자 자의적으로 약물혼용 가능성 2. 누군가 임상3상을 망칠의도로 고의적인 약물혼용 가능성 위 2가지 가능성이 언론에 발표된 것보다 훨~씬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솔직히 재무재표만 봐도 답이 안나오네요. 기업가치, 성장성..
요즘 동물용 구충제 펜벤다졸(Fenbendazole)이 암을 고친다는 얘기에 인터넷이 들썩이고 있습니다. 구입비가 5천원정도밖에 안하는데다가 미국에서 이것을 복용하고 암이 나았다는 얘기가 있어서 더욱 이슈가 되는것 같습니다. 저는 의학에 쥐뿔도 모르기도 하거니와 혹시나 제 글을 읽고 잘못된 선택을 할수도 있겠다 싶어서 그냥 인터넷에 떠 도는 얘기만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전신에 암이 퍼진 오클라호마에 살고 있는 할아버지가 3개월밖에 살지 못한다는 진단을 받고 '펜벤다졸'을 복용 후 암이 사라졌다는 이야기 입니다. 이미 2년전부터 미디어에서도 소개가 되었던 부분이구요... 이정도만 보면 그냥 썰이구나~하고 넘어갈텐데... 헐... '네이쳐'에도 발표가 되었네요. 대충 위의 머릿글을 해석 해보면 " 펜벤다졸은..
오늘 간만에 어디 좋은 기업이 있나? 하고HTS를 돌려보는 와중에 '셀트리온헬스케어'가눈에 띄었습니다. 챠트는 보기 좋네요... 재무재표도 나쁘지 않고요...그래서 '아! 장기투자 하면 수익 좀 볼수 있겠네.' 라고 생각 했습니다만...뉴스를 보고 생각을 좀 달리하게 되었습니다. 메이져 뉴스는 아니지만,제가 좋아하는 뉴스채널입니다.비교적 사심(?)이 거의 없더라구요...하고싶은 말은 정말 위 두개의 뉴스에 모두 들어 있습니다. 요즘은 '셀트리온'에서 생산하고 '셀트리온헬스케어'에서 판매하는 구조인데,'셀트리온헬스케어'의 영업이익 증가가 의심스럽다는 내용입니다. 재고를 안고 있으면서 영업이익을 부풀린걸지도 모른다는 것이뉴스의 내용인듯 하네요... 저는 당연히 사실이 아니기를 바라는 1인 입니다.그런데 좀 ..
예전에 IHQ에 대해서 잠깐 쓴 글이 있습니다. 그 뒤로 하락해서 면목이 서지 않았더랬죠...휴~ 그래서 오늘 글도 정확성 보다는 그냥 썰로서 이해하시고 재미로 봐 주시기를 부탁 드립니다. 불과 10여년전만 해도 '플랫폼'이라는 말이 주목을 받았습니다. 예를들어 '카카오', '구글', '아마존', '애플'... 좀 큰다 싶은 기업들은 하나같이 꽉 잡고 있는 그 무엇인가가 있었죠. '카카오'가 '카카오톡', '애플'은 아이폰이라는 생태계를, '구글'은 검색과 안드로이드 등등으로 말이죠... 그리고 '컨텐츠'는 그냥 하청 비스무레한 것으로 취급 받았습니다. 그러던 차에 세계의 글로벌 기업들이 모두 미디어 기업임을 표방하기 시작하며 인수합병에 열을 올리기 시작합니다. 특히나 'IHQ'의 5%지분을 갖고 있는 ..
미래의 화두는 'AI'가 대세이다. 라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습니다. 이분야에서 특히나 투자에 열을 올리는 분이 계신데요. 소프트뱅크의 창업자인 '손정의' 입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손 마사요시'라고 불러야 겠지요. 그리고 얼마전에는 청와대에서 브리핑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손 마사요시'는 왜이리 'AI'를 강조하는 것일까요? 당연하죠... 그 분야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으니까요...ㅋㅋ;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AI'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을까요? 역시나 미국과 중국이 'AI' 분야에서도 양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를 한다면 요즘 핫한 '돼지열병 관련주' 이런거 하지 마시고 위 기업들에 적절히 분산해서 투자 하시는게 나중에 큰 도움을 되지 않을까요?...(-_-);; 국내 주식..
올해 부동산 '리츠'를 활성화 한다는 뉴스가 눈에 띕니다. 특히나 올해 '롯데리츠'가 상장될 예정이군요. 그렇다면 '리츠'란 무엇일까요? 아래에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클릭 해 보세요. 한마디로 여러명의 돈을 모아서 부동산을 매입, 또는 운영하여 나오는 수익을 나눠주는 겁니다. 부동산은 가격대가 커서 개인이 매입 또는 운영하기에는 힘들잖아요. 정부에서도 '리츠' 활성화 방안을 발표 했네요. [PDF] 리츠 공모·상장 활성화 방안 - 금융위원회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에 투자해서 배당금을 받는것이니 소액으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여 월세집 주인이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하필 지금에야 활성화 시킬려는 것 일까요? 롯데는 왜 하필 지금에야 '리츠'를 상장시키려는 것 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