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6828 트럼프, 중국에 104% 관세 경고 "보복 철회 안하면 50% 추가" | 중앙일보중국에 대해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경고했다.www.joongang.co.kr 현재 시간으로 중국에 104% 관세를 확정 했다는 뉴스에미국 증시가 하락하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한국시간으로 어제 중국이 34%의 보복 관세를 철회하지 않으면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말을 했었는데요. 저는 어제 시장을 보면서왜 이 사실이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지 의아했습니다. 여기에 벤스 부통령이 '중국 촌놈'이라는 막말로중국의 퇴로를 막아 버렸습니다. 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
주말에 협상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는 사람들이 많았으나역시나 협상에 대해서는 뉴스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https://www.etnews.com/20250407000192 美 “상호관세, 무역적자 해소 전 협상·유예는 없다”미국이 협상을 통한 상호관세 '유예'는 없다고 못을 박았다. 상대국에 대한 미국의 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협상도 없다고 강조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6일(현지시간) 플로리www.etnews.com 트럼프의 입장은 확고합니다.무역적자가 해소되지 않는다면 지속하겠다는 입장이네요. 사실 트럼프의 입장이 이해되기도 합니다. 미국에서 누적된 무역적자로 쌓인 부채가 너무 위험한 상태입니다.지금 당장 어렵다고 후퇴한다면, 향후 더 큰 어려움에 닥친다는 것을 명확하게 인식하고 ..
이번 주는 정말 미 증시를 보느라고 밤샘을 했습니다.정말 미친 한 주였던 것 같습니다. 특히나 어제 새벽은 정말.... 트럼프 관세 발표 전까지 10% 상호 관세만 부과한다는 카더라 때문에미 증시는 급 상승 하고 있었습니다. 저 또한 '테슬라x2 레버리지'를 보유 중이었기 때문에야호! 하고 맘 편하게 보고 있었죠. 그런데 말입니다...아놔...지금 생각해도 어이가 없네... 트럼프가 이 판때기를 드는 순간부터미 증시가 급락하는 겁니다. 정말...사람은 위기의 순간에 머리가 엄청 빠르게 돌아갑니다. 맨 위에 차이나 총 관세 67%...이 글을 보자마자... 정말 2초도 안 걸렸습니다.레버리지를 매도하고'테슬라x2 인버스'를 잽싸게 매수했습니다. 내 인생에서 정말...위의 장면은 평생 기억에 남을 것 같네..
어제 새벽 5시경 트럼프가 전 세계를 상대로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라면서 표를 들고 나왔습니다. 이번에 34%를 더해서 중국의 평균 관세율이 67%에 입니다. 한국도 만만치 않습니다.50%입니다. 트럼프는 이것이 최대 상한선이고,각 나라마다 협상에 따라서 인하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협상이란 지속적인 압박을 하면서 상대에게 애매한 표시를 할 때가 가장 위협적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트럼프는 최대 상한선을 바로 발표해 버렸습니다. 이는 매우 큰 실수라고 생각합니다. ■ 다른 국가들의 반격! 그리고 트럼프의 실수. 트럼프는 최대치를 설정해 놓으면다른 국가들이 알아서 협상해 올 것이라고 생각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https://www.g-enews.com/article/Glo..
이전글에서 말 했었지만, 저는 지금 테슬라 레버리지(TSLL)을 보유 중입니다. 2025.03.16 - [투자의 정석.] - 테슬라 레버리지 매수. - 적어도 다음주 수요일까지는 반등할듯? 테슬라 레버리지 매수. - 적어도 다음주 수요일까지는 반등할듯?어제(금) 테슬라를 두고 레버리지/곱버스를 교차로 매매하면서정말 허튼짓(?)을 했습니다. 돈은 벌지도 못하면서 새벽까지 날을 새서 덕분에 오늘 점심때쯤에나 일어났네요. 매매의 결론은 테dowon.shop 매수 시점 이상으로 매도 시점이 중요하다는 것은 기본 상식인데요. 오늘 현재(01시쯤)까지 9.6% 상승으로TSLL은 +19%이상 상승중입니다. 이전 글에 첨부했던 테슬라 챠트 입니다. 진짜 차트쟁이가 재미있는것이어떻게 저리도 그어놓은 선에서 저항을 맞는..
어제(금) 테슬라를 두고 레버리지/곱버스를 교차로 매매하면서정말 허튼짓(?)을 했습니다. 돈은 벌지도 못하면서 새벽까지 날을 새서 덕분에 오늘 점심때쯤에나 일어났네요. 매매의 결론은 테슬라 레버리지 매수 중입니다. 다음 주에 발표되는 지표도 많고,더군다나 미연준 금리결정도 예정되어 있고,미 증시 네 마녀의 날도 껴있는 관계로트럼프가 주둥이를 나불거리지 않아도 변동성이 큰 한 주가 될 것 같습니다. 한국인들이 레버리지/곱버스를 좋아한다는 것은널리 알려진 사실입니다. 그리고 위 차트에서 보듯이아마도 대부분이 빨간 박스 부근의 가격에서매수가 들어가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아마 그 가격이 온다면 본전 찾고 매도할 사람들이 대부분일 테니나는 그 이전 가격에서 매도하고 탈출해야 합니다. 그래서 저는 아마도 예상대..
오늘 미시간대 기대인플레이션률이 발표되는 날이었다.이 지수는 미국 인플레이션 지수가 나오기 전에먼저 나오는 예측치이기 때문에 많은 투자자들이눈여겨 보는 지수이다. 헉!그런데 기대치가 예전에 4.3에서 4.9로 높게 나왔다.이 수치를 보고 X됐구나!!! 생각을 했었는데...그런데...그런데... 나스닥이 하락하지 않고 버텨 주었다. 나는 나스닥이 버티는 것을 보고 조금 전에 바로 '테슬라' x2를 전량 매수했다. 예전이었으면 이정도로 높게 나오면 나스닥이 개 폭락했었는데,시장이..그리고 글로벌 투자자들이 오늘은 반응하지 않았다. 이말인 즉슨,주가가 바닥이라고 인지하고 있다는 말과도 비슷하다.그래서 급하게 전량 매수했다. 물론 오늘은 현재까지 버티고 있지만,트럼프 아저씨의 주둥아리가 또 시장에 영향을 끼칠..
테슬라 레버리지 x3배짜리 ETF를 매수한 국가중에80%가 한국인이라고 한다. https://www.ytn.co.kr/_ln/0104_202502281620008459 테슬라 레버리지 ETF 80% 급락..."한국인, 90% 넘게 보유"최근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주가 급락으로 한국 투자자들이 큰 손해를 보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습니다.특히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의 경우 지난해 12...www.ytn.co.kr어떤 의미로는 정말 대단하다.나 또한 10년 전쯤에는 런던거래소를 이용해서 롱/숏을 하려고 했지만,일단 수수료가 너무 비싸고,더 큰 문제는 실시간 거래가 안된다는 것이다. 그래서 포기했던 기억이 난다.그때는 '테슬라' 풋이라는 ETF가 없었거든...런던 거래소밖에는... 어떠한 기술..
니케이 인버스를 보유중이었는데,지난 금요일 낮에 왠지 파월이 미국 주식시장을 살려줄거 같았다. 그래서 니케이 레버리지로 갈아 탐. 미국 장 초반에는 좀 쫄았는데,역시 파월이 등장하고 반등하기 시작했다. 주말에 별일이 없으면월요일에는 +1%이상에서 시작할것으로 예상된다. 그래도 아직까지 대전략은 '인버스' 보유이다. 니케이는 아래 3만 5천선까지 열려있고,위로는 4만선까지 닫혀있는 전형적인 박스권이다. 그리고 일본의 물가상승률과 임금 상승률이 꽤 높게 나오고 있다. 당연한 말이지만금리가 상승하면 엔화는 강세를 띄게되고증시는 하락하는게 보통이다. 결국 엔화는 추세적으로 강세로 가는 모양새이고,여기에 '트럼프'가 약달러를 원하고 있는만큼꼬붕인 일본에게 엔화 강세를 부탁 했을 가능성이 높다. 일본 또한..
트럼프가 대통령으로 취임할 날이 내일로 다가왔다.반쯤은 사기꾼이라 생각했는데,미국 대통령이라니... 뉴스나 유튜브를 보면 관세 전쟁으로 물가가 상승하고 경제가 침체 될것이라는 얘기가 많다. 과연 그럴까? 미래를 예측해 보려면미국의 현재 재정 상황을 먼저 알아야 한다. 미국 정부 또한 막대한 부채로 많은 이자를 내고 있는 상황이다.24년도 재정 수입은 대략 4조7천억 달러이며,지출은 6천6백억 달러 정도이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은 적자 재정을 펼쳤다.아마도 바이든과 옐런이 트럼프 엿 돼봐라~ 하고 이런 상황을 만들었는지도 모르겠다. 수입보다 지출이 많았으므로 부족한 자금은 채권을 발행해서 메꿨는데,그 채권들의 이자가 미국 정부지출의 13%쯤 된다. 24년도에 걷어들인 세수 대비로 나가는 이자를 계산 해보면..
개인적으로 현재 시점에서 미국 채권을 매수하는 것은매우 유효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 이유에 대한 근거를 한번 살펴보자. 나는 창세 후 새로운 것은 없으며,역사는 반복된다는 것을 믿는 1인중에 한명이다.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294606i 옐런 美 재무 "특단 조치 없으면 내년 1월 부채 한도 도달"옐런 美 재무 "특단 조치 없으면 내년 1월 부채 한도 도달", 미국 연방 부채 규모 36조 달러 1월이면 부채 한도 도달 예상 특별 조치 없으면 디폴트 시점 내년 6월 중순 전망 디폴트 빠지면 국방 공www.hankyung.com 재닛 앨런 미 재무장관이 25년 1월 말 쯤에 부채한도 상한에 도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요즘 바이든이 하는 것을 봐도임기 말년에 ..
■2025년 새해가 되었다.조금씩 여기저기에서 경제/금융 위기에 대해서이야기가 들려오고 있다. 오늘은 이 사항에 대해한 나의 의견을 들려주고 싶다. 먼저 미래를 논하기 이전에 과거 한국 경제에 큰 데미지를 입혔던 98년도 IMF에 대하여 알아보자. ■ IMF 외환위기 발생 IMF 외환위기에 대해서는 나무위키를 참고할만 하다.https://namu.wiki/w/1997%EB%85%84%20%EC%99%B8%ED%99%98%20%EC%9C%84%EA%B8%B0#s-3.1 1997년 외환 위기파일:1997imf.jpg 1997년 11월 22일 , IMF 구제금융 신청 직후 동아일보 보도 같은 해namu.wiki 동남아시아에서 외국자본이 빠져나가면서 위기가 발생했고,태국의 바트화가 무너지면서 도미노 현상으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