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는 역시나 박스권에 갇혀서 횡보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리고 3,100P 정도 되었으면 꽤 많이 상승했다고 모두가 인정할 것이다. 아마도 속내는 요즘 시장이 불안하지만 나는 위기 초반에 잽싸게 빠져나올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겠지... 과연 욕심이 그대를 놓아줄까?...ㅋㅋ;; 아무튼 오늘 얘기는 이것이 아니다. 오늘은 '폐기물' 관련주 얘기를 해보고 싶다. 요즘 같은 시장에서 100% 이상이 아니면 만족을 못하는 이상한 분위기 속에서 우리는 정신 차려야 한다... 항상 역사는 되풀이 되어 왔다는 것을 잊지 말고, 그러한 마인드를 가지고 주식을 하던 이들은 거의 모두가 시장에서 퇴출되었음을 잊지 말자. 자본주의의 꽃은 주식이고... 주식의 꽃은 배당이다... 이것을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
사람은 누구나 돈을 벌고 싶어한다. 그것도 더 쉽고 더 편한 방법으로 말이다. 그런데...세상사 모든일들이 마우스 버튼 클릭 몇번으로 손쉽게 벌어지는 일이 있던가? 있다고 확신하고 있다면... 아직 세상을 덜 살아본 것이다. 누군가는 매수 클릭 몇번을 클릭하기 위해서 책을 백권을 읽었을 것이며, 누군가는 몇 번의 클릭을 위해서 몇 십여년간을 증권업에 일한 사람들도 있을것이다... 그런 사람들 중에서도 성공하는 사람들은 거의 없다. 상황이 그러할진데... 그대는 무슨 근자감으로 성공할 수 있다고...돈을 벌 수 있다고 자신하는가? 작년에 기본적으로 100%는 벌었어야 했고, 벌지 못한 사람들을 비웃는 사람들이 많다. 과연 그런 사람들 중에서 5년뒤에도 생존해있는 사람은 몇명이나 될까? 뭐...5년뒤에 계좌..
이전 글에서도 말씀 드렸지만 오늘 큰 폭의 하락이 나왔고, 이것이 조정의 시작인것은 같은데 아직은 미심쩍다는 말을 했었다. 요즘 미국시장에서 '게임스탑'이라는 팩키지 게임판매 업체의 주가를 공매도한 헤지펀드들과, 미국 개인 투자자들간의 힘겨루기 때문에 주가의 변동성이 크다. '코스피'도 여기에 영향을 크게 받아서 외국인의 매도물량 때문에 비교적 큰 폭의 하락이 발생할 가능성이 거의 확정적이다. 상식적으로 내가 헤지펀드 매니저라고 가정한다면 상승폭이 가장 큰 한국의 '코스피' 시장에서 제일먼저 주식을 매도할 것이다. 2021/01/28 - [투자의 정석.] - 코스피의 하락에는 역시나 '인버스'...그러나 아직 확신은 금물이다. 코스피의 하락에는 역시나 '인버스'...그러나 아직 확신은 금물이다. 코스피가..
코스피가 드디어 조정을 맞는 모습입니다. 정확하게는 미국 시장이 조정을 받음으로서 '코스피' 시장도 조정을 받고 있다고 말하는 것이 정확하겠지요. S&P 500 지수 (SPX) - Investing.com S&P 500 지수의 차트, 기술적 분석, 기타 정보등을 확인해보세요. kr.investing.com 사실 그동안 한국, 미국 할것없이 주식시장이 매우 상승한 상태이고, 조정의 트리거가 어떤 것이 될 것인지를 두고 논쟁이 많았었습니다. 이번 사태가 증시 조정의 트리거가 될지는 조금 더 지켜봐야 할거 같네요. 무슨일이 있었는가? 헤지펀드 무너뜨린 '개미의 반란'…월가 뒤흔든 '게임스톱' 부터 Hankyung 헤지펀드 무너뜨린 '개미의 반란'…월가 뒤흔든 '게임스톱' kr.investing.com 게임스탑..
바이든이 공식적으로 대통령으로 인정 받았습니다. 바이든 정부는 향후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을 강조해 왔지요. 이쯤에서 한번 생각해 봅시다. 바이든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를 강조하는 것이 과연 지구의 환경변화 때문일까요? 설마요... 블로그이기 때문에 추측성 글도 쉽게 쓸수 있음을 기억해 주시고, 사실로 받아 들이지는 마시길 부탁 드립니다. 바이든 정부가 강조하는 것은 딱 2가지로 압축할 수 있습니다. 인권, 신재생에너지... 트럼프 정권에서는 무역을 가지고 중국을 컨트롤 하려 했으나, 실패했다는 평이 많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바이든은 무엇에 핵심을 두고 중국을 억누르려고 할까요? 보통 이제는 금융, 환율전쟁이다 라고 말을 하겠지만... 의외로 '인권'을 들고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권'이야말로 공산당 정부..
와우~ 어제(1월9일) 국제 금.은 가격이 폭락 했네요. 다른 원자재는 상승중인데 유독 금.은 가격만 급락 했네요. 급락의 원인. 정확한 급락 이유는 자료가 나오지 않아서 어리둥절 합니다만... 일단 투자자들이 숏(하락) 포지션에 몰려 있습니다. 변동성이 심한 은 시세를 살펴보면 좀 더 쉽게 파악할 수 있을듯 합니다. 급락이 발생한 뒤에 평균적으로 그 다음날도 다시 급락하는 모습이 보여 집니다. 그래서 어제 금.은이 급락했다면 하루,이틀 정도는 기다렸다가 매수하는 것이 가장 좋아 보이네요. 금.은의 급락 원인을 추정하는 중에 가장 의심스러운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美 민주당, 상원도 장악했다, 조지아주 2곳 모두 승리 www.chosun.com 미국에서 6일(한국시간)에 상원도 민주당이 장악하였습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미국은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이후 무너진 경제를 살리고자 '양적완화'를 단행하였다. 4차에 이은 양적완화 이후 잠시 테이퍼링 얘기가 나오는가 싶더니 바로 '코로나19' 사태를 맞이하게 되었다. 무적인듯 보였던 Fed의 통화정책은 한계에 다다른듯 보였고, 이에 정부가 재정정책으로 시장에 달러를 마구 뿌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플레이션이 오지 않는 이유는 단 한가지다... 사람들이 미래를 밝게 전망하지 않아서 저축만 하는 것이다. 미국이나 한국의 저축률이 '코로나19' 이후 높아지는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었다. 문제는 미국 또한 달러를 무제한 뿌릴수는 없고, 신용 기반에 국채를 발행해서 달러를 찍어내야 하는데 현재도 그 부채가 상당하다는 점이다. 미국이나 한국이나 시중에 통화는 엄청..
서론. 대한민국 주식 투자자의 99%는 장기투자 주식으로 '삼성전자'를 꼽을겁니다. 오늘은 '삼성전자'에 대한 이야기를 해 보겠습니다. 200만원대 삼성전자 주식, 이젠 5만원… 나도 사볼까? 한국 증시 최고의 황제주(皇帝株)인 삼성전자 주식이 50대1로 액면 분할된다. 액면 분할이 이뤄지면 현재 250만원 수준인 삼성전자 주식 1주는.. biz.chosun.com 2017년도에 '삼성전자'의 주가는 250만원 정도였습니다. 그때까지만 해도 발행된 주식수는 생각하지도 않고, 무조건 가격만을 보고서 비싸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았습니다. 가격이 비싸니 거래가 많지 않았고, 가격변동성도 그다지 심하지 않아서 성질급한 한국인(?)들은 누구나 장기투자 종목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 거래한 사람들은 많지 않았답니다...
코로나로 어려운 경제상황에서 우리가 근본적으로 알고 있어야 하는것이 있습니다. 모두가 알다시피 현재 미국은 세계 최대의 소비시장입니다. 이는 곧...미국의 금융시장은 자본주의 속성에 따라서 끝없이 상승해야 하는 것이고, 금융시장이 축소되는 시점이 미국이 망하기 시작하는 지점이 되겠습니다. 그래서 미국 증시 또한 끝없이 상승해야 하고, 미 정부 및 Fed 또한 끝없는 부양책으로 지속적으로 증시를 받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더군다나 미국은 '달러'라는 기축통화를 가지고 있습니다. 위 사항을 종합하면 미국은 결국 경제가 침체 되었을 때 끝없이 달러를 찍어내어 경제를 확장시킵니다. 일본 또한 '아베노믹스'로 일컫는 경기 확장정책 사용했습니다. 이는 '엔'이라는 통화 자체가 준 기축통화의 위치를 갖고 있기에 가능한..
어떤 유튜버를 살펴보면 연금저축, IRP를 하지 말라는 얘기가 있다. 그러한 논리는 향후 연금으로 신청 시 최소 10년이상으로 수령해야 하는데, 연금 신청 후에는 내 연금저축, IRP 자산이 모두 매각되므로 10년이상 내 돈이 묶이는 효과가 나타난다는 것이었다. 나는 삼성증권에 연금저축, IRP 계좌가 있는 관계로 삼성증권에 문의 해본결과, 연금 수령 신청 시 모든 자산이 매각되는 것이 아니고, 아래와 같은 순서에 의해서 자산이 매각된다고 하였다. 향후 삼성증권 연금저축, IRP 연금수령 신청 시 자산매각 순서. 1. 현재로서는 나의 연금저축, IRP 계좌에 ETF를 보유하고 있다면 연금수령 신청이 되지 않는다. 2. 나의 연금저축, IRP 계좌에 펀드를 보유하고 있다면 펀드 매각 순서에 따라서 월 지급..
와우... 상당히 합리적인 투자법으로 보여집니다만... 과연 실행할 수 있는 개미분들은 과연 몇분이나 있을지 모르겠네요. 왜냐하면 개미들은 기본을 가리는 여러 환상들에 빠져들기 쉬워서 종종 기본을 놓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