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초대형 공시가 나왔습니다. 초전도체 lk-99와 관련된 인물들인 권영환, 김지훈, 정평영씨를 사내이사로 선임할 거라는 공시였습니다. 모두 '퀀텀에너지연구소'와 관련된 교수이시거나 투자자로 파악됩니다. 이 흐름으로 볼때 퀀텀에너지 연구소에서 만들고 있는 lk-99를 개량하여 '씨씨에스' 에서 박막처리 공정을 상용화 하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듭니다. 그래서 초전도체 대장주는 '신성델타테그'에서 '씨씨에스'로 바뀔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이정도 뉴스이면 바로 상한가로 직행하고 연상을 해야 맞는것 같지만, 현재도 개미들이 탑승 할 기회를 주고 있습니다. 저도 '신성델타테크'에서 '씨씨에스'로 갈아 탄 상태이고, '씨씨에스'는 향후 무난하게 4천원 이상은 찍을것으로 보여지네요. 그 다음 플랜은 4..
● 22대 국회의원 선거일 - 2024년 4월 10일 ● 선거운동 시작일 - 2024년 3월 28 ● 사전 선거일 - 2024년 4월 5일 정치 테마주의 시절이 돌아 왔습니다. 4년마다 기본적인 수익을 주는 테마이지요. 현재 주목해야 하는 인물은 크게 3명이라고 생각 합니다. 이재명, 이준석, 한동훈 그 외 인물에는 집중하지 않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사실 위 3명에게만 신경써도 일반 투자자들은 시간이 없을것입니다. 대표적인 관련주만 추려 보겠습니다. ■ 이준석 관련주 - 삼보산업, 넥스트아이 ■ 이재명 관련주 - 에이텍, 동신건설, 일성건설 ■ 한동훈 관련주 - 노을, 오리콤, 오파스넷 ◆ 이재명 - 내년 총선은 민주당이 승리할 것으로 예상되어 가장 안정적이지만 얻는 수익도 비교적 작을것으로 생각 됩니..
삼천당제약에 상당히 긍정적인 뉴스가 나왔다. 나는 왜 이 뉴스를 지금 봤을까? '아일리아 시밀러'가 캐나다와 계약을 맺었고, 향후 유럽과 미국과도 계약 예정으로 알고있다. 그런데, 유럽 계약 지연공시가 뜨고나서 주가가 단기 하락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삼천당제약의 주가는 중요한 변곡점에 위치해 있다. 여기에서 더 하락한다면 2차 급락이 발생할 수 있는 자리이고, 상승한다고 하더라도 7.2만의 벽을 뚫어야 한다. 여기에 공매도 수량이 꽤 있는 편이다. 그래도 다행인것이 현재 미국 시장이 반등을 하려는 포지션이고, 삼천당제약의 계약도 미뤄진것일 뿐, 해지 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또한, 11월 말쯤에 유럽 계약공시가 뜨고나면 공매도 세력에 의한 '숏 커버링' 발생 가능성이 높은것도 긍정적인 점이다. 매수..
크리스 먼로 라는 '아이온 큐' 창업자이자 회사 내 최고과학 책임자가 사임했다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사임 이유는 정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은 것 같지만, 추측해 보면 여러 이유가 있을 듯 싶다. 주식의 현금화, 또는 회사 내 불화 이 둘중에 하나가 아닐까 싶은데... 어쨌든 결코 좋은 소식은 아니다. 이온트랩 방식의 양자컴퓨터 논문을 게재하셨던 분의 사퇴이니까... 현재 IONQ는 강한 지지선까지 내려 와 있으며, 오늘은 반등을 기대해 볼만도 한 자리이다. 하지만 '크리스 먼로' 사임 이슈가 의외로 부정적이고, 큰 이슈라면 이 지지선도 쉽게 하락 돌파 당할것으로 판단된다. 나는 IONQ를 전량 매도한 상태여서 부정적인 생각인지는 몰라도 양자컴퓨터 제작 방식은 다양하겠지만 그래도 크게 분류해보면 초전도 방식 ..
7월 말쯤에 '퀀텀에너지연구소'라는 곳에서 '아카이브'에 초전도체 관련 논문이 올라왔다. 사람들은 긴가민가 하였고, 그 사이 초전도체 관련주로 엮였던 신성델타테크, 서남, 덕성, LS전선아시아 등이 폭등 하였다. 초전도체는 쉽게 말해서 저온/고온으로 나뉘는데, 고온이라고 해서 0도 이상이 아니다. 우리의 생각보다는 훨씬 차가운 영하 234도 이상을 말하는 거니 말이다. 그래서 저온 초전도체를 만들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소모된다. 그래서 우리는 아직까지도 일상 생활에서 초전도체를 만나볼 수 없는 것이다. 그런데 상온...즉 0도 이상에서 초전도체가 만들어지고 발견되었다는 논문이 아카이브에 올라왔으니 사람들이 얼마나 열광 하였겠는가. 초전도체 관련주로는 다양한 기업이 거론되고 있다. 이중에서 신..
'대니머 사이언티픽'(DNMR)은 내 아픈 손가락이다.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 하였으나, 결과는 손절할 수 밖에 없었다. 그래도 어떻게든 매수/매도를 통해 대략 -25% 수준에서 마무리 할 수 있었다. 다행인 것은 '아이온 큐(IONQ)의 상승으로 종합적으로는 수익이라는 점. 대니머의 실패에는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다. 1. 매출이 안나옴. 2. 바이오플라스틱의 기술 미비. 3. 원재료의 가격 급등. 솔직히 이 부분은 타이밍이 좀 안 좋았다. 카놀라, 옥수수등의 곡물 가격이 우/러 전쟁 때문에 급 상승한 면도 있기 때문이다. 4. 부도덕한 경영자들? 경영자라는 사람이 지속적으로 내부 매도를 하고 있다. 세금 문제인지 아니면 다른 이유로 돈이 필요해서 그런지는 몰라도 이쯤되면 회사 망하기 전에 최대한 돈..
우리의 미래는 이제 '투자'를 빼놓고는 살아갈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이러한 시대에서 우리의 생각과 행동은 과거의 잔재에 붙들려 있으며, 이는 곧 투자의 실패...인생의 실패로 이어질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 '복잡계'는 과학, 정치, 경제 등이 현대와 미래에는 더욱 더 밀접해지고 있고, 서로간에 대한 영향이 매우 커지고 있으며, 또한 민감해지고 있다. 아래의 동영상 또한 '복잡계'의 개념을 설명하는 영상인것이지, '복잡계'의 현실적 적용 방법에 따른 해설서가 아니다. 물론 이해한다. 그것은 자신의 비기이며, 밥 벌이기 때문이다. '복잡계'라는 개념을 지금 처음 듣는다면... 당신은 이미 시대에 뒤쳐져 있는 것이다. 적어도 10년전부터 그 개념이 퍼지기 시작했고, '양적완화'를 기준으로 더욱 각광받게 되..
그래서 너는 투자 했는가? 네...저도 일정부분 지속적으로 매수하고 있으며, 적어도 5년정도는 매집할 생각을 갖고 있습니다. 매수한 이유는 무엇인가? 일단 산업의 전망성이 너무 좋습니다. 요즘 바다에 미세플라스틱이 포함되어 있다는 뉴스를 많이 보셨을겁니다. 실제로 중국, 유럽, 미국할것 없이 이미 플라스틱에 대한 생산과 유통에 대한 규제를 위한 법률이 시행중입니다. https://news.kotra.or.kr/user/globalBbs/kotranews/5/globalBbsDataView.do?setIdx=244&dataIdx=186491 또한 위에서 알수있듯이 유럽에서는 올해부터 '플라스틱 세금'을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 산업전망이 구조적으로 좋다는 것이죠. 둘째로, 플라스틱 산업은 어마어마 할겁니다..
'생분해성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나스닥' 스몰캡 주식인 '대니머 사이언티픽'을 소개해 볼까 합니다. https://youtu.be/CZSyCy0TkqI 쉽게 얘기하자면 썪는 플라스틱을 생산하는 기업이고, 그 방식에는 'PLA' 부터 'PHA'라는 기술력 높은 방식이 있는데, 현재 PHA 방식으로 생산에 성공한 기업이 일본의 카네카(KANEKA CORPORATION) 라는 기업과 미국에서는 '대니머 싸이언티픽'이라는 두개 회사 뿐이라는 겁니다. 곁다리로 한국에서는 'CJ제일제당'에서 생산하고자 공장을 짓고 있다는 소식이 있기는 하네요. https://www.etoday.co.kr/news/view/1996523 [ESG 경영] CJ제일제당 "썩는 플라스틱 소재 생산ㆍ친환경 패키지 도입" (사진=CJ)CJ..
한국에서 '서학개미'라고 말하는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매수한 종목으로는 '테슬라'가 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팔란티어' 일 것이다. '팔란티어'에 대한 정보나 재무제표, 기타 뉴스 같은 것들은 유튜브나 구글로 '팔란티어'만 검색해봐도 대부분 파악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하여 패스하고, 오늘은 '팔란티어'의 전망을 중점적으로 이야기할 예정입니다. ● '팔란티어'는 무슨 회사인가? - 대용량 데이터를 통합하여, 사용자가 이것을 기반으로 추론과 의사결정이 가능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회사. 이 정도로 정의할 수 있겠다. - 소프트웨어는 크게 2가지로 나뉘어 제공되고 있다. 1. Gotham : 미국 등 국가단위 국방/군사 통합 소프트웨어(매출 56%) 2. Foundry : 민간기업의 데이터 통합 소프트..
요즘 핫한 미국 ETF 중에서 캐시우드가 있는 'ARK invest'를 모르는 사람은 없을것이다. 캐시우드는 '테슬라'를 초기에서부터 투자해서 유명세를 얻었다. 'ARK invest ETF에는 여러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관심을 가질만한 것들을 나열해본다. ◈ ARKG(Genomic Revolution ETF) 일단 위 ETF중에 관심이 가는 것은 ARKG(Genomic Revolution ETF) 이다. 게놈...즉, 유전자(바이오) 관련 기업들에 투자하는 ETF 이다. 향후 미래에는 유전자 관련 기업들의 성장성이 크다는 것은 누구나 알수있을테니, 전망도 꽤 괜찮다고 생각한다. 와우..20$ 수준에서 100$정도로 급 상승~ 헐...아무리 전망이 밝다고 해도 현재 주가는 너무 비싸 보인다. 현재 시점..
작년 2020년에도 '전기차' 관련해서 뜨거운 한해였습니다. 중국, 미국, 한국 할것없이 전기차, 베터리 관련주들은 2~3배씩 상승을 했었죠. 가장 대표적인 기업이 '테슬라'였고, '테슬라'로 대표되는 '전기차'는 이미 1차 상승파동을 마치고 이제는 조정에 들어간듯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이게 끝이냐? 아니겠죠... '테슬라'가 주저 앉더라도 그 공백을 다른 글로벌 차량 제조업체들이 메꾸게 될것입니다... 이때가 아마도 2차 상승 파동이 나오는 시기라고 생각 됩니다. 즉, 지금까지는 '테슬라'가 '전기차' 관련해서는 압도적이었고, 사람들에게 가장 많이, 그리고 익숙하게 알려져 있었는데, 이제는 다른 차량 제조사들의 약진이 기대 된다는 것이죠... 르노 GM 포드 가세…테슬라 독주 전기차 시장 `지각 변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