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 한달전 쯤에 유가가 $60은 넘어 설 것이라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그때가 $53.53정도 였었죠... 그래서 유가 상승에 베팅을 했었습니다. 계속 상승중인 '코스피' 어디까지 가려나...그리고 유가 상승에 베팅을 하다. 요즘 코스피의 상승이 무섭습니다. 쌍바닥 삼고점을 찍고 재 하락할것이라고 예상 되었습니다만... 강력한 상승 신호로 여겨지는 적삼봉이 출현함에 따라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상승 추세는 더 이어질 것으로 예.. www.gildong.net 그러다가 두개의 유튜브 동영상을 보고, 유가상승에 베팅을 매도하고 'IHQ'를 매수 하였습니다. 유가 상승을 확신하고 있었는데도, 리스크가 큰 종목에 뛰어들었으니... 바보같은 짓이었는지, 아닌지...저도 헷갈리네요... 아무튼 주사위는 던져졌으..
개인적으로 천안으로 삶을 옮겨 오느라 블로그에 글을 쓰지 못했습니다. 쓴다고 누구에게 도움이나 될까? 하는 생각도 들기는 하지만 말이죠...(-_-);; 지금까지 많은 사건 사고가 있었네요. 그러한 것을 모두 디테일하게 들여다보는 일은 가뜩이나 글 읽는 것도 피곤한데, 생각까지 해야 하니 독자들에게는 힘든 일입니다. 나이 드신 분들은 글 자체를 읽지 않고, 젊은 세대는 결론만을 말해주는 심플을 선호합니다. 그렇다고 과정을 무시할 수도 없고... 최대한 간단하게 적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래도 장문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이네요...;; [종합] 트럼프 “연준, 기준금리 인하하고 양적 완화로 가야” [종합] 트럼프 “연준, 기준금리 인하하고 양적 완화로 가야” www.newspim.com 이미 작년부터 4차..
글을 쓰면서 말씀 드리는 것이지만, 정말 오랜만에 글을 쓰네요. 몇주전에 유가 상승에 베팅한다고 말씀드린적이 있었는데요.. 베네수엘라 제제 문제도 있었고, OECD의 추가적인 감산 문제도 있었고... 가장 큰 이유는 Fed에서 Q4를 진행할 것 같다는 말씀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결국 파월의장이 Q4에 대한 언급을 했었는데요. 의외로 주식 시장은 살짝 반응 했는데, 국제 원자재 가격은 제가 생각했었던 것보다 반응이 시원치 않았습니다. 그래서 금일 '삼성 레버리지 WTI원유 선물 ETN'을 매도 하였네요. 대략 +5%정도의 수익을 얻었습니다. 뭐..항상 그렇지만 수익에 감사 드립니다....그 누구 돈이든지...(-_-);; 그리고 다시 여러방면으로 어떤것을 매수 할 것인가를 생각 해 보았습니다 개별 종목에 ..
요즘 코스피의 상승이 무섭습니다.쌍바닥 삼고점을 찍고 재 하락할것이라고 예상 되었습니다만...강력한 상승 신호로 여겨지는 적삼봉이 출현함에 따라서특별한 일이 없는 한 상승 추세는 더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네요. 지난 글에서 추가 상승을 하려면 강한 양봉이 필요하다고 말씀드렸는데요...여지없이 적삼봉이 출현하였습니다. 이제 관심사는 지난 갭 하락을 메꿀 수 있을것인가로 바뀌었으며메꿀 가능성이 훨씬 더 커졌습니다. 저는 하락에 더 무게를 두었고,'인버스'를 매수 했다가 앗! 뜨거워라...펄쩍 놀라고서는다시 매도 하였습니다...ㅠㅠ-2%대의 손절이네요... 그리고 곰곰히 생각해본 결과...추가 상승 가능성이 높을지라도 상승에 베팅하는 것은 맞지 않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그리고 유가의 상승에 베팅을 했지요. 지금..
미국 주가는 기업실적 호전 등으로 상승. 英 파운드화는 강세 노딜 브렉시트 회피를 위한 EU 이탈시한 연기 주장 확산. Irish Backstop 등은 입장차 해외시각 : 노딜을 최악의 선택으로 평가하나 연기시에도 불확실성 계속 전망 [링크] 브렉시트 일일 점검 속보(1.24)
오랜만에 다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ㅋ 굳이 글을 써 봐야 시간 낭비라는 생각도 슬슬 들기 시작하고 유튜브라는 훌륭한 매체가 있어서 이제는 문자의 시대 끝자락에 와 있다는 느낌도 있어서 예전처럼 적극적으로 되지가 않네요... 그래도 요즘 저의 가장 큰 관심사를 말 해보자면 1. 미 금리인상 2. 코스피 반등은 어디까지 일까? 3. 주한미군의 축소 진행과 철수여부 먼저 '미국 금리인상'이 어떻게 진행될 것인가에 대해서 상당히 궁금합니다. 뉴스에서도 자주 나와서 아시겠지만, 미국 '파월' 의장은 금리 인상에 있어서 유연한 자세를 취하겠다는 시그널을 시장에 보냈습니다. 그 이후로 미 증시 뿐만 아니라 코스피까지도 반등의 시작점이 되었지요. 그런데 말입니다. 언론에서 말하지 않는 1가지 이슈가 더 있지 않나요?..
하나금융경영연구소에서 보고서가 나왔네요. 그밖에 2019년도 경제를 전망하는 보고서 입니다.모두 정독 하시고 부자 되세요... 저도 모두 정독하고 싶지만...술 먹고 뻗어서 머리 싸매고 누워 있는 중 입니다..(-_-);;
오늘은 좀 심각한 뉴스가 나왔습니다. 저축은행 연체율이 10%에 육박한다는 것은 정말 어마어마한 수치 입니다... 은행이라는 목적과 취지에 비춰 봤을때 말도 안되는 수치인거죠... 얼마전 한국은행에서 '금융안정보고서'가 나왔습니다.거기에서 은행권 통합이지만은행권을 보고 다른 여신 및 생명, 증권들과 비교해 보면전체적으로 얼마나 위험한 상황인지 잘 알수 있을겁니다. 2018/12/21 - [보고서] - 한국은행 12월 '금융안정보고서' 발행되다. - 경제가 악화되고 있다. 언제나 그래왔듯이 가장 취약한 계층부터 무너지기 시작하는 군요... 내년에는 이보다 더한 뉴스가 더 많이 나올것으로 생각 됩니다... 생각해 보면 참으로 웃긴것이... 위기시에 무슨 공식이 있는건가 할 정도로... 너무 그 징조가 흡사 ..
특수문자 ~ ! @ # $ % ^ & * \ " ' + = ` | ( ) [ ] { } : ; - _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ª º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국 주식 시장에서 펀드같은 역활을 하면서 거래되고 있는 ETF, ETN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아마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텐데요... 이번 시간에는 제가 거래 시에 느꼈던 점들을 적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ETF, ETN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실거 같아서 무슨 장점이 있는지를 먼저 살펴 보겠습니다. 90년대 중반쯤부터 '펀드'라는 개념이 일반인들에게도 퍼지기 시작 했지요. 많이 들어보셨을만한 펀드가 있지요. 브릭스(BRICs)인데요...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에 분산투자 하는 펀드입니다. 이렇게 '펀드'라는 것은 개별 종목을 거래하면서 발생하는 높은 변동성과 낮은 안정성을 회피 하고자 분산투자 개념으로 많이들 하고 계십니다. 물론 단점도 있습니다. 한번 투자를 하고 단기간에 펀드 매도시에는 손해..
미국 증시가 연속적으로 악재를 맞고 있는 상황입니다. 여러 뉴스를 종합 해 보면... 크게는 아래와 같은 요인이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1. 미국 매티스 국방장관의 조기사임 2. 멕시코 국경장벽 예산을 둘러싼 '셧다운' 문제 3. 파월 미 연준 의장에 대한 트럼프의 반감 및 해임의 건 4. 므누신 재무장관이 6대 은행과의 통화 및 '폭락방지팀' 소집 5. 원유 가격의 급락 이러한 정치적, 경제적 악재가 미국을 비롯한 유럽 및 아시아 할것없이 증시의 상승을 누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지금 현재 미국의 다우존스 및 S&P 500을 비롯한 나스닥 지수는 1%이상 상승중에 있습니다. 이 상승이 단순히 기술적 반등일지, 아니면 재 상승의 시초인지 조금 더 알아 보겠습니다. 대략 1995년 이후의 상승 시기부터 현재..
웃픈 얘기로 미국에서 빈민층의 손가락이 잘리면 수술비가 억대라서 그냥 절단된 상태로 살아간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정말 농담아닌 농담인데요... 한국에서는 원~희룡 제주도지사님께서 그 첫 포문을 여셨습니다. 외국인만...외국인만...국인만..국인만...내...국인....만... 뭐...이렇게 흘러갈것은 제주도 똥개도 알것이고... 모른다면 똥개만도 못한 것이고... 영리병원이 첫 발을 내 딛었네요... 이 병원을 바라보는 다른 병원들은 무슨 생각을 할까요? 농담 아닌 농담으로... 한국에서 모두가 다 아는 '아산병원' 또한 지하 식당가가 없으면 적자라는 얘기가 있는데요... 그 정도로 심각한것 또한 어느정도는 사실이라고 생각 합니다. 그런데... 계속 그 자리에 있으려고 할까요... 아니면 영리병원의 영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