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견원지간으로 표현되었던 중국과 일본이 26일 정상회담을 한다고 하네요. 중국에서 일본 기업은 거의 찾아보지 못할정도로 중국은 일본 기업들에게 가혹한(?) 규제를 가했었습니다. 그러던 중국의 시진핑이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하여 급하기는 했나 봅니다. 일본까지 끌어들일 생각을 하고 있으니 말이죠... 일본 입장에서도 이번에 중국과의 정상화담은 충분히 할만한 동기가 있어 보입니다. 얼마전에 미 재무부 므누신 재무부 장관은 일본의 엔화 약세 정책에 대해서 협의를 하자고 살짝(?) 찔러보는 뉴스가 나왔습니다. 말 그대로 일본에서는 펄쩍 뛰었고, 니케이 지수까지 폭락 했었지요...ㅋ 일본은 현재 '아베노믹스'라고 불리는 일본판 양적완화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현재 기준금리는 -0.1% 입니다. 말..
역사적으로 모든 상황이 다 이렇게 흘러갔다. 저금리 상황에서 부채가 증가 하고 있는 상황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부채가 많다고 하더라도돈을 더 빌려서 이자를 갚으면 되었으니까... 문제는 부채가 축소 되었을때다.이때에는 돈을 더 빌리기가 힘들어진다.그래서 경제와 증시는 어려워지고많은 파산자가 발생 하였다. 결국 '레버리징'에서 '디레버리징'으로 전환되는 그 터닝포인트를 잘 찾아내어그에 맞는 투자를 하는것이현명한 투자자의 행동일 것이다.
[링크] 가능성이 낮아진 유가 100$의 시나리오.
본론에 앞서 한가지 말씀 드리고 싶은 말이 있습니다. 지나고 난 뒤에 원인을 분석하는 것은 무의미 한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우리가 알고 싶은것은 향후 미래의 일이니까요. 그런데 미래의 일을 예측 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선무당이 사람 잡는것과 마찬가지로 어설픈 예측으로 손해를 볼수도 있고, 솔직히 미래는 알수가 없잖습니까? 그래서 제 블로그에서도 향후 전망같은 글은 그냥 참고만 부탁 드리겠습니다. 맞을지 틀릴지는 저도 잘 몰라요...(-_-);; 24일 현재까지 '코스피', '코스닥'의 지수가 크게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대내외 여러 악재들을 반영하고 있는 결과일텐데요. 지금부터 그 악재들에 대해서 하나씩 살펴 보겠습니다. 먼저 어제 미국 증시가 크게 하락 후에 장중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여 ..
엘리어트의 파동이론 요약 (1) 엘리어트의 파동이론 요약 (2) 엘리어트의 파동이론 요약 (3)
아시아 금융위기, IT버블,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를예견했던 분들은 여러 사람이 있습니다. 그중에 '오크트리 캐피털' 대표를 맡고 있는'하워드 막스'라는 분도 계시는데요.이분은 '하워드 막스의 메모'라는 것으로 매우 유명한 분입니다. 위 그림 링크를 클릭 하면,좌측의 그림에 있듯이1990년부터 2018년까지 '하워드 막스의 메모'를 읽어볼 수 있습니다. 그 중에 가장 최신인 2018년도 메모를열어 보았습니다. ..........???헐...영어를 거의 못하는 저로써는 구글 번역기에 의존해야 하는 것인가요...(-_-);;; 그런데, 그럴 필요가 없네요.유튜버 중에 [JTV]님께서 친절하게도 설명을 잘 해 놓으셨습니다. (광고는 필히 끝까지 시청하세요! 데헷~) 아래는 '하워드 막스'씨 께서 최근에 출연한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