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들어서 원화가 강세를 띠고 있습니다... 제 기억으로는 작년에 원/달러 1150원쯤 이었는데, 이제는 1000원대에서 놀고 있네요... 이렇게 비교적 원화강세를 띠는 이유를 찾아 봤습니다... 환율에 투자를 하지 않고 있기 때문에 정보가 늦었습니다만... 한국이 캐나다와 무제한 통화스와프를 체결 했다는 뉴스가 있네요... 저의 기억으로는 작년에 중국과의 스와프가 만료되었나?? 그때쯤에 위안부 문제로 일본과의 스와프에도 문제가 있었고.... 미국과의 스와프 문제도 불확실 했을때 쯤이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아마도 추측컨데, 별다른 방법이 없었던 정부에서 캐나다와 통화스와프를 맺은 것이 아니었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캐나다와는 왜 통화스와프를 맺었을까요? 그것도 무제한으로 말이죠... 먼..
미국의 기준금리는 1.25~1.5%, 한국의 기준금리는 1.5%로 대등소이 합니다만... 일반적으로 10년물 국채금리를 기준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미 10년물과 한국의 10년물 국채금리를 살펴보게 되면, 이미 금리는 역전되어 있습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고객이 저축하는데 있어서, 국민은행과 부산저축은행에 저축 했을때 이자를 국민은행에서 더 준다는 말입니다. 보통은 안정적인 은행... 즉, 제1금융권의 은행들은 저축은행들보다 안정적이기 때문에 이자를 더 주지는 않지요... 그런데... 더 주게 되었다는 겁니다... 이것을 '금리역전'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고객들은 당연히 더 안정적인 국민은행이 더 많은 이자를 주게 되므로 당연히 국민은행에 돈을 입금하겠지요.. 당연한 말이지만... 미국이..
ㅁ ECONOMIC TRENDS 세계경제 동향 ㅇ (미국) 세제개혁 등으로 성장 모멘텀 강화 ㅇ (중국) 내년 완만한 성장 둔화 전망 ㅇ (유럽) 경기호조 속에 물가상승 전망 ㅇ (일본) 2분기 연속 2%대 고성장 ㅇ (브라질) 정치불확실성에도 불구 경기회복세 지속 ㅇ (러시아) 통화정책 완화 지속으로 성장세 강화 전망 ㅇ (인도) 경기회복 기대감으로 제조업경기 호조 ㅁ MARKET WATCH 국제금융시장 동향 ㅇ (주식시장) 주요국 주가 상승 ㅇ (외환시장) 美 달러화 약세 ㅇ (채권시장) 주요국 국채금리 혼조 ㅇ (원자재시장) 국제유가, 강세기조 하 단기 조정압력 증대 ㅇ (한국물 동향) 한국 CDS프리미엄 하락 ㅇ (한국계 외화채권 발행) ′17년 발행액은 3년만에 $300억을 상회 ㅇ (글로벌 자..
90년대 초에는 동네에 컴퓨터 학원이 많았었지요... 이 사실을 추억하고 계시다면, 당신은 아재입니다.ㅋ 저도 그때 컴퓨터를 처음 접하고 충격(?)을 금치 못했습니다... 지금도 기억나네요... 학원 여강사가 왜이리 안빠지고 꼬박꼬박 오냐고 핀잔아닌 핀잔을 주었던 기억이...나쁜뇬...ㅋ 보통 최초의 컴퓨터라고 불리는 '애니악'을 아시나요? 요즘시대의 기준으로 보면 정말 악~! 소리나게 크네요... 그런 '애니악'보다 지금의 노트북 한대가 비교할수 없을정도로 작고, 성능또한 월등합니다... 이 얘기를 왜 하냐구요? 앞으로 10여년만 지나면 지금의 노트북이 현재 우리가 회상하는 '애니악'이 될거라는 얘기라서 말이죠. 앞으로 우리의 미래에는 빅데이터 또는 AI와 관련해서 데이터센터가 어마어마하게 필요하답니다..
비트코인은 언제든 폭락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고 생각 됩니다... 일단, 현재 가치에 비해서 너무 거품이 끼어 있었고, 비트코인 또는 알트코인이 지향하는 방향성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도출하고 있었기 때문이지요... 가장 큰 문제는 역시나 마약인지 지하자금의 합법화에 이용되는 것인지는 몰라도... 세력들의 환전소가 되어 버렸다는 겁니다... 코인이 만들어진 이유가 무엇이었습니까? 화폐의 탈 중앙화...이것이 가장 중요한 이유가 아니었나요? 그런데 오히려 제도권에 편입되려고 애쓰는 모습이지요... 누가? 코인이 돈이 된다고 생각하는 세력들이 말이죠... 비트코인은 여러분이 투자하기에는 한가지 큰 오류를 가지고 있습니다... 비트코인의 목적에 적합하게 되면 여러분은 돈을 벌수가 없습니다. 또한, 비트코인이 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