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마리서치프로덕트(214450) 연어의 생식세포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재생의학 분야에서 판매하는 기업이군요.. 흠... 저번 글에서 챠트상 밀리지 않을 선을 그어 봤는데, 밀리지는 않았지만 그렇다고 딱히 반등도 하지 않았군요... 매월 1백만원씩 투자 하기로 결정 했었으니, 그 자금으로 추가 매수 하였습니다. 미 금리 인상의 여파가 좀 있을 줄 알았는데, 체감을 못 느끼는 것인지 현재까지는 그닥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네요. 파마의 장점이라면 성장성이 두드러진다는 것이고... 단점이라면, 시장에 잘 알려지지 않았고, 거래량이 적다는 겁니다. 매수시에는 항상 분산투자와 소수 종목에 집중투자 방식 사이에서 항상 고민이 되는군요... 금액이 얼마 안되니 이렇게 하는 것이지만... 비교적 큰 금액으로 하신다면 정말 ..
금일 14시 40분쯤에 평균단가 70400원에 매수 하였습니다. 헉... 나는 분명히 현금으로 매수 했는데...신용으로 매수 되어 버렸습니다... 헙...절대로 일부러 신용매수를 한것이 아닙니다....안돼~돼~돼.... (너가 현금으로 사든지, 신용으로 사든지 관심없어~) 일단 코스닥 시장은 외인의 매수세가 괜찮은듯 보여고, 챠트상 반등으로 돌아서지 않을까 하는 예상입니다. 줄긋기는 긋는 사람 마음대로 이므로 엄청나게 주관적입니다. 그래도 상승/하락 대비 적중도 50%의 확률이므로 꽤 적중도가 높습니다...-_-;; 재 하락시 추가매수(물타기)를 하고자 합니다. 파마리서치프로덕트(이하 마파)는 조금 생소하시리라 봅니다만... 개인적으론는 사실 꾸준히 추적 관찰하고 있는 종목중에 하나입니다.. 성장성이 좋..
[링크]: 최경환 "무디스 신용등급 상향, 미 금리 불안에 방어벽 될것" (연합뉴스, '15.12.20) 국민의 방어막이 될지, 외국인들의 방어막이 될지는 일단 두고 봐야 하는 것이고... 무조건 적인 비판도 아니요, 무조건 적인 찬성도 아닌.... 나는 현재 중도...즉 관망 하고있다. 두 눈 시퍼렇게 뜨고 지켜 보겠슴돠~ 나중에 "신용등급 상향에 경기 좋아진다는 말 한적 없어..." 이딴 소리 하심 안됩니다... 아참참..!! 그리고 근혜누나가 국가 비상사태라고 하는데... 왜 사임하시나요? 국회의원 당선되러 가시는 건가요? 나를 버리지 말아요..ㅠㅠ
오.. 무디스사에서 한국의 신용등급을 역대 최고로 상향 시켰습니다.. 와우~ (박수) 짝짝짝...!! 그래서 좋냐? 행복하냐? 뭐 달라지는거 있음둥? 그러면 지금부터 신용등급 상향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풀겠습니다. 먼저 금리인상 전부터 외국인의 매도가 연일 이어지고 있습니다. 뉴스에 보면 중동 자금도 빠져 나가고 있다고 하지요? 아직도 빠져 나가지 못한 자금들이 어마어마 할겁니다. 반드시 매도는 매수 할 사람이 있어야 한다. 주식질을 하는 우리는 이점을 잘 알고 있습니다. 호가에 주구장창 매도 걸어 놓으면 뭐합니까? 정작 매수 하는 사람이 없으면 안 팔리는 것을... 결국, 아직 빠져 나가지 못한 외국인 자금을 위해서 신용등급을 상향 시켰다.???? 라는 추측이 가능 해 집니다. 아직 추측입니다. 둘째..
미 증시를 보면서 여러 섹터를 살피느라 본이 아니게 밤을 샜네요. 아놔...불금인데... 그래도 재미 있는데 어쩔수 없지요.. 정리하는 차원에서 한번 적어 봅니다. 누락 되는 것은 추가적으로 적도록 하겠습니다. 그림을 클릭하면 관련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 1. 2017년 말까지 베일인 제도 시행 확정. [링크]: 베일인, 채권자 손실부담 (내위키) [링크]: 금융사 예금자도 부담...은행 예금 어떻게 되나? (프라임경제, '15.12.09) 문제는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된다 하더라도... 해당 은행이 망했을경우 예금자의 권리가 다른 채권자들이나 주주들의 권리보다 우선시 되지 않으므로 제소시에 위법 소지가 있다는 겁니다. 결국 내가 5천만원을 예금 했는데..돈을 다 돌려 받지 못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지요...
아래는 마틴 니뮐러 목사의 고백시라고 합니다. Als sie mich holten 그들이 나를 잡아갈 때 Martin Niemöller Als die Nazis die Kommunisten holten, 나치가 공산주의자들을 잡아갈 때, habe ich geschwiegen; 나는 침묵했다; Ich war ja kein Kommunist. 나는 공산주의자가 아니었기에. Als sie die Sozialdemokraten einsperrten, 그들이 사민당원들을 감금했을 때, habe ich geschwiegen; 나는 침묵했다; ich war ja kein Sozialdemokrat. 나는 사회민주당원이 아니었기에. Als sie die Gewerkschafter holten, 그들이 노동 조합원들을 ..
테슬라가 한국에 상륙한다는 뉴스입니다. 참 반가운 소식이네요. 한국 자동차 시장이 독과점 시장에 가깝다는 것은 잘 알고 계실것이고... 테슬라에서 오래 되지 않아서 보급형 전기차를 내 놓는다면... 저는 환영 입니다...ㅋ 예전에 삼성 옴니아 시절을 기억 하시지요? 국내 대부분의 핸폰 사용자가 폴더폰이었던 시절에, 애플은 이미 터치 폰/MP3같은 저만치 발전된 모델을 내 놓았고 국내 진출함에 따라서 삼성 또한 경쟁 모델로 옴니아 모델을 내 놓았지요. 중소기업이었다면 법을 만들어 규제하든지, 돈으로 권력으로 어떻게든 망하게 하든지 먹어 버리든지 했을텐데... 아쉽게도 애플 이었답니다. 울며 겨자먹기로 어설프게 출시한 모델이 옴니아 였던걸로 기억하는데요... 참 엉성 했지요... 전 그때 아이폰3 사용자 였..
이어서 글을 올립니다. 그 변동성을 축소하고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국가는 노력하는 것이고... 이 일환으로 내년(16년)부터 파생상품에 양도소득세를 5% 징수 한다고 한다.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한국은 파생시장이 현물시장을 좌우지 하는 상황이다. 마치 뱀 꼬리가 머리를 흔드는 격이랄까? 그래서 개인적으로도 증시가 상승하는데 있어서 파생시장 축소 또는 폐지가 낫다고 생각 하지만... 그게 꼭 내년일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아마도 정부에서 생각하는 잇점은.... 세수확보 및 증시 변동성 축소.. 두 마리 토끼를 잡으려 하는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여기에 내년부터 현물시장에서도 양도소득세 과세 대상이 확대된다. 시장은 개인이 움직이는 바닥이 아니다.. 세력이 방향성을 정하는 곳이지... 왜 ..
미 연준에서 0.25%의 금리를 인상 했다. 이에따라서 달러 페그제로 시행하는 홍콩,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국가들 또한 금리를 인상했거나 인상 예정이라고 한다. 아르헨티나 같은 경우는 17일 달러 페그제를 포기하고 자율외환시장으로 전환 후 즉시 36%정도의 페소화 폭락이 발생했다. 중국 또한 달러의 영향에서 벗어나고자 달러 고정에서 무역 상대국들의 통화로 구성되는 통화 바스켓으로 변경 하고자 한다는 뉴스를 보았다. 또한 위안화가 SDR 에 편입 되기도 했었다. 이외에도 세계적으로 탈 달러화가 진행되는 상황으로 보이는 듯 하다. 달면 삼키고, 쓰면 밷는 다는 속담처럼 각 나라가 자기들의 이익을 위해서 하는 행동들에는 거침이 없어 보인다. 그렇다면 달러가 망해가는 과정이라는 말인가? 장기적으로 보면 확정적으..
지난 글에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는듯 해서 2편을 올립니다. 금/유가 상승/하락에 관련한 투자 가운데서 ETF와 ETN이 있다고 말씀 드렸죠. 종목은 아래글에 올려놓은 사진 보시면 될듯 하고... 링크 : http://gildong.net/333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금 = 달러' 라는 공식이 일반적입니다. '유가 = 달러' 라는 공식 또한 일반적이지요. 왜냐면 금,유가는 달러로 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이야 유로화/위안화로도 결제가 된다고들 하지만 아직은 부족하지요. 따라서 강달러 상황이면 금/유가는 하락 할테고, 그 반대 상황은 상승 하는것이 보통이지요. 참고로 강달러 라는 것은 달러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
지난 시간에 ETN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 했었죠? 오늘은 금과 유가에 대해 잠시 썰을 풀고자 합니다. 경제에 대해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대한민국 경제가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유가,환율,달러가 안정적이어야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겁니다. 지금은 한국 경제가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형국입니다. FOMC의 금리인상으로 강달러 현상이 예상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유가의 급격한 하락으로 업친데 덮친격이 되는 상황이네요. 얼핏보면 유가의 하락으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좋아 질것 같다는 생각드 드실겁니다. 원자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가의 하락은 거의 확실히 원자재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싸게 원료를 수입 할 수는 있지만, 더불어 수출할때의 단가 또한 내려감을 의미 합니다. 이렇..
뭐... 제목에 낚이셨으면, 잘 하신겁니다..^^ 위 링크 클릭 하셔서 읽어 보시면 ETN에 대해서 다 아시는 겁니다. 그래서 주절주절 적을 필요가 없기는 한데... 링크로 보기도 힘들다는 분이 계실지도 모르니... ETN의 특징이자 단점이라면... 1. 만기가 존재 한다는것(1~20년) -> 예를들어, 3년 만기 A ETN을 매수 했다고 하면..3년 후에는 그 종목 자체가 없어진다는 겁니다. 그렇다고 현물의 상폐처럼 돈을 날리는 것이 아니라 기회를 날린다는 의미입니다. 2. 상장폐지 되어도 그 시점 가격 그대로 정산됩니다.(ETF랑 같네요.) 3. ETN은 파생결합증권에 속하고, 증권사가 상장시키기 때문에.... 증권사가 망하면 말 그대로 돈을 다 날립니다. ->이건 좀 위험 하군요...예를들어 신한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