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국 GM에 피 같은 국민의 세금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듯 합니다... 지원하는데 있어서 명분은 합리적으로 보이지만, 세금을 쏟아 붓는다는 것에는 변함이 없죠. 사실상 경영자와 노동자들의 총체적인 부실로 보이는데, 왜 지원하는 겁니까? 그러면 다른 기업들도 지원을 요청하면 모두 지원 해 줄것인가요? 내가 '탕진잼'으로 대출 받아서 돈 다 써버리면, 저도 지원 해줄겁니까? '한국GM'이 철수하면 실업자가 몇 만명이 생긴다.... 이러한 논리로 지금까지 세금을 퍼 부었지만, 실제로 국민들의 삶에 나아진것은 없었습니다... 정말 짜증나네요...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원칙.... 수익이 나지 않으면 망해야 한다... 망할 기업은 망해야 경제가 발전 합니다... 어휴....진짜... 세금만 꼬박꼬박 내는 ..
하는김에 '디에스티로봇' 또한 간단하게 적고 갑니다. 지극히 개인적인 의견과 예측이라서 제 글을 읽고나서 투자에 참조하시면 큰 손해를 볼수도 있으니, 그냥 재미로 읽어주세요...^^;; 망하지는 않겠네요... 제가 좀 극히 보수적이라서...;;; 뉴스만 보면 매수하고 싶어서 손이 간질간질 거리시죠잉~ 사실 '디에스티로봇'에 대해서 잘은 몰라서 챠트만으로 간단히 설명 드리자면.... 일봉상으로 보면 2,400~2,600원대에 많은 분들이 매수 하신것으로 보여집니다. 3달 전 쯤에 오신분들은 100원정도 수익을 보는 상황이고, 1달전 쯤에 오신 분들은 살짝 마이너스 되어 있는 상황이겠네요.... 아래 주봉으로 보면 조금 더 명확해 집니다. 조금 오래 투자하신 분들의 평균 단가가 대략 2,200원대로 보여 집..
제가 적는 글은 지극히 주관적인 글이므로, 투자에 대한 판단은 알아서 하셔야 합니다...(-_-);; 글을 적기 전에 제가 예전에 투자 했었던 몇몇 종목이 생각 났었습니다. 주식에 대해 잘 모르던 시절이었고, 돈을 넣어 놓으면 알아서 부자가 될줄 알았던 시절... 분석은 전혀 하지 않았고, 오로지 꿈과 희망만을 품었던 그 시절... 결론은 어떻게 되었냐구요? 당연히.... 망했죠...OTL...ㅋ 그냥...진짜로 그냥 소실적 생각이 났습니다... 그리고, 경험상 영업이익이 양호한 종목에서 테마주 같은 급상승이 이뤄지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생각 됩니다.. 대부분이 부실하지요... 그말인 즉슨... 투기 세력이 붙었거나, 보통은 주식을 털어내기 위한 미끼로 쓰이는 경우가 많다는 거지요... 내가 어떤 종목을..
올해 특별한 일이 없으면 3월 19일 ~ 3월20일에 열리는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가상화폐'의 규제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만일 가상화폐에 투자하고 계시거나, 투자 하려고 마음먹은 분들이 계시다면... 'G20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회의'에서 발표하는 규제안을 보시고 투자 하시기를 바랍니다...
'SK이노베이션'은 유가의 상승/하락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당연히 사업이 주로 유가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겠죠?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유가 상승시 현재의 제품을 보다 비싸게 판매할 수 있으니 주가도 덩달아 뛰는 것 같네요... 그럼 일단 'SK이노베이션'의 주가를 알아봅시다. 월봉 챠트로 보면 2009, 2015년도에 쌍바닥을 형성 후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유가의 챠트도 한번 볼까요? 유가 또한 'SK이노베이션'과 비슷한 챠트 입니다. 이로써 'SK이노베이션'은 유가의 상승/하락에 따라서 주가가 형성된다고 말할수도 있겠습니다... 그렇다면 유가의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이것을 논하는 것 또한 따로 글을 적어야 할 만큼 너무 방대하고 복잡한거라서 지금 이 순간 상승이네....하락이네...말하기가..
코스피에 고려아연(010130)이라는 종목이 있습니다. 사업의 특성상 주가의 종목이 아연, 금, 은의 국제가격 상승/하락에 영향을 받고 있다고 하네요... 아연의 경우 지난글 '풍산'에서 적어 드렸던 것처럼 중국에서 환경오염과 관련하여 아연 광산들을 폐쇄하고 있기 때문에 아연 가격은 올해정도 까지는 하락하지 않으리라 예상하는 사람들이 많다고 합니다. 2018/02/13 - [투자종목] - 원자재 관련주를 알아보자 ① - 풍산(구리, 아연 관련주) 그리고, 예전에는 금/은의 국제시세의 경우 달러 가치가 상승 할 경우 금/은의 시세는 하락하는 일종의 반비례 관계가 형성 되었다면... 지금은 '비트코인'을 비롯한 가상화폐가 전면적으로 등장 하면서 금/은의 역활을 일정부분 대신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