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크: http://realmarket.biz/) 와우~ 유가가 베럴당 50달러까지 상승 했네요.. 상승원인으로 미국 원유 생산량 감소, 캐나다 산불로 인한 생산량 감소, 나이지리아에서 무장단체가 원유시설 공격으로 인한 생산량 감소등이 주 원인이라고 하네요... 그럼 계속 상승이겠느냐? 글쎄요... 일개 개인인 제가 어떻게 알겠습니까만은... 무수한 떡밥만 던지고 있지만서도... 미 금리 상승으로 강달러가 될 확률이 높아졌고... 이번에 OPEC 회의에서 이란이 깽판을 쳤다죠? 이란이 증산을 결정하고, 유가 가격도 낮춘다고 하던데.. 여러모로 유가가 다시 하락할 이유를 주는듯 합니다. 그나마 종목중에서는 위에놈이 적당할거 같네요... 전에 어떤분이 어떻게 매수 하느냐고 말씀하시던데요... 그냥 주식종목..
금일 파마리서치프로덕트를 전량 매도하고, 관망중에 있습니다. 어제 중국증시가 폭락하여 그쪽에 베팅하기도 위험성이 존재하고... 몇번 말씀드렸지만... 유가는 $26~35정도에 와야 상승이나 하락을 고민 해 봐야 겠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 오늘 기준으로 벌써 $33 이네요... 파마 매도해서 합이 대략 5% 수익인데, 신용을 썼으므로 대충 10%로 생각 해 봐도 $28에서 상승에 베팅 했을시 계속 보유하고 있을때의 수익보다도 못했네요... 최대의 이익을 생각했던 것인데... 최선의 방법이 최대의 이익은 되지 않는것을 알았을 뿐입니다..;;; 유가 하락에 베팅 할 시간이 다가오는 듯 합니다. [뉴스링크링크] : 주요국 3월 감산합의 기대 & 셰일오일 생산 감소전망 3월 중순에 사우디,러시아,카타르,베네수엘라..
불금이네요... 혼자 여기저기 정보 얻으러 다니느라 불금인지도 몰랐습니다...ㅠ 지난번 매도 손절했던 글을 쓰면서... $28 정도로 하락 했으면 하는 바램을 적었습니다. 헐... 하루가 지나지 않아서 $26대로 직행 했었네요...;;; 그래서 일하는 와중에도 열심히 매수 했습니다. 전량 신용으로 매수 했구요... 3월에 있을 OPEC 회의전에 뭔가 립서비스가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구요. 옐렌 아줌마가 금리인상을 늦춘다면 약달러로 역시나 유가는 폭등(?).. 아니 상승에 무게가 더해질것으로 생각 합니다. 현재는 감산 기대로 소폭 상승 했네요. 하하하하하하핳~~~ 오늘도 어제만 같아라~~ 라고 기대하기 보다는... 앞으로 유가의 상승/하락에 관해서 고민하는 편이 좋을듯 합니다. 한마디만 더 드리자면....
국제유가가 다시 30달러 대로 하락하는 모습이네요. 챠트상으로만 보면 쌍바닥을 형성하는 모습인데... 요즘 베네수엘라 석유장관이라는 '델 피노'라는 분이 각국을 방문하면서 유가 감산과 관련해서 논의 하고자 애쓰고 있다는 뉴스입니다. 뭐..당연하게도 사우디의 감산동의는 얻지 못했고 국제유가는 하락 했군요. 유가의 변동성이 너무 커서 설 연휴동안에는 손을 놓고 있어야 하는 관계로 인버스를 전량 손절 했습니다. 하락으로 좀 뻘쭘(?)한 상황이지만서도 괜찮습니다... 시장은 항상 열릴것이고... 기회는 언제든 다시 오기 때문입니다. 결국 최종적인 관심은 국제유가의 바닥..즉 저점은 어디쯤일까? 라는 것이죠... 베네수엘라 같은 경우... 지금 국가 디폴트 상태에 가까워져서 발등에 불이 떨어진 상태 입니다. 그래..
지난 글에 조금 미진한 부분이 있는듯 해서 2편을 올립니다. 금/유가 상승/하락에 관련한 투자 가운데서 ETF와 ETN이 있다고 말씀 드렸죠. 종목은 아래글에 올려놓은 사진 보시면 될듯 하고... 링크 : http://gildong.net/333 누구나 아는 사실이지만... '금 = 달러' 라는 공식이 일반적입니다. '유가 = 달러' 라는 공식 또한 일반적이지요. 왜냐면 금,유가는 달러로 결제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입니다. 지금이야 유로화/위안화로도 결제가 된다고들 하지만 아직은 부족하지요. 따라서 강달러 상황이면 금/유가는 하락 할테고, 그 반대 상황은 상승 하는것이 보통이지요. 참고로 강달러 라는 것은 달러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상황을 말하는 것입니다. 예를들어, 미 연준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면..
지난 시간에 ETN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 했었죠? 오늘은 금과 유가에 대해 잠시 썰을 풀고자 합니다. 경제에 대해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대한민국 경제가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유가,환율,달러가 안정적이어야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겁니다. 지금은 한국 경제가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형국입니다. FOMC의 금리인상으로 강달러 현상이 예상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유가의 급격한 하락으로 업친데 덮친격이 되는 상황이네요. 얼핏보면 유가의 하락으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좋아 질것 같다는 생각드 드실겁니다. 원자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가의 하락은 거의 확실히 원자재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싸게 원료를 수입 할 수는 있지만, 더불어 수출할때의 단가 또한 내려감을 의미 합니다.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