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증시가 오늘 '상하이 종합지수'가 -3.7%가 하락하는 장을 연출 했습니다. 증국 증시에 관해서는 얼마전에 쓴 글도 있었는데요. 2018/10/06 - [경제뉴스] - 중국 그림자금융까지 주식시장에 끌어 들이다. - 이는 기회인가? 아니면 위기인가? 이번에 지준율 인하라는 카드까지 내보였지만 증시를 받치기에는 역부족이었나 봅니다. (지준율 인하는 시중 은행에서 중앙은행에 쌓아 놓아야 할 준비금이 줄어들기 때문에 줄어든 만큼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역시나 중국도 미국의 관세 부과를 위안화의 약세로 무마시켜 왔다고 보여집니다만... 달러 대비 위안화가 지금보다 더 상승하게 된다면 중국 증시에 대한 매력도가 그만큼 더 하락하기 때문에 중국 증시에서 해외로 유출되는 투자 자금들의 속도..
역시나 지인이 보유중인 '유양디앤유'를잠시나마 살펴 보겠습니다. 챠트상으로 보면전고점을 넘지 못하고 하락 중이네요. 전고점을 넘지 못하는 이유가 있겠지요...매출이나 영업이익이 뒷받침 해주지못하기 때문일겁니다. 재무재표는 썩 좋아 보이지 않습니다. 챠트와 재무재표를 봤을때현재 상황으로는 매도하는게 좋아 보이네요. cf. 위 글로 인한 투자의 책임은 지지 않습니다. 참고만 하세요~
아이쿠... 코스피, 코스닥 할것없이 며칠동안 주구장창 하락만을 거듭하고 있네요. 코스닥은 800선이 무너졌네요. 일별 거래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의 대량매도가 하락의 주요 원인이 된것을 알수가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외국인은 한국 주식시장에서 매도를 하고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들지요... 가장 근원적인 원인부터 살펴보자면 최대한 짧게 적어도 글이 길어집니다. 인내심 있게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미 국채금리의 상승의 시작은 10월 3일에 '파월' 미 연방준비위원회 의장이 했던 말이 '트리거'가 되었음을 알수 있습니다. 또한 그 이전에 Fed에서 금리를 상승시킬때 보고서에서도 '완만한 상승'이라는 문구를 삭제 했다지요... "중립금리는 아직 멀었다." 금리를 더 올리겠다는 말입니다... 결국 이 한마..
3월 23일에 매수 했던 4종목을 오늘 전량 매도 했습니다. 2018/03/23 - [투자종목] - 한국증시는 미.중 무역전쟁 우려로 하락 중입니다. - 다우존스 2.52% 하락...그리고 '하이트진로','한국한공우주','옴니시스템','초록뱀'을 매수 합니다. 매수하고 지금까지 정신이 없어서 주식에 대한 생각은 하지 못했었는데요. 여유가 조금 생긴 지금 시점에서 생각 하는 도중에 '차바이오텍'의 감사의견 한정으로 '관리종목'으로 편입 되었다는 뉴스를 보고 전량 매도를 결심하게 되었습니다... 이전 글에서도 말씀 드렸다시피 2018년 부터 새롭게 강화된 'IFRS(국제회계기준)'의 적용을 받는 가운데서 특히나 '코스닥' 상장 기업들의 대비가 부족하다는 의견을 드린적이 있습니다. 2017/07/22 - [경..
몇 주 전부터 '코스피 인버스'에 베팅했다고 말씀드렸습니다. 2018/01/17 - [투자종목] - 주식시장의 충격을 예상하고 대비한다. - 인버스... 역시나 미국의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감이 상당한듯 보여지네요. 코스피가 하락하는 만큼 '인버스'는 수익을 얻습니다... 코스피 지수 하락에 따른 수익률 두배를 추구하는 'TIGER200선물인버스x2'의 오늘 하루 수익률은 5%대 입니다... 투자자금에 따라 그 크기는 다르겠지만, 일년 이자는 오늘 하루에 다 벌고도 남았습니다...ㅋㅋㅋ;; 미 금리인상에 대한 공포감이 여전하고, 원/달러 환율이 상승추세로 바뀌었으므로... '인버스'는 계속 보유하고 있을 생각 입니다... 가즈아~~
[이전글] 2017/08/20 - [[ 알쓸신잡 ]] - 2017년도부터 아파트의 하락이 시작 된다면??? - 주식쟁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 ① 이전글에서 '이미지 트레이닝'의 중요성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적어도 '교토삼굴'의 고사에서 알수 있듯이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서도 3가지 상황에 대한 대처법을 생각 해 놓고 행동하시라고도 말씀 드렸구요.. 그러면 부동산 하락을 왜 이리 주식질 하는데 있어서 민감하게 대응 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키 포인트는 '레버리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 아파트를 사는 계층이 부유층일까요? 아니죠... 중상층이 아니고...소위 '중산층'이라고 불리는 계층이 대부분일 겁니다... 1억정도의 자기 자본에 적어도 1억~3억정도의 빚을 안고 사서 현재의 시세가 4~5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