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80년대만 하더라도 재태크는 적금이 대세였겠죠? 이 얼마나 속편한 재테크 입니까? 무조건 돈 넣어놓고 인내력만 있으면 되던 시절이었으니 말이죠... 지금은 그때처럼 10%~20%의 이자는 꿈도 못 꿈니다... 많아봐야 2%대이죠... 그런데 물가상승률만 2%가 넘어요.. 즉, 적금에 넣어도 실질적인 화폐가치는 마이너스 라는 얘기입니다... 이러니 너도나도 재태크를 하려하고...광풍이 부는 것이겠습니다... 요즘의 재태크는 상당히 머리가 아픕니다... 미국, 중국, 유럽,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등등의 경제시황도 챙겨봐야하고.. 유가,금리,환율에도 신경써야 하고.. 이정도 했으면 코스피, 코스탁 알아본 다음에서야... 간신히 개별 종목군을 탐색하기 시작하지요... 빌어먹게도 간간히가 아니라... 매..
매년 부동산이 떨어진다...떨어진다...하면서도 오히려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것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은 이렇습니다... 물론 보고서를 참고해서 말씀드리는 겁니다... 아파트 가격이 시장에 의해서 조정 되었더라면 이미 몇년전에 가격조정이 시작되었어야 할 것입니다... 그런데... 한국은 대다수가 아파트를 부의 증식수단으로 인식하고 있고... 또한 어떻게든 한채 마련 해 보려고 평생을 바치기도 하지요.. 이는 아파트의 수준이 자신의 경재적인 능력, 사회적인 위치를 대변한다고 믿으니까요.. 유독 한국이 그런 인식이 강한것 같습니다... 남을 의식해서 허례의식이 좀 많은나라 아닙니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저성장, 고령화로 인해서 날이갈수록 떨어지고 있습니다... 실제적으로 건설경기를 빼면 경제성장률이 채..
[링크] 4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경상남도를 제외하고 비교적 양호한 소비심리지수를 유지하고 있음. 부동산 대책은 한국정부의 1순위 정책으로, 시장논리로 흘러가지 않으므로 향후 상승/하락을 예상하는데 있어서 주의를 요함. 정책적으로, 발간되는 보고서들을 보면 모두 향후 부동산은 하락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소비심리지수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여론이 실상을 상당부분 가리고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음.
금융위원회는 2017.6.1(목)부터 상호금융권 주택담보대출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이 모든 조합 및 금고로 확대 시행된다고 밝혔다. 대출시 원리금균등분할상환을 기본골자로 함. [링크] 상호금융권 '맞춤형 여신심사 가이드라인 확대' 시행 한마디로 DSR적용 중으로 내년 1월1일 IFRS9이 본격적으로 시행되기 전에 예방주사 수준의 정책을 시행하는 것으로 보임.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고점에서 거래가 감소하면 하락 할 수밖에 없음. 위 정책은 거래를 증가시킬 자금 동원을 줄이는 것으로 향후 부동산 상승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함. [링크]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참고.
KODEX200선물인버스2X 코스피지수가 하락시 하락폭만큼의 두배를 수익으로 얻을 수 있는 ETF중에 하나 입니다. 그동안 인버스는 1X라서 재미 없으셨죠? 이제 2배짜리가 나왔으니 한번 질러 볼까요? (데헷~) 2017년 2월에는 무엇을 매수 해 볼까 생각하다보니 이런 코스피 지수가 박스권 상단이라는 것을 깜박하고 있었습니다. 코스피 주봉으로 봐도 박스권 상단에 위치하고 있는것이 보이실겁니다. 거래량도 그닥 감소하는 추세인듯 하고요... 조금 햇갈릴때는 챠트를 뒤집어서 보라는 말이 있지요... 좀더 디테일하게 보려고 저는 KODEX200선물인버스2X의 챠트를 한번 살펴 보았습니다. 코스피지수와 거의 상반된다고 생각하면 되는 것이니까요... 꾸준히 하락 후 바닥에서 다지기 들어간 상태이고요... 거래량이..
지난 시간에 ETN에 대해서 잠깐 이야기 했었죠? 오늘은 금과 유가에 대해 잠시 썰을 풀고자 합니다. 경제에 대해 어느정도 관심이 있는 분이라면... 대한민국 경제가 잘 굴러가기 위해서는 유가,환율,달러가 안정적이어야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을겁니다. 지금은 한국 경제가 거센 도전을 받고 있는 형국입니다. FOMC의 금리인상으로 강달러 현상이 예상되고 있고, 한편으로는 유가의 급격한 하락으로 업친데 덮친격이 되는 상황이네요. 얼핏보면 유가의 하락으로 수출로 먹고사는 한국이 좋아 질것 같다는 생각드 드실겁니다. 원자재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는 유가의 하락은 거의 확실히 원자재의 하락을 가져옵니다. 이는 한국 기업이 싸게 원료를 수입 할 수는 있지만, 더불어 수출할때의 단가 또한 내려감을 의미 합니다. 이렇..