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지인분과 통화하면서 왜 요즘에 블로그를 운영하지 않는지질문을 받았습니다.개인적으로 공부한다는 핑계로 삶의 여러가지 일을 미뤄두었었다고 말은 했지만....게으름 때문이겠지요...;; 신경쓰지 않으려고 했지만 몇일 전 유가의 폭락을 보면서 두눈을 의심했습니다.아니 1년여에 걸쳐서 30%가 폭락하는 것도 아니고..단 몇일 만에 이렇게 폭락하는 상황은 정말 요즘세기 들어서 처음보는 일인듯 합니다. 이 상황에 충격을 받아서 약간의 의견을 말해보고자 합니다.아래 글에는 주관적인 의견이므로 이 글을 기준으로투자를 해서는 안된다는 점!!!꼭 유의하시기 부탁드립니다. 유가가 60$ 고점을 찍고 반토막이 나버렸네요.원인은 모두가 아시겠지만,'코로나' 사태로 인한 중국의 제조업 부진과 동시에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가고 ..
미국 중앙은행(Fed)가 드디어 '양적완화'에 시동을 걸었네요. 제가 생각하기에도 위기나 경제침체가 본격적으로 오고나서야 '양적완화'를 시행할거라 생각 했는데요. 현재 본격적인 시행은 아니고 간만 보고 있는듯 합니다. 지금까지 '양적완화'로 4조 5천억달러 정도 풀었다는데요. 대략 600억 달러를 국채 매입에 쓴다고 하니 1/6 수준이네요. 간만 보는거 맞죠? 그러면서 지금 진행하는 것은 '양적완화'가 아니라고 말했다는데요. 양적완화 인듯 아닌 같은거라는 생각입니다. 사실 그렇잖아요.. 파월의장이 "지금부터 양적완화 하겠습니다!!"라고 했는데 시장이 오히려 더 침체된다면 그 다음은???? 이런 상황을 대비하고자 간보는거 아니겠어요..;;; 흔히들 연애에서도 거절당할까봐 간 많이들 보시잖아요...ㅋ;; 사..
여러분 한국이 또 OECD국가중에서 1위인 것이 나왔습니다.지금까지는 학습시간, 통근시간, 연간노동시간, 성별임금격차자살률, 결핵발생률, 산업재해사망률, 청소년흡연율, 성인 흡연율저임금 노동자, 교통사고 사망률, 국가채무증가율, 노령화증가율... "아 씨파...안해..안한다고!!""졸라 많아서 말하기도 힘드네." 이것들에 1개가 더 추가되었군요. 어쩐지 작년에 통계청장을 경질했을때 부터 느낌이 싸~하더라니... 한국 속담에 '아니땐 굴뚝에 연기나랴' 라는 속담이 있지요.이렇게 뉴스에 나왔을 정도면이미 다른 OECD 국가들은 한국이 발표하는 통계는20%쯤은 깎고 들어간다는 거 아닙니까? 오차가 '그리스'의 거의 5배네요...헐....이정도면 의도적인거 아닙니까? 서민들은 힘들게 사는데 아직 죽을정도는 아니..
사우디의 원유시설이 공격받아서 국제유가가 널뛰기 상승을 하였습니다. 사실 공격받은지 며칠이 지났습니다만, 곧바로 드론으로 공격받았다는 말만 들어서 실제 공격자가 정해지기를 기다렸었더랬죠. 공격자는 바로 나왔네요... 실제 공격을 했든지, 하지 않았든지 어쨌든 범인은 '이란'이군요...;; 이란 외무장관은 아래와 같은 말을 했습니다. "이보시게...그 말은 지난날 이라크에서 했던 말이네..." 그런데 그 덕분에 국제유가가 엄청 상승했습니다... 산이 높으면 골이 깊고, 골이 깊으면 산이 높은 법... 우리는 유가를 좀 더 주의깊게 바라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에 공격받은 '쿠라이스 유전'에서 예멘과 이란은 정 반대방향입니다. 그런데 예멘쪽에서 공격했다는 주장이 말이 될런지... "이보게들 미쿡이 바보 멍청..
우리은행에서 판매한 독일국채 10년물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상품(DLF)의 첫 만기가 수익률 -60%가 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컥!!미쳤다...미쳤어... 우리은행만 DLF를 1236억원어치 팔았다는데요.요즘같이 현금가치가 뛰기시작하는 '디플레이션' 시즌에서현금의 손실은 뼈아픈 실책입니다...OTL.. 9월3일에는 최저 -0.727까지 내려갔었네요.이때가 만기였으면 손실이 -100%라는거 아녀요...헐헐... 예상컨데 DLF가 고점부근에서 판매되기 시작한것 같습니다. 은행이나 사모펀드는 상관없겠죠.어차피 돈은 고객돈이고, 자기들은 수수료만 먹으면 되니까... 유럽도 양적완화로 금리가 -상태였었고솔직히 작년에도 금리가 더 내려갈것으로 예상했을텐데도대체 무슨깡으로 10%도 안되는 수익을 먹자고달려들..
'트럼프'는 러시아가 'INF(중거리핵전력협정)' 조약을 위반했다면서 조약을 탈퇴 했습니다. 대부분의 시각은 러시아가 문제가 아니고 이 조약에 묶이지 않은 중국이 중거리 미사일을 엄청나게 보유하고 있어서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직접 겪은 일이지만 '사드'를 배치한 이후에 중국에 무역보복을 당했고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중국은 동부지역에 '사드'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다수의 레이더와 미사일 다수를(대략 2,000기) 배치해 놓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 '사드' 하나 갖다 놓았다고 이지랄을 하고 있으니... 정말 군사, 경제적 약소국의 비애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문제는 '사드'는 방어용이라고 변명이라도 할수 있지만... 중거리 미사일은 공격용으로서 중국의 반응은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