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과 같은 선분양 시스템은 이제 없어져야 합니다. 하다못해 과일 하나를 고를때도 이리보고 저리보고 사실텐데요.. 수억이나 나가는 아파트는 보지도 않고, 이곳 저곳 점검하지도 않고 분양을 받는지 도저히 이해를 못하겠네요. 가뜩이나 이렇게 지어진 아파트들을 영끌이다 뭐다 해서 호구로 끌어들이는 이 시스템이 언제까지 유지될지 걱정스럽습니다. 실제적으로 집의 구매가능 인구수는 2020년부터 줄어드는 것을 볼수가 있습니다. 잠재적 구매자들이 줄어들고 있다는 것이죠. 여기에 점점 보유세와 투기 및 다주택자를 압박하기 위한 규제가 점점 세지고 있는 상황이죠. 이러한 상황은 일본의 부동산 급락 시점과 매우 흡사해서 우려를 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현재도 한국 부동산 시장이 급락할 것인가? 아니면 지속적인 상승을 할 ..
개별종목에 투자하기 이전에 연금저축과 IRP는 최우선적으로 계좌를 만들고 년 700만 원은 꼭 16.5%씩 세액공제를 받으라고 말씀드렸습니다. 이는 700만원에 한해서 년마다 16.5%의 수익을 얻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어마어마한 수익률이죠...(-_-);; 연금저축(400만 원) + IRP(300) 만원은 문의해보니 그냥 입금만 해도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더군요. 그러니 가장 멍청한 행동은 년마다 700만 원 이하의 적금을 붓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겠죠...;;; 관리가 조금 귀찮더라도 이왕 넣은 금액인데 운용을 해야겠지요. 속 편하게 적금을 들 수도 있겠지만, 우리 같은 투자자는 1~2%의 수익률이 눈에 들어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대부분 ETF나 펀드를 들게 되지요. 연금저축, IRP는 개인의 노..
삼프로TV_경제의신과함께 현재 주가의 상승의 원인이 경제성장 또는 유동성인지 확인하는 방법. 1. 성장↑ => 주가↑, 금리↑, 달러↑, 금↓ 2. 유동성↑ => 주가↑, 금리↓, 달러↓, 금↑ 11월 FOMC 정례발표에서 '파월' 의장은 저축률의 하락이 우려된다고 함. 주의 필요.
문재인 정부는 한국판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뉴딜 펀드'를 만들겠다고 하였습니다. 개인적으로 이를 상당히 반기는 바이고, 매우 적절한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이유를 설명하자면 이렇습니다. 그 전에 한국판 뉴딜 펀드에 대해 알고 싶다면 저의 이전 글을 읽어 주시면 됩니다...(-_-);; 2020/09/21 - [뉴스.] - 원금을 보장하는 '뉴딜펀드' 분석. 원금을 보장하는 '뉴딜펀드' 분석. 1990년대부터 아는 사람은 모두 매수 했었던 '맥쿼리 인프라'라는 종목이 있었습니다. 한국 내 교량, 고속도로, 터널 같은 인프라 자산에 투자하여 수익을 올리는 종목인데요. 2008년 당시 3,000원 www.gildong.net 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00904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