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에서 판매한 독일국채 10년물 금리를 기초자산으로 한 파생결합상품(DLF)의 첫 만기가 수익률 -60%가 될 예정이라고 하네요. 컥!!미쳤다...미쳤어... 우리은행만 DLF를 1236억원어치 팔았다는데요.요즘같이 현금가치가 뛰기시작하는 '디플레이션' 시즌에서현금의 손실은 뼈아픈 실책입니다...OTL.. 9월3일에는 최저 -0.727까지 내려갔었네요.이때가 만기였으면 손실이 -100%라는거 아녀요...헐헐... 예상컨데 DLF가 고점부근에서 판매되기 시작한것 같습니다. 은행이나 사모펀드는 상관없겠죠.어차피 돈은 고객돈이고, 자기들은 수수료만 먹으면 되니까... 유럽도 양적완화로 금리가 -상태였었고솔직히 작년에도 금리가 더 내려갈것으로 예상했을텐데도대체 무슨깡으로 10%도 안되는 수익을 먹자고달려들..
'트럼프'는 러시아가 'INF(중거리핵전력협정)' 조약을 위반했다면서 조약을 탈퇴 했습니다. 대부분의 시각은 러시아가 문제가 아니고 이 조약에 묶이지 않은 중국이 중거리 미사일을 엄청나게 보유하고 있어서라는 말이 나오고 있는 상황입니다. 우리가 직접 겪은 일이지만 '사드'를 배치한 이후에 중국에 무역보복을 당했고 현재도 진행중입니다. 중국은 동부지역에 '사드'와 동등한 성능을 가진 다수의 레이더와 미사일 다수를(대략 2,000기) 배치해 놓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에 '사드' 하나 갖다 놓았다고 이지랄을 하고 있으니... 정말 군사, 경제적 약소국의 비애가 아닐 수 없습니다. 문제는 '사드'는 방어용이라고 변명이라도 할수 있지만... 중거리 미사일은 공격용으로서 중국의 반응은 상상을 초월할 것으로..
미래의 화두는 'AI'가 대세이다. 라는 것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잘 알고 있습니다. 이분야에서 특히나 투자에 열을 올리는 분이 계신데요. 소프트뱅크의 창업자인 '손정의' 입니다. 보다 정확하게는 '손 마사요시'라고 불러야 겠지요. 그리고 얼마전에는 청와대에서 브리핑도 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손 마사요시'는 왜이리 'AI'를 강조하는 것일까요? 당연하죠... 그 분야에 많은 돈을 투자하고 있으니까요...ㅋㅋ; 그렇다면 어떤 기업이 'AI'에 많은 투자를 하고 있을까요? 역시나 미국과 중국이 'AI' 분야에서도 양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투자를 한다면 요즘 핫한 '돼지열병 관련주' 이런거 하지 마시고 위 기업들에 적절히 분산해서 투자 하시는게 나중에 큰 도움을 되지 않을까요?...(-_-);; 국내 주식..
올해 부동산 '리츠'를 활성화 한다는 뉴스가 눈에 띕니다. 특히나 올해 '롯데리츠'가 상장될 예정이군요. 그렇다면 '리츠'란 무엇일까요? 아래에 비교적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클릭 해 보세요. 한마디로 여러명의 돈을 모아서 부동산을 매입, 또는 운영하여 나오는 수익을 나눠주는 겁니다. 부동산은 가격대가 커서 개인이 매입 또는 운영하기에는 힘들잖아요. 정부에서도 '리츠' 활성화 방안을 발표 했네요. [PDF] 리츠 공모·상장 활성화 방안 - 금융위원회 주식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에 투자해서 배당금을 받는것이니 소액으로도 충분히 투자가 가능하여 월세집 주인이 될수 있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왜 하필 지금에야 활성화 시킬려는 것 일까요? 롯데는 왜 하필 지금에야 '리츠'를 상장시키려는 것 일까요? ..
우리나라의 경제가 현재 힘들다는 것은 굳이 경제에 관심이 없는 분들도 피부에 와 닿을 정도로 잘 아시리라 봅니다. 한국이 OECD 회원국중에서 경제성장률이 꼴지입니다. 이것이 말하는 것은 현재 한국의 경제정책에는 분명히 문제가 있다는 겁니다. 저는 예전 글에서도 말 했었지만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면서 경제가 나아지리라 생각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수준만 유지해도 상당히 잘한것이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었죠. 그렇다고 마냥 문재인 정부가 모두 못한것이다..라고 말하기도 힘듭니다. 무슨 정책이라도 실행하려면 야당에서 사사건건 발목을 잡고 늘어지기 때문입니다. 한국 경제에서 가장 큰 리스크는 지정학적 리스크가 아니라 정치적인 리스크입니다. 분열되고 싸우기만 하고 합치를 한적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
'트럼프' 형과 '시진핑' 형이 무역분쟁을 잠시 접어두고 실무협상을 할거라는 뉴스에 증시에 훈풍이 불고 있습니다. 미국은 대중 관세를 잠시 연기했고, 중국은 미국산 농산물 수입절차를 재개했다는 뉴스이네요. 글쓰고 있는 와중에 속보가 떴네요... 사실 개인적으로 저는 미중 무역분쟁에서 최종적으로는 중국이 패하지 않을까 하는 예측을 가져봅니다. 왜냐면 기본적으로 중국은 생산자이고, 미국은 소비자이기 때문입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중국이 유럽 및 미국, 대만, 베트남에 수출하는 규모를 합치면 대략 55% 이상입니다. 대충 수출의 절반쯤은 무역분쟁의 영향에 있는 국가에 수출하고 있다는 것이죠. 미국은 한국과 입장이 다릅니다. 우리는 반도체등에 들어가는 핵심소재 및 재료를 일본에서 수입하지 않으면 곤란하죠. 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