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글] 2017/08/20 - [[ 알쓸신잡 ]] - 2017년도부터 아파트의 하락이 시작 된다면??? - 주식쟁이는 어떻게 해야 할까? ① 이전글에서 '이미지 트레이닝'의 중요성을 말씀드렸습니다... 그리고 적어도 '교토삼굴'의 고사에서 알수 있듯이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서도 3가지 상황에 대한 대처법을 생각 해 놓고 행동하시라고도 말씀 드렸구요.. 그러면 부동산 하락을 왜 이리 주식질 하는데 있어서 민감하게 대응 해야 할까요? 가장 중요한 키 포인트는 '레버리지'가 아닌가 싶습니다... 지금 아파트를 사는 계층이 부유층일까요? 아니죠... 중상층이 아니고...소위 '중산층'이라고 불리는 계층이 대부분일 겁니다... 1억정도의 자기 자본에 적어도 1억~3억정도의 빚을 안고 사서 현재의 시세가 4~5억..
아...80년대만 하더라도 재태크는 적금이 대세였겠죠? 이 얼마나 속편한 재테크 입니까? 무조건 돈 넣어놓고 인내력만 있으면 되던 시절이었으니 말이죠... 지금은 그때처럼 10%~20%의 이자는 꿈도 못 꿈니다... 많아봐야 2%대이죠... 그런데 물가상승률만 2%가 넘어요.. 즉, 적금에 넣어도 실질적인 화폐가치는 마이너스 라는 얘기입니다... 이러니 너도나도 재태크를 하려하고...광풍이 부는 것이겠습니다... 요즘의 재태크는 상당히 머리가 아픕니다... 미국, 중국, 유럽, 동남아시아, 남아메리카 등등의 경제시황도 챙겨봐야하고.. 유가,금리,환율에도 신경써야 하고.. 이정도 했으면 코스피, 코스탁 알아본 다음에서야... 간신히 개별 종목군을 탐색하기 시작하지요... 빌어먹게도 간간히가 아니라... 매..
서울의 대다수 도시근로자들은 은퇴 후 시골에 귀향, 귀촌을 꿈꾸는 분들이 많을것으로 압니다... 그러나...꿈은 꿈으로 남을때가 가장 좋은 경우도 있더군요.. 저도 시골에 태어나서 도시로 온 탓에, 아직도 시골에 집과 땅이 남이 있지요... 그래서 은퇴 후에 시골에 내려가서 살면 좋겠다라는 말을 많이 듣습니다.. 개인적으로는.... 아마 살지 않게될 가능성이 더 높다라고 말씀 드리고 싶네요... 가장 힘든것이 이미 도시에 적응된 생활 패턴을 송두리채 바꾸어야 합니다... 이것을 그럴싸하게 포장한다면... 여유롭고 풍성하며, 느긋한 생활을 즐길 수 있다라고 말할 수 있겠습니다... 막상 하루종일 땡볕에서 풀을 제거하다 보면 이곳이 현실인지... 아니면 지옥인지 헷갈려하실 겁니다..;;; 이런 얘기를 하려던..
대다수의 분들이 앞으로의 대세가 전기차가 될것이라고 믿어 의심치 않을겁니다... 그런데... 솔직히 코스닥 시장에서 2차전지 관련주라고 상승하는 종목들중에서 장기로 볼 수 있는 종목이 있을까요?... 모두 돈 놓고 돈 먹기 하는 것 같은 느낌은 저만이 받나요? 뭐... 지금까지 테마주들이 다 그래왔으니...코스닥 시장이 그런가 보다 해야겠지요... 2차전지 관련주들은 지금 너무 많이 상승 했습니다... 관련주는 포카라 블로거님의 블로그에서 링크 달아 드립니다... 너무 많이 상승해서 현재 추천 드리지는 않습니다...
아시는분은 아실거지만, 2018년 1월1일부터 IFRS9, IFRS15가 적용 될 예정입니다. 이점이 뉴스에서는 거의 나오지 않고 있네요... 매번 그래왔던 것처럼 12월쯤 가서야 클났네...하다가... 뒤통수 제대로 맞을때쯤에서야 난리부르스(?)를 추게되겠죠... IFRS9은 은행과 관련된 국제회계기구의 회계기준입니다. IFRS15는 기업의 회계와 관련된 것이죠.... 정말 쉽게 말씀드리면... IFRS9은 은행에서 대출 발생시 수익보다는 손실로 잡힌다는 겁니다. 물론 그 외 리스크에서도 더욱 엄격해 지겠죠? IFRS15는 기업과 관련해서 마찬가지로.. 계약발생시 매출로 또는 이익으로 계산되던 현행방식에서 순차적으로 들어오는 수입만을 이익으로 판단한다는 겁니다... 이렇게 되면...기업의 이익률이 엄청..
문재인 대통령께서 화석연료와 원자력발전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늘리겠다는 입장을 발표하셨습니다. 그리고 신고리 5,6호기의 건설을 멈추어서 요즘 한참 시끄럽지요... 가장 먼저 배경지식으로 우리는 '그리드 패리티'라는 단어를 기억해야 합니다. 지금까지도 신재생에너지로 불리는 태양광, 풍력, 조력등의 발전소가 활성화되지 못하는 이유는 발전원가가 기존의 화석연료를 쓰는 발전소, 원자력 발전소에 비해서 높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신재생에너지의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발전단가를 거의 따라 잡았다는 용어로 '그리드패리티'라는 단어가 있네요. 신재생에너지는 저도 대환영 입니다. 그런데... 아직 살펴봐야 할 사안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 일단, 미국은 땅이 넓기때문에 사람이 안사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