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도봉박홍기님 유튜브 방송을 보다가 좋은 정보를 알게 되었습니다. 헉... 매일경제에서 구조조정 대상 상장사 후보군 234곳 기업리스트가 나왔네요... 15년도 9월에 작성된 것이니, 지금은 더 심각할것 같습니다. 여기에 비상장사까지 포함하면...휴~ [링크] 구조조정 대상 상장사 후보군 234곳 기업리스트(출처: 매일경제) 위 파일은 엑셀파일로 되어 있고요... 이자보상배율이란... 간단하게 말하면 기업이 대출 받아서 물건을 생산/판매 후에 남는 이익금으로 은행에 이자를 갚을 수 있는 비율입니다... 이자보상배율이 1이하라면 기업운영해서 은행빚도 못 갚고 있다는 말입니다... 필히 주식투자 하실때에 투자 할 기업이 해당되는지 확인 하시고, 재무재표를 다시한번 상세하게 확인 할 필요가 있네요...
[링크] 요약본 [링크] 보고서
[링크] 주택가격 변화가 가계부채와 금융 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복합충격의 원인으로는 기업대출 부실, 가계대출 부실, 금리인상, 부동산 가격 하락 등이 있음.
2017년 주택시장 영향요인 분석과 전망 국토연구원 부동산시장연구센터 □ 주택시장은 2015년 하반기에 확장국면에서 둔화국면으로 전환 □ 금리상승, 주택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 등 주택시장의 주요 영향요인 점검 ▪ 주택준공물량 10~20% 증가 시 주택가격 영향력은 0.2~0.4%p 하락, 전세가격 0.3~0.6%p 하락 ▪ 금리가 0.5~1%p 상승 시 주택가격 영향력은 0.3~0.6%p 하락으로 분석 ▪ 주택담보대출금리 변화에 따른 원리금상환 과다부담가구 시뮬레이션 결과, 현행 주택담보대출금리 3~4% 수준이 6~7%로 상승 시 원리금상환 과다부담가구의 가파른 증가 예상 □ 2017년 주택시장 매매가격, 전세가격 보합 수준 전망 ▪ 주택매매가격 -0.2% 내외, 전세가격 0.5% 내외 전망 ▪ 주택거래..
[링크] 4월 부동산시장 소비심리지수 경상남도를 제외하고 비교적 양호한 소비심리지수를 유지하고 있음. 부동산 대책은 한국정부의 1순위 정책으로, 시장논리로 흘러가지 않으므로 향후 상승/하락을 예상하는데 있어서 주의를 요함. 정책적으로, 발간되는 보고서들을 보면 모두 향후 부동산은 하락으로 예상하고 있음. 이런 상황 속에서 소비심리지수가 떨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여론이 실상을 상당부분 가리고 있음으로 판단할 수 있음.
미국 금리인상이 확실시 됨.